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咽喉之病皆屬火][인후지병개속화]
內經曰, 一陰一陽結, 謂之喉痺 痺與閉同.
註曰, 一陰, 謂心主之脈, 一陽, 謂三焦之脈也.
三焦心主脈並絡喉, 氣熱內結, 故爲喉痺.
내경에서는 "일음(一陰)과 일양(一陽)에 사기가 뭉친 것을
후비(喉痺)('비(痺)'와 '폐(閉)'는 같은 뜻이다)라고 한다"고 하였다.
왕빙의 주에서는 "일음은 심포의 맥이고, 일양은 삼초의 맥이다.
삼초와 심포의 맥은 모두 '후'를 엮고 있는데
기와 열이 안에서 맺히면 후비가 된다"고 하였다.
一陰, 肝與心包, 一陽, 膽與三焦,
四經, 皆有相火, 火者, 痰之本, 痰者, 火之標也[入門].
일음은 간(肝)과 심포이고, 일양은 담(膽)과 삼초이다.
이 네 경락에는 모두 상화가 있는데,
화(火)는 담(痰)의 바탕[本]이 되고 담은 화가 드러난 것[標]이 된다(입문).
少陰君火少陽相火二脈, 並絡咽喉, 君火勢緩, 則熱結而爲疼爲腫,
相火勢速, 則腫甚不仁而爲痺. 痺甚, 不通而痰塞以死矣[入門].
소음군화와 소양상화의 두 맥은 모두 인후를 엮고 있는데,
군화의 기세는 완만하여 열이 뭉치면 아프고 부으며,
상화의 기세는 빨라서 붓기가 심하고 감각이 없으며 비(痺)까지 된다.
비가 심하면 숨이 통하지 않고 가래[痰]가 막히면서 죽게 된다(입문).
咽喉之疾, 皆屬火熱.
雖有數種之名, 輕重之異, 乃火之微甚故也.
微而輕者, 可以緩治, 甚而急者, 惟用砭刺出血, 最爲上策[正傳].
인후의 병은 모두 화와 열 때문이다.
비록 여러 가지 병명들이 있지만 그것은 병의 경하고 중한 차이,
즉 화가 약하고 심한 차이에 의하여 생기는 것이다.
경미한 것은 완만하게 치료하여야[緩治] 하고,
심하고 급한 것은 침으로 찔러 피를 내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이다(정전).
'[外形篇] > [咽喉]' 카테고리의 다른 글
[單乳蛾 雙乳蛾 喉痺][단유아 쌍유아 후비] (0) | 2020.02.17 |
---|---|
[咽喉病名][인후병명] (0) | 2020.02.16 |
[脈法][맥법] (0) | 2020.02.16 |
[咽喉度數][인후도수] (0) | 2020.02.16 |
[咽喉會厭與舌其用不同][인후회염여설기용부동] (0) | 2020.02.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