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脈法][맥법]
脈陽微陰弦, 則胸痺而痛,

陽微故知在上焦, 陰弦故知胸痺心痛[仲景].

양맥[촌맥]이 미(微)하고 음맥[척맥]이 현(弦)하면 가슴이 저리면서 아프다.

양맥이 미한 것으로 병이 상초에 있는 것을 알 수 있고,

음맥이 현한 것으로 가슴이 저리면서 아픈 것을 알 수 있다(중경).

胸痺痛, 寸口脈, 沈而遲, 關上, 小緊而數[仲景].

흉비통에 촌구맥은 침지(沈遲)하고 관맥은 소(小)하며 긴삭하다(중경).

心腹痛, 宜見沈細, 不宜見浮大[得效].

심복통은 맥이 침세(沈細)해야지 부대(浮大)해서는 안 된다(득효).

心腹痛, 脈宜沈細, 忌浮大弦長[醫鑑].

심복통은 맥이 침세해야지 부대현장(浮大弦長)해서는 안 된다(의감).

心腹痛, 脈沈細宜, 浮大弦長命必殂[脈訣].

심복통은 맥이 침세해야지 부대현장하면 목숨이 위태롭다(맥결).

沈弦細動, 皆是痛證, 心痛在寸, 腹痛在關, 下部在尺, 脈象顯然[脈訣].

침현세동(沈弦細動)한 맥은 모두 통증이 있을 때 나타나는 맥인데,

심통은 촌(寸)에서 나타나고, 복통은 관(關)에서 나타나며,

하부의 통증은 척(尺)에서 맥상이 나타난다(맥결).

胸痞脈滑, 爲有痰結, 弦伏亦痞, 澁則氣劣[脈訣].

흉비에 맥이 활(滑)한 것은 담결(痰結)이 있는 것이고

맥이 현복한 것도 역시 비증(痞症)이 있는 것이며 맥이 삽한 것은 기가 약한 것이다(맥결).

心痛, 左手脈數, 熱多也, 脈瀒, 有死血也.

右手脈緊實, 是痰積也, 脈大必, 是久病也.

兩手脈堅實, 不大便, 可下之, 痛甚者, 脈必伏[丹心].

심통에 왼손의 맥이 삭한 것은 열이 많은 것이고 색한 것은 어혈이 있는 것이다.

오른손의 맥이 긴실한 것은 담이 쌓인 것이고 대(大)한 것은 반드시 오래된 병이 있는 것이다.

양쪽 손의 맥이 견실하면 대변을 보지 못하므로 설사시켜야 하며,

통증이 심하면 반드시 복맥이 나타난다(단심).

痞病, 右關脈多弦, 弦而遲者, 必心下堅[正傳].

비병(痞病)에는 오른쪽 관맥이 대개 현한데,

현하면서 지(遲)하면 반드시 명치 부위가 단단하다(정전).

心脈微急爲痛, 微大爲心痺引背痛, 短而數或瀒者, 心痛[正傳].

심맥(心脈)이 약간 급한 것은 가슴에 통증이 있는 것이고

약간 대(大)한 것은 가슴이 저리며 등까지 당기면서 아픈 것이며 단하면서 삭하거나

혹은 색한 것은 심통이다(정전).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