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咽喉閉通治][인후폐통치]
火性急速, 故病發則暴悍.

或鍼或吐, 以宣其毒, 此急則治標之法也.

必須兼以內經從治之法,

以 桔梗 甘草 玄參 升麻 防風 羌活 荊芥 人蔘 白朮 茯苓之類,

少加乾薑附子爲嚮導, 徐徐頻與, 不可頓服.

此爲治之大法也.

切不可驟用寒凉之藥.

殊不知上熱未除, 中寒復生, 至於發喘發脹, 皆爲不治之證[正傳]  

화(火)의 성질은 빠르므로 병이 갑자기 생기고 변화도 빠르다.

침으로 찌르거나 토하게 하는 방법으로 그 독을 흩어지게 하는데,

이것이 '급하면 표(標)를 치료한다'는 원칙이다.

따라서 반드시 내경의 종치법을 함께 써야 하는데,

길경, 감초, 현삼, 승마, 방풍, 강활, 형개, 인삼, 백출, 복령 같은 것을 쓰되

건강, 부자를 조금 넣어 약의 기운을 이끌어가게 하며,

약은 천천히 자주 먹어야지 한 번에 다 먹어서는 안 된다.

이것이 치료의 가장 중요한 원칙이다.

또 찬약을 절대 성급하게 써서는 안 된다.

특히 상초에 열이 다 없어지지 않고 중초에 한사(寒邪)가 다시 생긴 것을 모르고

찬약을 쓰면 천식과 창만(脹滿)이 생기게 되는데,

모두 치료하지 못하는 증상이 된다(정전).

喉痛必用荊芥, 陰虛火炎必用玄參[丹心].

후비에는 반드시 형개를 쓰고 음(陰)이 허하여 화(火)가 치솟으면 반드시 현삼을 쓴다(단심).

咽喉腫痛諸證, 皆用淸凉散 方見上, 加減用之[回春].

인후가 붓고 아픈 모든 병에는 청량산(처방은 앞에 있다)을 가감하여 쓴다(회춘).

通用氷梅丸, 龍腦川芎元, 淸咽利膈散, 必用方甘桔湯 方見上,

龍腦破毒散方見上, 金鎖匙 方見上, 琥珀犀角膏 方見口舌. 

빙매환, 용뇌천궁환, 청인이격산, 필용방감길탕(처방은 앞에 있다),

용뇌파독산(처방은 앞에 있다), 금쇄시(처방은 앞에 있다),

호박서각고(처방은 구설문에 있다) 등을 두루 쓴다.    


'[外形篇] > [咽喉]' 카테고리의 다른 글

[魚骨鯁][어골경]  (0) 2020.02.18
[咽喉不治證][인후불치증]   (0) 2020.02.18
[咽喉急閉宜吐][인후급폐의토]  (0) 2020.02.18
[咽喉急閉宜鍼][인후급폐의침]   (0) 2020.02.18
[天行喉痺][천행후비]   (0) 2020.02.17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