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疏五過][소오과]
黃帝曰.
嗚呼.遠哉閔閔乎.
若視深淵.若迎浮雲.
視深淵?可測.迎浮雲莫知其際.
聖人之術.爲萬民式.論裁志意.必有法則.循經守數.
按循醫事.爲萬民副.故事有五過四?.汝知之乎.
黃帝께서 가라사대, "嗚呼라, 遠하도다!
閔閔함이여, 深淵을 視함 같고 浮雲을 迎함 같도다!
深淵을 視함은 오히려 可히 測(量)할 수 있거니와,
浮雲을 迎함은 그 (邊)際를 알 수 없도다!
聖人의 術은 萬民의 式이 되므로,
志意를 論裁함에 반드시 法則을 두고, 經에 循하여 數를 守하며,
醫事를 按循하여 萬民의 副가 되나니,
그러므로 事에는 五過와 四德이 있는데, 그대는 그것을 아는가?"
雷公避席再拜曰.
臣年幼小.蒙愚以惑.不聞五過與四?.
比類形名.?引其經.
心無所對.
雷公이 避席하여(자리를 내려서서) 再拜하고 가로되,
"臣은 나이가 幼小하여 蒙愚하고 (迷)惑하여 五過와 四德을 듣지 못하와,
形名을 比類하되 그 經을 헛되이(虛) 引(用)하니,
마음에 對(答)할 바가 없나이다."
帝曰.
凡未診病者.必問嘗貴後?.
雖不中邪.病從?生.名曰?營.
嘗富後貧.名曰失精.
五氣留連.病有所?.
醫工診之.不在藏府.
不變?形.診之而疑.不知病名.
身體日減.氣?無精.病深無氣.??然時驚.
病深者.以其外耗於?.?奪於榮.
良工所失.不知病情.此亦治之一過也.
帝께서 가라사대,
"무릇 아직 病을 診(察)하지 않은 者는, 반드시 일찌기 貴하다가 後에 賤하여진지를 問할 것이니,
비록 邪에 中하지 아니하였더라도 病이 안으로부터 生하나니,
이름을 脫營이라 하고,
일찌기 富하다가 後에 貧하여져서 생긴 病은, 이름을 失精이라 하는데,
五氣가 留連하여 病에 幷한 바가 있음이니라. 醫工이 이를 診(察)함에
藏府에 있지도 아니하고 軀形을 變(化)시키지도[軀形이 變하지도] 아니하므로,
診(察)하고 疑(心)하되 病名은 알지 못하나,
身體가 날로 減하(여지)니[減하여], 氣가 虛해져서 精이 없어지고
病이 깊어짐에 氣가 없어져서 朝朝然하게 때로 놀라니,
病이 깊어진 것은 그 밖으로 衛에 耗하고[衛가 (消)耗되고] 안으로 榮[營]에 脫함이라,
凡欲診病者.必問飮食居處.
暴樂暴苦.始樂後苦.皆傷精氣.精氣竭絶.形體?沮.
暴怒傷陰.暴喜傷陽.厥氣上行.滿?去形.
良工이라도 失手하는 바는 病情을 알지 못함이니,
이것이 또한 治(療)의 첫째 過(失)이니라.
무릇 病을 診하고자 하는 者는 반드시 飮食, 居處와
暴樂, 暴苦와 始樂後苦를 問할 것이니, 모두 精氣를 傷하는데,
精氣가 竭絶하여지면 形體가 毁沮해짐이니라.
暴怒는 陰을 傷하고 暴喜는 陽을 傷하는데,
厥氣가 上行하여 脈에 滿하면 神이 形을 去하느니라.
愚醫治之.不知補寫.不知病情.
精華日?.邪氣乃?.此治之二過也.
善爲?者.必以比類奇恒.從容知之.
爲工而不知道.此診之不足貴.
此治之三過也.
愚醫는 이를 治하되 補瀉를 알지 못하고 病情을 알지 못하는지라,
精華가 날로 脫하고 邪氣가 이에 幷하게 되나니,
이것이 治의 둘째 過失이니라.
診脈을 잘 하는 者는
반드시 病의 奇恒을 比類, 辨別하고 從容(,揆度)함으로써 이를 知하나니,
工이 되어 道를 알지 못하면, 이는 診(察)이 足히 貴히 여길 만하지 못하니,
이는 治의 세번째 過失이니라.
診有三常.必問貴?.封君敗傷.及欲侯王.
故貴?勢.雖不中邪.精神?傷.身必敗亡.
始富後貧.雖不傷邪.皮焦筋屈.??爲攣.
醫不能嚴.不能動神.外爲柔弱.亂至失常.
病不能移.則醫事不行.
此治之四過也.
診(察)에는 三常이 있으니,
반드시 貴賤과 封君敗傷(封邑을 받은 貴族이 벼슬을 잃음) 및 侯王(諸侯나 임금)이 되고자 했는지를 물어야 하느니라.
그러므로 貴하다가 勢力을 빼앗기(脫)면, 비록 病邪에 中하지 아니하더라도
精神이 안으로 傷하여 몸이 반드시 敗亡하며;
처음에 富하다가 뒤에 貧하여지면, 비록 病邪에 傷하지 아니하더라도
皮가 焦하게 되고 筋이 屈하게 되며 위벽(足이 위弱하여 걷지 못함)하여 拘攣하게 되느니라.
醫師가 能히 嚴肅하지 못하여 能히 神을 動하게 하지 못하고,
밖으로는 柔弱하여 亂함이 常을 失함에 至하여
病이 能히 낫는 방향으로 移하여 지지 못하면, 醫事가 行하여지지 못하나니,
이것이 治의 네번째 過失이니라.
凡診者必知終始.有知餘?.
切?問名.當合男女.
離絶?結.憂恐喜怒.五藏空?.
血氣離守.工不能知.何術之語.
嘗富大傷.斬筋絶?.
身體復行.令澤不息.
故傷敗結留.薄歸陽膿.
積寒炅.粗工治之.?刺陰陽.
身體解散.四支轉筋.死日有期.
醫不能明.不問所發.唯言死日.
亦爲粗工.此治之五過也.
무릇 診者는 반드시 終과 始를 알아야 하고,
또한(('有'通'又')) 餘緖를 알아야 하며, 脈을 切하고 名((病症))을 問하되 마땅히 男女에 合해야((符合되게 해야)) 하느니라.
離(離別)絶(挫折)원(思慮鬱積)結((鬱結))과 憂恐喜怒에 五藏이 空虛하여
血氣가 守를((제자리를)) 離하는데, (醫)工이 能히 (이를) 알지 못한다면, 무슨[어찌] (醫)術을 말하겠는가!
일찌기 富하다가 크게 傷(心)하여[일찌기 大傷을 當하여(('富'字誤, 宜作'當'))] 筋脈이 斬絶되면,
身體가 다시 行하(여 지게 되)더라도 澤이 息하지((불어나지)) 못하(게 하)며[令澤이 息하지 못하며],
故傷((묵은 상처))이 敗結하여[故傷敗結이] 留(하면서 )薄하여 陽(分)에 歸하면[故로 傷敗가 結하여 留하며 薄하여 陽(分)에 歸하면],
膿이 積하여 寒炅((寒熱))하(게 되)나, 粗工이 이를 治함에 자주 陰陽(經絡)을 刺하여,
身體가 解散하고 四支((四肢))가 轉筋하(게 되)면, 死日((죽을 날))에 期가 있게 되는데,
醫(師)가 能히 明하지 못하여 發(하게 )한 바를 不問하고 오직 死日을 말한다면
또한 粗工이 되니, 이것이 治의 다섯째 過(失)이니라.
凡此五者.
皆受術不通.人事不明也.
故曰.聖人之治病也.
必知天地陰陽.四時經紀.
五藏六府.雌雄表裏.刺灸?石.
毒藥所主.從容人事.以明經道.
貴?貧富.各異品理.
問年少長.勇怯之理.
審於分部.知病本始.八正九候.
診必副矣.
무릇 이 다섯가지 허물은
모두 術를 受하(였으)되 通(達)하지 못하고[못하여],
人事에 明하지 못함이니라.
그러므로 가로되, 聖人이 病을 治함은
반드시 天地陰陽과 四時經紀와
五藏六府와 雌雄表裏((여기서의 雌雄은 經脈을 가리켜서 한 말로 六陰經은 雌가 되고 六陽經은 雄이 됨))와 刺灸泛石과
毒藥所主와 從容人事를 知하여 經道((經常之道))를 明하나니,
貴賤貧富에 (따라서) 각기 品理를 달리 하고,
나이의 少長과 勇怯의 理를 묻고,
分部를 審하여 病의 本始와 八正九候를 知하면,
診(察)이 반드시 副((全))하리라.
[經道를 明하고, 貴賤貧富에 (따라서) 각기 品理를 달리 하고, 나이의 少長과 勇怯의 理를 묻고, 分部를 審하여 病의 本始와 八正九候를 知하니, 診(察)이 반드시 副하느니라].
治病之道.氣?爲?.
循求其理.求之不得.過在表裏.
守數據治.無失兪理.
能行此術.終身不殆.
不知兪理.五藏?熟.癰發六府.
診病不審.是謂失常.
謹守此治.與經相明.
上經下經.揆度陰陽.
奇恒五中.決以明堂.
審於終始.可以?行
治病의 道는 氣內(氣를 納함)를 寶로 삼나니,
그 理를 따라서 求하되 求하여도 得하지 못함은[못하면],
過가 表裏에 있나니라.
數를 守하여 據하여 治하되 兪(穴)의 理를 失함이 없고
[數를 守하여 據하여 治하면 兪穴의 理를 失함이 없나니],
能히 이 術을 行한다면 終身토록 위태롭지 않(겠)거니와,
兪(穴)의 理를 알지 못(하고 망녕되이 치료)하면 五藏이 鬱熱((原作'鬱熟',據《吳注素問》改))하여 癰이 六府에 發하느니라.
病을 診(察)함에 審하지 아니함 --- 이를 失常이라 이르거니와,
삼가 이를 守하여 治한다면 經과 더불어 서로 明하리니,
《上經》《下經》으로 陰陽을 揆度하고,
奇恒五中을 明堂(의 氣色)으로써 決하여[決하고]
終始를 審한다면, 可히 써 橫行할((마음대로 할)) 수 있나니라."
'[黃帝內經] > [素問]' 카테고리의 다른 글
[陰陽類][음양유] (6) | 2025.06.13 |
---|---|
[徵四失][징사실] (2) | 2025.06.07 |
[示從容][시종용] (2) | 2025.05.26 |
[著至敎][저지교] (0) | 2025.05.19 |
[至眞要][지진요] (0) | 2025.05.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