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脈法][맥법]
平人脈大爲勞 脈極虛 亦爲勞(仲景).
보통사람의 맥이 대(大)하면 허로병(虛勞病)이다.
맥이 몹시 허(虛)한 것도 허로병이다[중경].
氣虛 則脈弦 血虛 則脈大(靈樞).
기가 허하면 맥이 현(弦)하고 혈이 허하면 맥이 대하다[영추].
凡人 脈虛細弱者 勞也. 脈弦而大 弦則爲減 大則爲芤 減則爲寒 芤則爲虛 虛寒相搏 此名爲革.
婦人 則半産漏下 男子 則亡血失精(仲景).
대체로 맥이 허(虛), 세(細), 약(弱)한 것은 허로병이다.
맥이 현하면서 대한데 현한 것은 감맥(減脈)이 되고 대한 것은 규맥( 脈)이 된다.
감맥이면 한증(寒證)이고 규맥이면 허증(虛證)이다.
허와 한이 부딪치면 혁맥(革脈)이 나타나는데 부인인 경우에는 유산하였거나
피를 조금씩 계속 하혈할 때와 남자인 경우에는 피를 많이 흘렸거나 실정(失情)㈜ 때에 나타난다[중경].
寸口脈 微而澁 微者 衛氣衰 澁者 榮氣不足.
衛氣衰 面色黃 榮氣不足 面色靑 榮爲根 衛爲葉.
榮衛俱微 則根葉槁枯 而寒慄 咳逆 唾腥 吐涎沫(仲景).
촌구맥(寸口脈)이 미(微)하면서 삽(澁)한데 미한 것은 위기(衛氣)가 쇠약한 것이고 삽한 것은
영기(榮氣)가 부족한 것이다. 위기가 쇠약하면 얼굴빛이 누르고 영기가 부족하면 얼굴빛이 푸르다.
영(榮)은 뿌리가 되고 위(衛)는 잎이 되는데 영위가 다 약해지면 뿌리와 잎이 다 말라들면서
추워서 떨고 기침하며 기운이 치밀며 가래침에서 비린내나고 거품느침을 토한다[중경].
脈來軟者 爲虛.
緩者 爲虛.
微者 爲虛.
弱者 爲虛.
弦者 爲中虛.
脈細而微者 血氣俱虛 脈小者 血氣俱少.
脈大而芤者 脫血 血虛脈大 如葱管.
脈沈者 遲者 脫氣(脈經).
맥이 연(軟)하면 허증(虛證)이다.
맥이 완(緩)하면 허증이다.
맥이 미(微)하면 허증이다.
맥이 약(弱)하면 허증이다.
맥이 현(弦)하면 중허이다.
맥이 세(細)하면서 미(微)한 것은 혈기가 다 허한 것이고 맥이 소한 것은 기혈이 다 적은 것이다.
맥이 대(大)하면서 규( )한 것은 피를 많이 흘린 것인데 혈이 허하면 맥이 대하면서 파잎을 만질 때와 같다.
맥이 침(沈)한 것과 지(遲)한 것은 기운이 몹시 빠진 것이다[맥경].
平脈 弦大 勞損而虛 大而無力 陽衰易扶 數而無力 陰火難除. 寸弱上損 浮大裏枯
尺寸俱微 五勞之軀血羸 左濡 氣惟右推 左右微小 氣血無餘(回春).
평맥(平脈)이 현대(弦大)한 것은 노손증(勞損證)인데 허대(虛大)하고 힘이 없으면 양기가 쇠약한 것이므로
치료하기 쉬우나 삭(數)하고 힘이 없으면 음이 허하여 화가 동한 것이므로 치료하기 어렵다.
촌맥이 약하면 상초(上焦)가 허손된 것이고 부대(浮大)하면 속이 마른 것이다.
척맥과 촌맥이 다 미약하면 5로증(五勞證)이 된 사람이다. 혈이 적으면 왼쪽 맥이 유(濡)하고 기가 약하면
오른쪽 맥이 유하고 오른쪽과 왼쪽 맥이 다 미소(微小)하면 기혈이 부족한 것이다[회춘].
男子久病 氣口脈弱 則死 强則生.
女人久病 人迎脈强 則生 弱則死(丹心).
남자의 오랜 병에 기구맥(氣口脈)이 약하면 위급하고 강하면 산다.
여자의 오랜 병에 인영맥(人迎脈)이 강하면 살고 약하면 위태롭다[단심].
虛勞之脈 大抵 多弦 或浮大 或數大者 易治, 血氣未定 可斂而正也.
弦者 難治, 血氣已耗 未易調補若帶雙弦 則爲賊邪侵脾 尤爲難治, 加數極 則殆(直指).
허로 때의 맥이 대개 현한데 혹 부대하거나 삭대한 것은 치료하기 쉽다.
혈기가 안정되지 못하였을 때에는 수렴하여 바로잡아야 한다.
맥이 현한 것은 치료하기 어렵다.
기혈이 이미 소모되었을 때에는 조리하고 보하기 어렵다.
만약 양쪽 맥이 다 현하면 적사(賊邪)가 비를 침범한 것이므로 치료하기 더 어렵다.
여기에 삭(數)한 맥이 겹치면 더 위태롭다[직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