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急喉痺][급후비]
靈樞曰, 瘡發咽嗌, 名曰猛疽.
此疾, 治遲則咽塞, 咽塞則氣不通, 氣不通則半日死.
영추에서는 "목구멍에 헌데가 생긴 것을 맹저(猛疽)라고 한다.
이 병은 치료가 늦으면 목구멍이 막히고 목구멍이 막히면 기가 통하지 않으며,
기가 통하지 않으면 반나절 만에 죽는다"고 하였다.
喉閉而暴發, 暴死者, 名曰走馬喉痺[醫鑑].
후폐가 갑자기 생겨 금방 죽는 것을 주마후비라고 한다(의감).
夫喉之爲會厭者, 經謂之吸門, 是也,
以其司呼吸主升降, 爲人身緊關之槖籥門戶也.
若夫卒然腫痛, 水漿不入, 言語不通, 死在須臾, 誠可驚駭[正傳].
'후'를 회염이라고 한 것은(어떤 경전에 흡문(吸門)이라고 하였는데 흡문이 바로 회염이다) '후'가 호흡하는 일을 맡아서 기의 오르내림을 주관하여
사람의 몸에서 매우 요긴한 풀무의 문과 같기 때문이다.
만약 갑자기 붓고 아파 물이나 미음을 넘기지 못하고 말도 하지 못하면
죽음이 경각에 달린 것이니 참으로 두려워하여야 한다(정전).
宜速用鍼法吐法, 以救之, 藥不得下, 當以曲竹管灌藥入喉, 爲妙[類聚].
이 병에는 빨리 침을 놓거나 토법을 써서 목숨을 살려야 하며,
약을 넘기지 못할 때는 구부러진 대롱으로 약을 목구멍에 흘려 넣으면 좋다(유취).
急喉閉, 其聲如鼾, 有如痰在喉響者, 此爲肺絶之候.
宜用人蔘膏, 救之, 用薑汁竹瀝放開, 頻頻服之.
如未得參膏, 先煎獨參湯, 救之.
早者, 十全七八, 次, 則十全四五, 遲, 則十不全一也[綱目].
갑자기 생긴 후폐로 코고는 소리가 나고, 목구멍에 담이 있는 것처럼
그렁그렁 소리가 나면 이것은 폐기가 끊어진 징후이다.
인삼고로 폐기를 살리고 생강즙과 죽력으로 목구멍을 열어야 하는데 자주 먹인다.
인삼고가 없으면 먼저 독삼탕을 달여 먹여 살린다.
이 약을 빨리 먹으면 열에 일곱여덟이 살고 조금 늦으면 열에 네다섯이 살고
늦으면 열에 하나도 살지 못한다(강목).
孫兆治潘元從急喉, 以藥半錢吹入喉中, 少頃, 吐出膿血立愈.
潘謝曰, 大急之患, 非明公不能救, 非藥不能療. 贈金百兩, 願求其方.
孫曰, 猪牙皂角白礬黃連等分, 瓦上焙爲末耳.
旣授以方, 不受所贈[回春].
손조가 반원종의 급성으로 생긴 후비를 치료하였는데,
약 반 돈을 목구멍에 불어넣자 잠시 후 피고름을 토하면서 나았다.
반원종이 "매우 위급한 병이었는데 손 선생님이 아니었으면 살 수 없었고,
또 그 약이 아니었으면 치료하지 못하였을 것이다"라고 인사를 하였다.
그리고 금 백 냥을 주면서 그 처방을 알려 달라고 하자
손조는 '저아조각, 황련 각 같은 양을 기와 위에서 말린 다음 가루낸 것뿐'이라며
처방을 알려주고는 사례금을 받지 않았다(회춘).
牙關緊者, 須開關, 用一字散, 二仙散, 毒結,
宜如聖勝金錠, 解毒雄黃元 方並見上,
龍腦破毒散, 奪命散, 玉鑰匙, 金鎖匙, 巴豆烟.
아관긴급이 되면 입을 벌려야 하는데 일자산이나 이선산을 쓰고,
독이 뭉친 데는 여성승금정, 해독웅황원(두 처방 모두 앞에 있다),
용뇌파독산, 탈명산, 옥약시, 금쇄시, 파두연 등을 쓴다.
挫喉, 氣不通, 冷水徐灌之[山居].
'후'가 꺾여 기가 통하지 않으면 찬물을 천천히 흘려 넣는다(산거).
'[外形篇] > [咽喉]' 카테고리의 다른 글
[懸雍垂][현옹수] (0) | 2020.02.17 |
---|---|
[纏喉風][전후풍] (0) | 2020.02.17 |
[單乳蛾 雙乳蛾 喉痺][단유아 쌍유아 후비] (0) | 2020.02.17 |
[咽喉病名][인후병명] (0) | 2020.02.16 |
[咽喉之病皆屬火][인후지병개속화] (0) | 2020.02.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