[天行喉痺][천행후비]
時行咽痛, 宜用普濟消毒飮子 方見瘟疫.
돌림병으로 목구멍이 아픈 데는 보제소독음자(처방은 온역문에 있다)를 쓴다.
喉痺一鄕皆相似者, 屬天行運氣之邪.

大忌酸藥點之, 寒藥下之, 鬱其邪於內, 不得出也[綱目].
후비가 한 마을에 퍼졌는데 증상이 모두 비슷하면 이는

돌림병으로, 우주의 운기가 어그러져 생긴 것이다.

신맛의 약을 쓰거나 찬약[寒藥]으로 설사시키면 절대 안 된다.

그러면 사기가 안으로 몰려 들어가 나오지 않게 되기 때문이다(강목).
天行喉痺, 取鴨觜膽礬末半錢, 吹入喉中, 吐痰, 立愈.

如無膽礬, 以透明綠礬代之[正傳].
돌림병으로 생긴 후비는 오리의 부리와 담반을 가루내어

반 돈씩 목구멍에 불어넣으면 담을 토하면서 바로 낫는다.

담반이 없으면 투명한 녹반을 쓴다(정전).  

'[外形篇] > [咽喉]' 카테고리의 다른 글

[咽喉急閉宜吐][인후급폐의토]  (0) 2020.02.18
[咽喉急閉宜鍼][인후급폐의침]   (0) 2020.02.18
[喉痺失音][후비실음]  (0) 2020.02.17
[咽喉瘡][인후창]   (0) 2020.02.17
[傷寒咽痛][상한인통]   (0) 2020.02.17

[喉痺失音][후비실음]
咽喉生瘡令閉, 聲不出者,

秘傳降氣湯 方見氣門 去陳皮加黃芩, 服之.

인후가 헐어 목구멍이 막혀서 소리가 나오지 않는 데는

비전강기탕(처방은 기문에 있다)에서 진피를 빼고 황금을 넣어 먹는다.

曾服凉藥自利, 聲音有壞者, 亦用秘傳降氣湯, 救之[入門].

일찍이 찬약[凉藥]을 먹어서 설사를 하고 소리가 갈라져 나오는 데에도

비전강기탕을 써서 치료한다(입문).
咽痺失音, 宜用通隘散, 增損如聖湯, 荊芥湯, 通關飮, 桔梗湯, 神效散.

인비(咽痺)로 목소리가 나오지 않는 데는

통애산, 증손여성탕, 형개탕, 통관음, 길경탕, 신효산 등을 쓴다.
喉閉生瘡, 失聲音, 服紫雪, 神效 方見火門.
목구멍이 막히고 헐어서 소리가 나오지 않는 데는

자설(처방은 화문에 있다)을 먹으면 효과가 매우 좋다. 

'[外形篇] > [咽喉]' 카테고리의 다른 글

[咽喉急閉宜鍼][인후급폐의침]   (0) 2020.02.18
[天行喉痺][천행후비]   (0) 2020.02.17
[咽喉瘡][인후창]   (0) 2020.02.17
[傷寒咽痛][상한인통]   (0) 2020.02.17
[咽喉痛][인후통]   (0) 2020.02.17

[咽喉瘡][인후창]
咽瘡者, 胃脘實熱熏灸上焦, 發爲白頭赤根, 宜發聲散[直指].

목구멍이 허는 것은 위완(胃脘)의 실열이 상초를 훈증하였기 때문인데,

헌 곳의 끝은 허옇고 뿌리는 벌겋다. 발성산을 쓴다(직지).
咽喉生瘡痛, 多屬虛火, 遊行無制, 客於咽喉, 宜用人蔘荊芥蜜灸黃柏[綱目].

인후가 헐어 아픈 것은 대개 허화가 제멋대로 떠돌다가 인후에 침입하여

생기는 것으로 인삼, 형개, 황백(꿀을 발라 구운 것)을 쓴다(강목).
咽喉生瘡, 勿用生薑, 辛辣反甚故也[綱目].

인후가 이미 헐었으면 생강을 쓰지 말아야 한다.

이는 매운맛 때문에 병이 오히려 더 심해지기 때문이다(강목).
楊梅天疱瘡, 服輕粉, 毒氣流注, 多作咽瘡潰爛. 詳見諸瘡門.

양매창(楊梅瘡)과 천포창(天疱瘡)에는 경분을 먹는데,

독기가 돌아다니다가 목구멍을 헐고 짓무르게 한다.

제창문에 자세히 나와 있다.
咽喉瘡, 宜用利膈湯, 牛蒡子湯, 淸火補陰湯, 加味四物湯 方見上,

通隘散 方見下, 佛手散, 發聲散, 治喉痺生瘡方.
인후창에는 이격탕, 우방자탕, 청화보음탕, 가미사물탕(처방은 앞에 있다),

통애산(처방은 뒤에 있다), 불수산, 발성산, 치후비생창방 등을 쓴다.  

'[外形篇] > [咽喉]' 카테고리의 다른 글

[天行喉痺][천행후비]   (0) 2020.02.17
[喉痺失音][후비실음]  (0) 2020.02.17
[傷寒咽痛][상한인통]   (0) 2020.02.17
[咽喉痛][인후통]   (0) 2020.02.17
[穀賊][곡적]   (0) 2020.02.17

[傷寒咽痛][상한인통]
傷寒陽毒陰毒, 皆有咽痛, 詳見本門[仲景].

상한의 양독(陽毒)이나 음독(陰毒)으로도 목구멍이 아픈데, 상한문에 자세히 나와 있다(중경).

伏氣之病, 謂非時暴寒中人, 伏於少陰經, 始不覺, 旬月乃發, 先發咽痛, 次必下利, 脈微弱.

古方謂之腎傷寒, 宜用半夏桂甘湯[活人].

사기(邪氣)가 잠복해 있다가 병이 생긴다는 것은 추울 때가 아닌데

갑작스럽게 한기가 침입하여 소음경(少陰經)에 잠복해 있으나

처음 한 달 동안은 느끼지 못하다가 병이 생기는 것을 말한다.

처음에는 목구멍이 아프고 다음에는 반드시 설사를 하며 맥은 미약하다.

옛 처방에서는 신상한(腎傷寒)이라고 하였는데, 반하계감탕을 쓴다(활인).

少陰客寒咽痛, 宜甘桔湯, 桔梗湯, 荊芥湯 方見下.

소음경에 한사(寒邪)가 들어와 목구멍이 아픈 데는

감길탕, 길경탕, 형개탕(처방은 뒤에 있다) 등을 쓴다.   

'[外形篇] > [咽喉]' 카테고리의 다른 글

[喉痺失音][후비실음]  (0) 2020.02.17
[咽喉瘡][인후창]   (0) 2020.02.17
[咽喉痛][인후통]   (0) 2020.02.17
[穀賊][곡적]   (0) 2020.02.17
[尸咽][시인]   (0) 2020.02.17

[咽喉痛][인후통]
咽痛云嗌痛者, 謂咽喉不能納唾與食, 而地氣閉塞也.

云喉痺咽嗌痛者, 謂咽喉俱病, 天地之氣並閉塞也.

盖病喉痺者, 必兼咽嗌痛病, 咽嗌痛者, 不能兼喉痺也[綱門].

인통(咽痛)은 익통(嗌痛)이라고도 하는데,

인'과 '후'로 침이나 음식을 삼키지 못하여 지기(地氣)가 막힌 것을 말한다.

후비와 인익통(咽嗌痛)은 '인'과 '후'가 병들어 천기(天氣)와 지기가 모두 막힌 것을 말한다.

대개 후비는 인익통을 반드시 겸하지만 인익통은 후비를 겸할 수 없다(강목).

咽痛者, 風邪客於喉間, 氣鬱而熱, 故爲咽痛[直指].

인통은 풍사가 '후'에 침입하여 기가 몰려 열이 생기기 때문에 '인'이 아프게 되는 것이다(직지).

咽喉乾枯, 常如毛刺, 呑嚥有碍者, 風燥也.

荊防敗毒散 方見寒門, 加薄荷黃芩半夏倍桔梗, 入生薑煎服[入門].

인후가 바짝 마르고 늘 털로 찌르는 듯하며 삼킬 때마다 걸리는 것은 풍조 때문이다.

형방패독산(처방은 한문에 있다)에 박하, 황금. 반하, 길경(길경은 두 배로)을 더 넣고

여기에 생강을 넣어 달여 먹는다(입문).

咽喉痛, 鵬砂或和膽礬白殭蠶白梅肉, 和噙.

又必用荊芥玄參[丹心].

인후통에는 붕사만 쓰거나

혹은 붕사에 담반·백강잠·백매육을 넣어 함께 가루내어 입에 머금는다.

그리고 반드시 형개와 현삼을 쓴다(단심).

咽喉痛, 宜上淸元, 加減薄荷煎元, 龍腦膏 方見上,

荊黃湯, 必用方甘桔湯, 金消丸, 淸火補陰湯, 絳雪散.  

인후통에는 상청원, 가감박하전원, 용뇌고(처방은 앞에 있다),

형황탕, 필용방감길탕, 금소환, 청화보음탕, 강설산 등을 쓴다. 

'[外形篇] > [咽喉]' 카테고리의 다른 글

[咽喉瘡][인후창]   (0) 2020.02.17
[傷寒咽痛][상한인통]   (0) 2020.02.17
[穀賊][곡적]   (0) 2020.02.17
[尸咽][시인]   (0) 2020.02.17
[梅核氣][매핵기]  (0) 2020.02.17

[穀賊][곡적]
穀賊者, 穀芒强澁藏於米, 而誤食之.

滯於咽門, 不能傳化, 故風熱倂聚, 與血氣搏, 遂令腫刺也.

不急治, 亦能殺人[直指].

곡적은 쌀에 섞여 있던 억세고 깔깔한 까끄라기를 잘못 먹은 것이다.

목구멍에 걸려 내려가지 않거나 소화되지 않기 때문에

풍과 열이 모여들어 혈기와 싸우기 때문에 붓고 콕콕 찌르게 된다.

빨리 치료하지 않으면 이 또한 사람이 죽게 된다(직지).
誤呑稻麥芒, 在咽間不下, 急取鵝口中涎灌之, 卽下.

盖鵝涎, 能化穀也[綱目].
벼나 보리의 까끄라기를 잘못 먹어 목구멍에서 내려가지 않을 때에는

빨리 거위의 침을 흘려 넣으면 바로 내려간다.

거위의 침은 곡식을 잘 소화시키기 때문이다(강목).   

'[外形篇] > [咽喉]' 카테고리의 다른 글

[傷寒咽痛][상한인통]   (0) 2020.02.17
[咽喉痛][인후통]   (0) 2020.02.17
[尸咽][시인]   (0) 2020.02.17
[梅核氣][매핵기]  (0) 2020.02.17
[懸雍垂][현옹수]   (0) 2020.02.17

[尸咽][시인]
尸咽者, 陰陽不和, 脾肺壅盛, 風熱毒氣, 不能宣通,

故令尸虫發動, 上蝕於喉, 或痒或疼, 如之候也[直指].

시인(尸咽)은 음양의 기가 고르지 않고

비(脾)와 폐(肺)에 풍열(風熱)의 독기가 몰려

가득 차 있어서 잘 통하지 않기 때문에

노채충이 제멋대로 움직여 위로 목구멍을 갉아먹는 것인데,

간질간질하거나 아프기도 한 것이 마치 벌레 먹는 것 같다(직지).
與傷寒狐惑同, 當叅考.
상한의 호혹병 같으니 반드시 참고하여야 한다.

'[外形篇] > [咽喉]' 카테고리의 다른 글

[咽喉痛][인후통]   (0) 2020.02.17
[穀賊][곡적]   (0) 2020.02.17
[梅核氣][매핵기]  (0) 2020.02.17
[懸雍垂][현옹수]   (0) 2020.02.17
[纏喉風][전후풍]   (0) 2020.02.17

[梅核氣][매핵기]
七情氣鬱, 結成痰涎, 隨氣積聚, 堅大如塊, 在心腹間, 或塞咽喉,

如梅核粉絮樣, 咯不出, 嚥不下, 每發欲絶, 逆害飮食, 宜四七湯[得效] 方見氣門.

칠정의 기(氣)가 몰리면 뭉쳐서 담연이 되는데

이것이 기를 따라 쌓이면 단단하고 크기가 덩어리같이 된다.

이것이 가슴이나 배에 있거나 때로는 매실의 씨나 솜뭉치 같은 것이

인후를 막게 되는데 뱉어도 나오지 않고 삼키려 하여도 넘어가지 않으며

병이 발작할 때마다 죽을 것 같고 음식을 먹지 못한다.

사칠탕(처방은 기문에 있다)을 쓴다(득효).

男女, 或有胸喉間, 梅核作恙者, 觸事勿怒, 飮食勿冷[直指].

 남자나 여자가 가슴과 '후'에 매핵기가 있으면

매사에 화를 내지 말고 찬 음식을 먹지 말아야 한다(직지). 

梅核氣者, 窒碍於咽喉之間, 咯不出, 嚥不下, 如梅核之狀, 是也.

始因喜怒太過, 積熱蘊隆, 乃成厲痰鬱結, 致斯疾耳.

宜加味四七湯, 加味二陳湯[醫鑑].

매핵기는 인후 사이가 틀어막혀 뱉어도 나오지 않고 삼키려 하여도 넘어가지 않는데

매실의 씨 같은 것이 막혀 있는 느낌이 바로 이것이다.

이 병은 지나치게 기뻐하거나 화를 내서 쌓인 열이 심해져

담이 완고하게 몰리고 뭉쳐서 생기는 것이다.

가미사칠탕이나 가미이진탕을 쓴다(의감).   

'[外形篇] > [咽喉]' 카테고리의 다른 글

[穀賊][곡적]   (0) 2020.02.17
[尸咽][시인]   (0) 2020.02.17
[懸雍垂][현옹수]   (0) 2020.02.17
[纏喉風][전후풍]   (0) 2020.02.17
[急喉痺][급후비]   (0) 2020.02.17

[懸雍垂][현옹수]  
懸雍生於上腭, 雖不關於咽喉, 所以暴腫者, 抑亦熱氣使然也[直指].

현옹(懸雍)은 입천장에 생기는 것으로, 비록 인후와는 관계가 없지만

갑자기 붓는 것은 바로 열기 때문이다(직지).

懸雍謂之帝鍾, 懸雍腫而垂下, 有長數寸者, 謂之帝鍾風.

宜用鹽礬散, 不可鍼破, 鍼則殺人[得效].

현옹을 제종(帝鍾)이라고도 하는데,

현옹이 붓고 길게 늘어져 길이가 몇 치가 되는 것을 제종풍이라고 한다.

이때 염반산을 쓰는데 침으로 터뜨려서는 안 된다.

침으로 터뜨리면 사람이 죽게 된다(득효).

懸雍者, 音聲之關.

若藏府伏熱, 上衝咽喉, 則懸雍或長而腫也.

宜吹喉散, 玄參散, 鵬砂散[類聚].

현옹은 소리가 나오는 관문이다.

장부에 잠복해 있던 열이 위로 인후를 치받으면 현옹이 늘어지거나 붓는다.

취후산, 현삼산, 붕사산 등을 쓴다(유취).

腎傷寒, 咽痛及帝鍾腫者, 忌鍼.

以蛇床子於甁中燒烟, 令病人吸入喉中, 立愈[入門].

신(腎)이 한(寒)에 상하여 목구멍이 아프고 목젖이 부으면 침을 절대 놓지 말고

사상자를 병 속에 넣고 태워 그 연기를 환자가 목구멍으로 빨아들이게 하면 바로 낫는다(입문).  

 

'[外形篇] > [咽喉]' 카테고리의 다른 글

[尸咽][시인]   (0) 2020.02.17
[梅核氣][매핵기]  (0) 2020.02.17
[纏喉風][전후풍]   (0) 2020.02.17
[急喉痺][급후비]   (0) 2020.02.17
[單乳蛾 雙乳蛾 喉痺][단유아 쌍유아 후비]   (0) 2020.02.17

[纏喉風][전후풍]
熱結咽喉, 腫遶於外, 且麻且痒, 腫而大者, 名曰纏喉風[醫鑑].

열이 인후에 뭉쳐 목둘레가 붓고 감각이 둔하거나 가렵기도 하며

부으면서 커지는 것을 전후풍이라고 한다(의감).

纏喉風, 自耳邊過頤下赤色者, 是也.

大槩內外皆腫者, 爲纏喉風[得效].

전후풍은 귀밑에서 아래턱까지 벌겋게 붓는 것이다.

대개 안과 겉이 모두 부으면 전후풍이다(득효).

纏喉風之證, 先兩日胸膈氣緊,

出氣短促, 忽然咽喉腫痛, 手足厥冷,

氣閉不通, 頃刻不治[丹心].

전후풍의 증상은 처음 이틀 동안은 흉격이 오그라드는 것 같고

숨을 가쁘게 뱉다가 갑자기 인후가 붓고 아프면서 손발이 차갑고

숨을 쉬지 못하게 되어 순식간에 치료할 수 없게 된다(단심).

纏喉風屬痰熱, 其咽喉裏外皆腫者, 是也[丹心].

전후풍은 담열(痰熱)로 생기는데, 인후의 속과 겉이 모두 붓는 병이다(단심).

宜用解毒雄黃元, 如聖勝金錠, 龍腦破毒散, 一字散, 二仙散, 玉鑰匙, 巴豆烟 七方皆見上,

雄黃散, 佛手散, 白礬散, 氷梅丸 方見下, 兼用鍼法吐法, 乃效.

해독웅황원, 여성승금정, 용뇌파독산, 일자산, 이선산, 옥약시,

파두연(일곱 가지 처방 모두 앞에 있다), 웅황산, 불수산, 백반산,

빙매환(처방은 뒤에 있다)을 쓰면서 아울러 침을 놓거나 토법을 써야 효과가 있다.  


'[外形篇] > [咽喉]' 카테고리의 다른 글

[梅核氣][매핵기]  (0) 2020.02.17
[懸雍垂][현옹수]   (0) 2020.02.17
[急喉痺][급후비]   (0) 2020.02.17
[單乳蛾 雙乳蛾 喉痺][단유아 쌍유아 후비]   (0) 2020.02.17
[咽喉病名][인후병명]   (0) 2020.02.16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