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蓄血證][축혈증]  
蓄血, 卽瘀血積蓄也.
축혈이란 어혈이 쌓인 것이다.
傷寒熱病, 身黃屎黑, 如狂喜忘者, 爲蓄血也[仲景].
상한 열병에 몸이 누렇고 대변이 검으며 미친 것 같고,

잘 잊어버리는 것은 축혈 때문이다(중경).
海藏曰, 喜忘發狂, 身黃屎黑, 疾已甚也.

但小腹滿小便不利者, 輕也.
왕호고는 "잘 잊어버리고 미친 듯이 날뛰며 몸은 누렇고

대변이 검은 것은 병이 이미 심한 것이지만, 아랫배가 그득하고

오줌이 순조롭지 못한 것은 병이 가벼운 것이다"라고 하였다.
蓄血外證, 痰嘔燥渴, 昏聵迷忘, 常喜湯水漱口[直指].
축혈증일 때 겉으로 드러나는 증상은 가래가 나오며

목이 타는 듯이 마르고 정신이 흐려져 멍하니 보며,

미혹하여 잘 잊어버리며 항상 따뜻한 물로 입 안을 축이려 한다(직지).
凡病日輕夜重, 便是瘀血.

又常喜漱水而不欲下咽[入門].
병이 낮에는 가볍고 밤에는 심한 것은 바로 어혈 때문이다.

어혈이 있을 때는 늘 입에 물을 축이려고만 하지 삼키려고 하지는 않는다(입문).
凡蓄血, 有上中下之別, 以衄嘔唾吐血爲上部, 血結胸中爲中部, 蓄血下焦爲下部.

血蓄上焦則善忘, 宜犀角地黃湯 方見下.

血蓄中焦, 胸滿身黃, 漱水不欲嚥, 宜桃仁承氣湯 方見傷寒.

血蓄下焦, 則發狂糞黑, 小腹硬痛, 宜低當湯丸, 須取盡黑物爲效 方見傷寒.

又生地黃湯, 通治三焦蓄血[海藏].
축혈증은 상중하로 나눌 수 있는데,

코피, 구혈(嘔血), 타혈(唾血), 토혈(吐血)은 상부의 축혈이고,

가슴에 피가 맺힌 것은 중부의 축혈이고, 하초에 피가 쌓인 것은 하부의 축혈이다.

상초에 피가 쌓이면 잘 잊어버리는데, 서각지황탕(처방은 뒤에 있다)을 쓴다.

피가 중초에 쌓이면 가슴이 그득하고 몸이 누렇게 뜨고 물은 입에 적시기만 하고

삼키려 하지 않는데, 도인승기탕(처방은 상한문에 있다)을 쓴다.

피가 하초에 쌓이면 미친 듯이 날뛰고 대변이 검으며 아랫배가 딴딴하게 아프다.

이때는 저당탕이나 저당환을 쓰는데,

대변에 검은 것이 더 나오지 않으면 효과가 있는 것이다(처방은 상한문에 있다).

생지황탕은 삼초에 피가 쌓인 것[三焦蓄血]을 두루 치료한다(해장).
綱目曰, 瘀血燥結, 宜用玉燭散 方見胞門.

下焦蓄血, 桃仁五靈脂生地黃大黃甘草, 利而逐之[直指].

강목에서는 "어혈이 말라 뭉친 데는 옥촉산(처방은 포문(胞門)에 있다)을 쓴다"고 하였다.

하초에 어혈이 몰려 있으면[下焦蓄血] 도인, 오령지, 생지황, 대황, 감초로

설사시켜[利] 어혈을 몰아낸다(직지).

沒藥蘇木水蛭虻蟲五靈脂留尖桃仁, 皆破瘀血[本草].

몰약, 소목, 수질[거머리], 맹충[등에], 오령지, 도인(뾰족한 꼭지를 그대로 둔 것)은

모두 어혈을 친다(본초).

生韭汁, 善治胸膈間瘀血, 甚效[丹心].

생구즙[날부추즙]은 가슴 부위의 어혈을 잘 다스리는데, 효과가 매우 좋다(단심).  

'[內景篇] > [血]' 카테고리의 다른 글

[衄血][육혈]   (0) 2019.10.25
[亡血脫血證][망혈탈혈증]   (0) 2019.10.24
[辨血色新舊][변형색신구]   (0) 2019.10.23
[失血諸證][실혈제증]   (0) 2019.10.23
[內傷失血][내상실혈]   (0) 2019.10.22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