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心胃痛宜吐][심위통의토]
凡心痛皆痰粘, 通用二陳湯 方見痰飮, 隨證加減[入門].
일반적으로 심통은 모두 담이 엉겨 붙어 생긴다.
이진탕(담음문)을 두루 쓰는데 증(證)에 따라 더하거나 뺀다(입문).
凡痛攻走腰背, 發厥嘔吐, 諸藥不效,
二陳湯, 加蒼朮, 川芎, 梔子, 煎服, 探吐積痰, 椀許乃愈[入門].
일반적으로 아픈 것이 허리와 등까지 뻗치고 팔다리가 차가워지며 토하는데
여러 약을 써도 좋아지지 않으면
이진탕에 창출, 천궁, 치자를 더 넣어 달여 먹이고
쌓인 담[積痰]을 한 사발 정도 토하게 하면 낫는다(입문).
多飮鹽湯, 以鵝翎探吐痰積, 痛卽止[醫鑑].
끓인 소금물을 많이 마시고 거위 깃털로 목구멍을 간질여서
쌓인 담을 토하게 하면 아픈 것이 바로 멎는다(의감).
飮食過傷, 心胸痛甚, 不省人事, 多飮薑鹽湯, 探吐之, 卽止痛[雜著].
너무 많이 먹어 가슴이 몹시 아프고 사람을 알아보지 못하는 데는
강염탕을 많이 마시게 하여 토하게 하면 아픈 것이 멎는다(잡저).
食積痰, 心胃痛甚, 以瓜蔕散 方見吐門, 吐之.
又蘿葍子五合, 油炒擂碎, 和漿水濾汁, 入油與蜜, 各少許, 旋旋溫服, 吐之[丹心].
식적담(食積痰)으로 심위통(心胃痛)이 심하면 과체산(처방은 토문에)으로 토하게 한다.
또 나복자(기름에 볶아 갈아 부순 것) 닷 홉과 좁쌀미음 웃물 거른 즙에
기름과 꿀을 약간씩 넣어 저어서 조금씩 따뜻하게 먹여 토하게 한다(단심).
'[外形篇] > [胸]' 카테고리의 다른 글
[飮食禁忌][음식금기] (0) | 2020.02.23 |
---|---|
[心胃痛宜下][심위통의하] (0) | 2020.02.23 |
[心胃痛劫藥][심위통겁약] (0) | 2020.02.23 |
[諸痛不可用補氣藥]제통불가용보기약] (0) | 2020.02.23 |
[心胃痛治法][심위통치법] (0) | 2020.02.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