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熱心痛][열심통]
積熱攻心, 暑毒入心, 面目赤黃, 身熱煩躁, 掌中熱, 大便堅.

宜連附六一湯, 金鈴子散, 莎芎散, 梔薑飮. 甚者, 大承氣湯 方見寒門, 下之[入門].
쌓인 열이 심(心)을 치거나 심한 더위가 심에 들어가면 얼굴과 눈이 붉고 누렇게 되며 몸에 열이 나면서 답답하게 되고 손바닥에서 열이 나며 대변이 굳어진다.
연부육일탕, 금령자산, 사궁산, 치강음 등을 쓰고,

심하면 대승기탕(한문에)으로 설사시킨다(입문).
實熱心痛, 小柴胡湯 方見寒門, 去人蔘甘草, 加枳 殼梔子仁 赤芍藥 各一錢, 水煎服[醫鑑].
실열(實熱)로 심통이 생기면 소시호탕(한문에)에서 인삼과 감초를 빼고

지각, 치자인, 적작약 각 한 돈을 더 넣어 물에 달여 먹는다(의감). 

'[外形篇] > [胸]' 카테고리의 다른 글

[心痛亦有六][심통역유육]  (0) 2020.02.22
[去來痛][거래통]  (0) 2020.02.22
[冷心痛][냉심통]  (0) 2020.02.21
[飮心痛][음식통]  (0) 2020.02.21
[食心痛][식심통]   (0) 2020.02.21

[冷心痛][냉심통]
寒氣客於背兪之脈, 則血脈澁, 血脈澁則血虛,

血虛則痛, 其兪注於心, 故相引而痛[內經].
한기가 배수혈이 있는 경맥[背兪之脈]에 침입하면 혈맥이 잘 흐르지 못하고

혈맥이 잘 흐르지 못하면 혈허하게 되고 혈허하게 되면 아프게 되는데,

배수혈의 기는 심으로 흘러들어가므로 서로 당기며 아프다(내경).
形寒飮冷, 當風取凉, 或腎邪乘心, 痛則心懸若飢, 泄利下重. 宜五積散[入門].
몸이 찬데 찬 것을 마시고 바람을 쐬어 몸을 서늘하게 하거나

혹은 신(腎)의 사기가 심(心)에 침입하여 생기는데,

아플 때면 가슴에 무엇인가 매달린 것 같고 배고픈 것 같으며 설사를 하면서 뒤가 묵직하다.

오적산을 쓴다(입문).
寒冷心痛,

宜扶陽助胃湯, 桂枝四七湯, 雞舌香散, 神效散, 卻痛散, 草豆蔲丸, 溫胃湯, 抽刀散, 二薑丸.
한랭(寒冷)으로 심통이 생기면

부양조위탕, 계지사칠탕, 계설향산, 신효산, 각통산, 초두구환, 온위탕, 추도산, 이강환 등을 쓴다.  

'[外形篇] > [胸]' 카테고리의 다른 글

[去來痛][거래통]  (0) 2020.02.22
[熱心痛][열심통]   (0) 2020.02.21
[飮心痛][음식통]  (0) 2020.02.21
[食心痛][식심통]   (0) 2020.02.21
[悸心痛][계심통]   (0) 2020.02.21

[飮心痛][음식통]
傷水飮, 聚痰涎, 心痛如刺.

宜芎夏湯 方見痰飮, 五苓散 方見寒門.

水飮流注, 胸脇痛, 三花神祐丸方見下門[入門].
수음(水飮)에 상하여 담연이 몰려 찌르는 듯한 심통이 생긴 데는

궁하탕(담음문에)이나 오령산(한문에)을 쓰고,

수음이 흘러들어 가슴과 옆구리가 아픈 데는

삼화신우환(하문에)을 쓴다(입문).   

'[外形篇] > [胸]' 카테고리의 다른 글

[熱心痛][열심통]   (0) 2020.02.21
[冷心痛][냉심통]  (0) 2020.02.21
[食心痛][식심통]   (0) 2020.02.21
[悸心痛][계심통]   (0) 2020.02.21
[疰心痛][주심통]   (0) 2020.02.21

[食心痛][식심통]
因食生冷, 或食物過多, 以致心痛.

宜香蘇散 方見寒門, 平胃散 方見五藏, 香砂養胃湯 方見內傷[入門].
날것이나 찬 것을 먹거나 음식을 너무 많이 먹어서 심통까지 생겼을 때는

향소산(한문에), 평위산(오장문에), 향사양위탕(내상문에) 등을 쓴다(입문).

'[外形篇] > [胸]' 카테고리의 다른 글

[冷心痛][냉심통]  (0) 2020.02.21
[飮心痛][음식통]  (0) 2020.02.21
[悸心痛][계심통]   (0) 2020.02.21
[疰心痛][주심통]   (0) 2020.02.21
[蟲心痛][충심통]  (0) 2020.02.21

[悸心痛][계심통]
因七情怔忡驚悸, 以致心痛.

宜四七湯 方見氣門, 加味四七湯 方見神門, 七氣湯, 正氣天香湯 方並見氣門[入門].
칠정으로 정충(怔忡), 경계(驚悸)가 있고 심통까지 생겼을 때는
사칠탕(처방은 기문에), 가미사칠탕(처방은 신문에), 칠기탕,

정기천향탕(두 처방 모두 기문에) 등을 쓴다(입문).
心傷者勞役, 則頭面赤而下重, 心中痛而自煩發熱, 臍上跳其脈弦.

宜辰砂妙香散 方見神門[入門].
심(心)이 상한데다 힘들게 일하면 머리와 얼굴이 붉어지고 아랫도리가 묵직하며

가슴 속이 아프고 이유 없이 답답하며 열이 나고 배꼽 위에서 뛰는 맥이 현(弦)하다.

진사묘향산(처방은 신문에 있다)을 쓴다(입문).

'[外形篇] > [胸]' 카테고리의 다른 글

[飮心痛][음식통]  (0) 2020.02.21
[食心痛][식심통]   (0) 2020.02.21
[疰心痛][주심통]   (0) 2020.02.21
[蟲心痛][충심통]  (0) 2020.02.21
[心痛有九種][심통유구종]   (0) 2020.02.21

[疰心痛][주심통]
卒感惡忤尸疰, 神昏卒倒, 口噤不省. 宜蘇合香元 方見氣門.
갑자기 중악이나 객오, 시주(尸疰)에 감촉되어 정신이 혼미하여 졸도하고

이를 악물며 깨어나지 못하는 데는 소합향원(처방은 기문에 있다)을 쓴다.
備急丸 方見救急.
비급환(처방은 구급문에 있다)을 쓴다
與中惡同治[入門].
중악(中惡)과 같이 치료한다(입문).

'[外形篇] > [胸]' 카테고리의 다른 글

[食心痛][식심통]   (0) 2020.02.21
[悸心痛][계심통]   (0) 2020.02.21
[蟲心痛][충심통]  (0) 2020.02.21
[心痛有九種][심통유구종]   (0) 2020.02.21
[心痛與胃脘痛病因不同][심통여위완통인부동]   (0) 2020.02.21

[蟲心痛][충심통]
胃脘痛, 痛定便能食, 時作時止者, 是虫痛也[丹心].
위완 부위가 아픈데, 아픈 것이 멎으면 바로 식사를 할 수 있으면서

때로 아팠다가 그쳤다가 하는 것은 충 때문에 아픈 것이다(단심).
心痛吐水者, 虫痛, 不吐水, 冷心痛[綱目].
심통(心痛)에 물을 토하는 것은 충심통(蟲心痛)이고 물을 토하지 않는 것은 냉심통이다(강목).
虫痛之證, 心腹痛, 上下攻刺, 嘔噦涎沫, 或吐淸水, 面色靑黃.

宜化虫丸, 化虫散, 妙應丸 三方並見虫門.
충심통의 증상은 명치와 배가 아파 아래위로 찌르는 것 같고 토하며 헛구역질을 하고

멀건 침과 거품을 흘리며 혹은 맑은 물을 토하기도 하고 얼굴색은 푸르며 누렇다.

화충환, 화충산, 묘응환 등을 쓴다(세 가지 처방 모두 충문에 있다).
虫痛, 二陳湯 方見痰飮, 加苦練根, 煎服[醫鑑].
충심통에는 이진탕(처방은 담음문에 있다)에 고련근을 넣어 달여 먹는다(의감).
虫痛, 小兒多有之.

當與虫部參考治之. 
충심통은 소아에게 많이 있다.

충문을 참고하여 치료하여야 한다.   


'[外形篇] > [胸]' 카테고리의 다른 글

[悸心痛][계심통]   (0) 2020.02.21
[疰心痛][주심통]   (0) 2020.02.21
[心痛有九種][심통유구종]   (0) 2020.02.21
[心痛與胃脘痛病因不同][심통여위완통인부동]   (0) 2020.02.21
[脈法][맥법]  (0) 2020.02.21

[心痛有九種][심통유구종]
一曰虫, 二曰疰, 三曰風, 四曰悸, 五曰食, 六曰飮, 七曰冷, 八曰熱, 九曰去來, 下通用, 手拈散, 九痛元, 通靈散, 拈痛元, 神聖代鍼散 方見前陰. 
심통에는 충심통, 주심통, 풍심통, 계심통, 식심통, 음심통, 냉심통, 열심통, 거래통이 있다.

아래의 수점산, 구통원, 통령산, 점통원, 신성대침산(처방은 전음문) 등을 두루 쓴다.

'[外形篇] > [胸]' 카테고리의 다른 글

[疰心痛][주심통]   (0) 2020.02.21
[蟲心痛][충심통]  (0) 2020.02.21
[心痛與胃脘痛病因不同][심통여위완통인부동]   (0) 2020.02.21
[脈法][맥법]  (0) 2020.02.21
[臟腑經脈皆貫膈][장부경맥개관격]   (0) 2020.02.21

[心痛與胃脘痛病因不同][심통여위완통인부동]
心之包絡, 與胃口相應, 往往脾痛連心.

或陽虛陰厥, 亦令心下急痛[直指].

심포락은 위(胃)의 입구와 서로 대응하고 있으므로 종종 비통이 심(心)에까지 이어진다.

혹은 양기가 허하여 음기가 거꾸로 치받아도 명치가 조이면서 아프다(직지).

眞心痛, 卽死不治.

其久心痛者, 是心之支別絡, 爲風邪冷熱所乘痛.

故成疹不死, 發作有時, 經久不得差也[得效].

진심통은 곧 죽으므로 치료하지 못한다.

오랫동안 심통이 있는 것은 심에서 갈라진 별락(別絡)이

풍사와 냉열(冷熱)의 침입을 받아서 아픈 것이다.

그러므로 병을 앓아도 죽지 않고 때로 발작하면서 오래도록 낫지 않는다(득효).

胃之上口, 名曰賁門.

賁門, 與心相連, 故經所謂胃脘當心而痛.

今俗呼爲心痛者, 誤也.

夫九種心痛, 詳其所由, 皆在胃脘, 而實不在於心也[正傳].

위의 상구(上口)를 분문(賁門)이라고 한다.

분문은 심과 서로 연결되어 있다.

그러므로 내경에서는 "위완이 병들면 심의 부위가 아프다"고 하였다.

요즘 민간에서 심통이라고 하는 것은 잘못된 것이다.

구종심통의 원인을 자세히 살펴보면 모두 위완에 있고 실제로는 심에 있지 않다(정전).

胃脘當心而痛, 脾藏連心而痛.

局方皆云心痛, 盖心痛少, 而脾胃痛居多.

心痛, 因傷思慮, 脾胃痛, 因傷飮食, 或痰飮故也[入門].

위완이 병들면 심의 부위가 아프고 비(脾)가 병들면 심까지 아프다.

국방에서 말한 '심통'은 대개 심이 아픈 것은 적고 비위가 아픈 것이 대부분이다.

심통은 생각이 지나쳐서 생긴 것이고,

비위통은 음식에 상하거나 담음에 의하여 생긴 것이기 때문이다(입문).

心病者, 胸中痛[內經].

심이 병들면 가슴이 아프다(내경).

諸經心痛引背, 多屬風冷, 諸府心痛難以俛仰嘔瀉, 多屬熱[入門]

경병(經病)으로 심통이 있으면서 등이 땅기는 것은 대개 풍랭에 속하고,

부병(府病)으로 심통이 있으면서 몸을 구부리고 펴는 것이 어렵고 토하고

설사하는 것은 대개 열(熱)에 속한다(입문).   

'[外形篇] > [胸]' 카테고리의 다른 글

[蟲心痛][충심통]  (0) 2020.02.21
[心痛有九種][심통유구종]   (0) 2020.02.21
[脈法][맥법]  (0) 2020.02.21
[臟腑經脈皆貫膈][장부경맥개관격]   (0) 2020.02.21
[胸膈部位][흉격부위]  (0) 2020.02.21

[脈法][맥법]
脈陽微陰弦, 則胸痺而痛,

陽微故知在上焦, 陰弦故知胸痺心痛[仲景].

양맥[촌맥]이 미(微)하고 음맥[척맥]이 현(弦)하면 가슴이 저리면서 아프다.

양맥이 미한 것으로 병이 상초에 있는 것을 알 수 있고,

음맥이 현한 것으로 가슴이 저리면서 아픈 것을 알 수 있다(중경).

胸痺痛, 寸口脈, 沈而遲, 關上, 小緊而數[仲景].

흉비통에 촌구맥은 침지(沈遲)하고 관맥은 소(小)하며 긴삭하다(중경).

心腹痛, 宜見沈細, 不宜見浮大[得效].

심복통은 맥이 침세(沈細)해야지 부대(浮大)해서는 안 된다(득효).

心腹痛, 脈宜沈細, 忌浮大弦長[醫鑑].

심복통은 맥이 침세해야지 부대현장(浮大弦長)해서는 안 된다(의감).

心腹痛, 脈沈細宜, 浮大弦長命必殂[脈訣].

심복통은 맥이 침세해야지 부대현장하면 목숨이 위태롭다(맥결).

沈弦細動, 皆是痛證, 心痛在寸, 腹痛在關, 下部在尺, 脈象顯然[脈訣].

침현세동(沈弦細動)한 맥은 모두 통증이 있을 때 나타나는 맥인데,

심통은 촌(寸)에서 나타나고, 복통은 관(關)에서 나타나며,

하부의 통증은 척(尺)에서 맥상이 나타난다(맥결).

胸痞脈滑, 爲有痰結, 弦伏亦痞, 澁則氣劣[脈訣].

흉비에 맥이 활(滑)한 것은 담결(痰結)이 있는 것이고

맥이 현복한 것도 역시 비증(痞症)이 있는 것이며 맥이 삽한 것은 기가 약한 것이다(맥결).

心痛, 左手脈數, 熱多也, 脈瀒, 有死血也.

右手脈緊實, 是痰積也, 脈大必, 是久病也.

兩手脈堅實, 不大便, 可下之, 痛甚者, 脈必伏[丹心].

심통에 왼손의 맥이 삭한 것은 열이 많은 것이고 색한 것은 어혈이 있는 것이다.

오른손의 맥이 긴실한 것은 담이 쌓인 것이고 대(大)한 것은 반드시 오래된 병이 있는 것이다.

양쪽 손의 맥이 견실하면 대변을 보지 못하므로 설사시켜야 하며,

통증이 심하면 반드시 복맥이 나타난다(단심).

痞病, 右關脈多弦, 弦而遲者, 必心下堅[正傳].

비병(痞病)에는 오른쪽 관맥이 대개 현한데,

현하면서 지(遲)하면 반드시 명치 부위가 단단하다(정전).

心脈微急爲痛, 微大爲心痺引背痛, 短而數或瀒者, 心痛[正傳].

심맥(心脈)이 약간 급한 것은 가슴에 통증이 있는 것이고

약간 대(大)한 것은 가슴이 저리며 등까지 당기면서 아픈 것이며 단하면서 삭하거나

혹은 색한 것은 심통이다(정전).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