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肺虛藥][폐허약]

 

虛勞證 咳嗽痰盛 氣急 或唾血 此爲肺虛

宜用人參膏 獨參湯二方見氣門 人參黃芪散

團參飮子 保和湯方見下.

허로증으로 기침하고 가래가 성하며 숨이 가쁘고 혹 피를 뱉는 것은 폐가 허하기 때문이다.

이때는 인삼고, 독삼탕(2가지 처방은 기문에 있다), 인삼황기산,

단삼음자(처방은 기침문에 있다), 보화탕(처방은 아래에 있다)을 쓰는 것이 좋다.

'[雜病篇] > [虛勞]' 카테고리의 다른 글

[虛勞通治藥][허로통치약]  (0) 2020.07.20
[腎虛藥][신허약]  (0) 2020.07.19
[脾虛藥][비허약]  (0) 2020.07.19
[肝虛藥][간허약]  (0) 2020.07.19
[心虛藥][심허약]  (0) 2020.07.19

[脾虛藥][비허약]

 

虛勞證 肌肉消瘦 飮食不進 此是脾虛.

宜用天眞元 還元丹二方並見內傷 橘皮煎元

參苓白朮散方見內傷 烏朮丸 潤腎丸 大山芋元 參朮調元膏

參苓白朮丸 九仙王道糕三方見內傷.

허로증으로 살이 여위며 음식을 먹지 못하는 것은 비가 허하기 때문이다.

이런 때에는 천진원, 환원단(2가지 처방은 위에 있다), 귤피전원,

삼령백출산(처방은 내상문에 있다), 오출환, 윤신환, 대산우원, 삼출조원고,

삼령백출환, 구선왕도고(3가지 처방은 내상문에 있다) 등을 쓰는 것이 좋다.

'[雜病篇] > [虛勞]' 카테고리의 다른 글

[腎虛藥][신허약]  (0) 2020.07.19
[肺虛藥][폐허약]  (0) 2020.07.19
[肝虛藥][간허약]  (0) 2020.07.19
[心虛藥][심허약]  (0) 2020.07.19
[陰陽俱虛用藥][음양구허용약]  (0) 2020.07.16

[肝虛藥][간허약]

 

治虛勞 肝損 面無血色 筋緩目暗

宜用四物湯 方見血門 雙和湯 方見上 補肝丸 方見五藏

黑元 歸茸元 拱辰丹 滋補養榮丸.

허로(虛勞)로 간이 상해서 얼굴에 핏기가 없으며

힘줄이 늘어지고 눈이 어두워지는 것을 치료하는 데는

사물탕, 쌍화탕(처방은 위에 있다), 보간환(처방은 5장문에 있다),

흑원, 귀용원, 공진단, 자보양영환 등을 쓰는 것이 좋다.

 

'[雜病篇] > [虛勞]' 카테고리의 다른 글

[肺虛藥][폐허약]  (0) 2020.07.19
[脾虛藥][비허약]  (0) 2020.07.19
[心虛藥][심허약]  (0) 2020.07.19
[陰陽俱虛用藥][음양구허용약]  (0) 2020.07.16
[陽虛用藥][양허용약]  (0) 2020.07.16

[心虛藥][심허약]

 

心虛 血氣不足 以成虛勞.

宜用天王補心丹 加味寧神丸 加減鎭心丹

淸心補血湯方並見神門 大五補丸 古庵心腎丸 究原心腎丸.

심이 허하고 혈기가 부족해서 허로가 된 데는 천왕보심단, 가미영신환, 가감진심단,

청심보혈탕(4가지 처방은 다 신문에 있다), 대오보환, 고암심신환, 구원심신환 등을 쓰는 것이 좋다.

 

'[雜病篇] > [虛勞]' 카테고리의 다른 글

[脾虛藥][비허약]  (0) 2020.07.19
[肝虛藥][간허약]  (0) 2020.07.19
[陰陽俱虛用藥][음양구허용약]  (0) 2020.07.16
[陽虛用藥][양허용약]  (0) 2020.07.16
[陰虛用藥][음허용약]  (0) 2020.07.16

[陰陽俱虛用藥][음양구허용약]

 

陰陽俱虛 謂氣血皆不足也

宜用雙和湯 八物湯 十全大補湯 加味十全大補湯 黃芪十補湯 固眞飮子 人參養榮湯

補益養榮湯 凝神飮子 二至丸 異類有情丸 是齊雙補丸 古庵心腎丸 究原心腎丸二方見下

滋陰大補丸 加味虎潛丸 滋血百補丸 滋腎百補丸 沈香百補丸(諸方). 

음과 양이 모두 허하다는 것은 기혈(氣血)이 다 부족하다는 것이다.

이런 때에는 쌍화탕, 팔물탕, 십전대보탕, 가미십전대보탕, 황기십보탕, 고진음자,

인삼양영탕, 보익양영탕, 응신음자(처방은 충문에 있다), 이지환, 이류유정환, 시재쌍보환,

고암심신환 구원심신환(2가지 처방은 아래에 있다), 자음대보환, 가미호잠환, 자혈백보환,

자신백보환, 침향백보환 등을 쓰는 것이 좋다[저방].

 

'[雜病篇] > [虛勞]' 카테고리의 다른 글

[肝虛藥][간허약]  (0) 2020.07.19
[心虛藥][심허약]  (0) 2020.07.19
[陽虛用藥][양허용약]  (0) 2020.07.16
[陰虛用藥][음허용약]  (0) 2020.07.16
[虛勞治法][허로치법]  (0) 2020.07.16

[陽虛用藥][양허용약]

 

陽虛 卽氣虛也 脈微弱 少氣力 自汗不止者 陽虛 宜用四君子湯方見氣門

益胃升陽湯方見內傷 桂附湯 茸附湯 正氣補虛湯 增損樂令湯

參香散 三仙丹 四神丹 參芪健中湯 加減內固丸 鹿茸大補湯.

양허(陽虛)는 즉 기허(氣虛)이다.

맥이 미약하고 기력이 적으며 저절로 나는 땀이 멎지 않는 것은 양허이다.

이때에는 사군자탕(처방은 기문에 있다), 익위승양탕(처방은 내상문에 있다),

계부탕, 용부탕, 정기보허탕, 증손낙령탕, 삼향산, 삼선단, 사신단, 삼기건중탕,

가감내고환(처방은 전음문에 있다), 녹용대보탕을 쓰는 것이 좋다.

 

[陰虛用藥][음허용약]

 

陰虛 卽血虛也.

凡陰虛證 每日午後 惡寒發熱 至晩 亦得微寒而解.

脈必虛濡而數 絶類瘧證 但瘧脈弦而 虛脈大弦爲辨耳.

若誤作瘧治 多致不救(醫鑑).

음허는 즉 혈허(血虛)이다.

대체로 음허증은 매일 오후가 되면 오한이 나고 열이 나다가 저녁이 되어

약간 찬 기운을 만나면 풀리는데 맥이 반드시 허유(虛濡)하면서 삭절(數絶)하여 학질맥[ ]과 비슷하다.

다만 학질맥은 현하면서 허하고 허손맥(虛損脈)은 대현한 것이 다르다.

만약 학질로 잘못 알고 치료하면 거의 고치지 못한다[의감].

 

陰虛 宜用四物湯方見血門 加減四物湯 滋陰降火湯

淸离滋坎湯二方並見火門 補陰散 二宜丸 補陰丸 大 補陰丸 加減補陰丸 加味補陰丸

虎潛丸 濟陰丸 補陰瀉火湯 瀉陽補陰湯 大造丸 補天大造丸 入門大造丸 補天丸 混元丹

坎离旣濟丸 滋陰降火丸 陰虛暴絶治法.

음허(陰虛)한 데는 사물탕(처방은 혈문에 있다), 가감사물탕, 자음강화탕,

청리자감탕(2가지 처방은 화문에 있다), 보음산, 이의환, 보음환, 대보음환, 가미보음환,

가감보음환, 호잠환, 제음환, 보음사화탕, 사양보음탕, 대조환, 보천대조환, 입문대조환,

보천환, 혼원단, 태상혼원단, 감리기제환(처방은 화문에 있다), 자음강화환 등을 쓰고

또 음이 허하여 갑자기 기절한데 쓰는 치료법을 쓰는 것이 좋다.  

 

[虛勞治法][허로치법]

 

勞倦之疾 百脈空虛 非滋潤粘膩之物以養之 不能實也.

古方 用鹿角膠 阿膠 牛乳 飴糖 酥酪 糖蜜 人參 杏仁 當歸 熟芐之類 正此意耳.

或者 妄施金石 燥熱等藥 以致氣血乾涸 心腎不交 故火炎於上 爲痰嗽 爲咯血 爲口乾 爲五心熱.

水走於下 爲遺精 爲赤白濁 爲小便滑數 誤矣哉(直指).

노권병(勞倦病)은 온갖 맥이 허약해졌으므로 눅눅하고

풀기있는 약으로써 보양하지 않으면 실하게 하지 못한다.

옛처방에 녹각교, 갖풀(아교), 소젖(우유), (이당), 졸인 젖, 사탕, (봉밀),

인삼, 살구씨(행인), 당귀, 찐지황(숙지황) 등을 쓴 것은 이러한 뜻에서이다.

혹 어떤 사람은 함부로 광물성 약과 성질이 조열한 약제 등을 써서 기혈이 줄어들고

심과 신이 서로 교류되지 못하여 화가 위로 떠올라서 가래를 뱉으면서 기침하고

피를 뱉으며 입이 마르고 가슴과 손발바닥에 번열이 나고 신정이 함부로 내려가서

유정(遺精)이 있으며 적탁(赤濁)과 백탁(白濁)이 되며 오줌을 자주 누게 한 것은 잘못된 것이다[직지].

 

虛損 皆因水火不濟 火降 則血脈和暢, 水升 則精神充滿,

但以調和 心腎爲主 兼補脾胃 則飮食進 而精神氣血 自生矣(入門).

허로병(虛勞病)은 다 수화(水火)가 잘 오르내리지 못한 데 있으므로

화기가 내려가면 혈맥이 고르게 되고 수기(水氣)가 올라가면 정신이 좋아진다.

그러므로 심과 신을 고르게 하는 것을 위주로 하고 겸하여 비위를 보하면

입맛이 나고 정신이 좋아지며 기혈이 더 생겨난다[입문].

 

治損之法 損其肺者 益其氣, 損其心者 調其榮血, 損其脾者 調其飮食 適其寒溫,

損其肝者 緩其中, 損其腎者 益其精(難經).

허손병을 치료하는 법에서 폐가 허약한 데는 폐기(肺氣)를 보할 것이고 심이 허약한 데는

영혈(榮血)을 보할 것이며 비가 허약한 데는 음식을 조절하여 먹되 차고 더운 것을 알맞게 해야 한다.

간이 허약한 데는 속을 완화시킬 것이며 신이 허약한 데는 정()을 보해주어야 한다[난경].

 

損其肝者 緩其中調 調血也.

問曰 當用何藥以治之?

答曰 當用四物湯 以其中有芍藥 故也(東垣).

간이 허약한 데는 속을 완화시켜야 한다는 것은 혈을 조화시킨다는 말이다.

묻기를 어떤 약으로써 치료하는가대답하기를 반드시 사물탕을 써야 한다.

그것은 그 중에 집함박꽃뿌리(작약)가 있기 때문이다고 하였다[동원].

 

形不足者 溫之 以氣, 精不足者 補之 以味穀 肉 果 菜 百味 珍羞無非補也.

今之醫者 不通其法 惟知 大補之道 輕則當歸 鹿茸 天雄 附子.

重則乳石 丹砂 加之以灼艾火轉盛 而水愈涸 如此死者 醫殺之耳(綱目).

형기(形氣)가 부족할 때에는 기를 온()하게 할 것이고

()이 부족할 때에는 음식으로써 보할 것이다.

, 고기, 과일, 채소와 여러 가지 음식물은 다 몸을 보한다.

그런데 지금 의사들은 이런 것을 모르고 오직 세게 보하는 약만 알고

약하게는 당귀, 녹용, 천웅, 부자 등을 쓰고 세게는 종유석과 주사 등을 더 넣어 쓴다.

뜸을 떠서 화가 더 성해지게 하여 수기가 더 말라들게 하는데 이렇게 해서 죽는 것은 의사의 잘못이다[강목].

 

內經(陰陽應象大論篇 第五)曰 “精不足者 補之以味” 味陰也 補精以陰 求其本也

然乃穀菽果菜 出於天賦 自然冲和之味

故有食人 補陰之功 非烹飪 調和偏厚之味 出於人爲者也.

내경에는 ()이 부족할 때에 음식으로써 보한다고 하였는데 음식은 음에 속한다.

정을 음으로써 보한다는 것은 근본을 구하는 것이다.

그러나 쌀, , 과일, 채소 등은 천연적으로 고른 영양분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먹으면 음을 보하는 힘이 있다는 것을 말한 것이다.

인공적으로 끓이고 지져서 고르게 하고 치우치게 음식맛을 낸 것을 말한 것은 아니다고 씌어 있다.

又曰 形不足者 溫之 以氣溫養也 溫存以養使氣自充 氣充則形完矣.

또한 형기(形氣)가 부족한 데는 기를 온()하게 한다고 하였는데

"온"자는 보양한다는 말인데 따뜻하게 보양함으로써 기는 자연히 충실하게 된다.

기가 충실하면 형기도 온전하게 된다.

曰補 曰溫 各有其旨 局方悉以溫熱藥 佐輔名曰 溫補 豈理也哉(丹心).

보하고 따뜻하게 하는 것은 각각 그의 뜻이 있다.

그런데 국방에는 전부 성질이 따뜻하고 열한 약을 좌약으로 하면서

온보(溫補)라고 하였는데 이것은 이치에 맞지 않는다[단심].

 

虛損之證 峻補者 烏 附 天雄 薑 桂之屬.

潤補者 鹿茸 當歸 蓯蓉之屬.

淸補者 兩門冬 人參 地黃之屬也(得效).

허손병 때에 세게 보하려면 오두, 부자, 천웅, 건강, 육계 등의 종류를 써야 하며

습윤한 약으로 보하려면 녹용, 당귀, 육종용 등 속의 약을 써야 하며

시원한 약으로 보하려면 천문동, 맥문동, 인삼, 지황 등 속의 약을 써야 한다[득효].

 

 

 

[辨氣虛 血虛 陽虛 陰虛][변기허 혈허 양허 음허]

 

虛脈多弦 弦而濡大 無力 爲氣虛

허한 맥은 대개 현한데 현(弦)하면서 유대(濡大)하고 힘이 없는 것은 기가 허한 것이다.

 

脈沈微 無力 爲氣虛甚

맥이 침미(沈微)하고 힘이 없는 것은 몹시 허한 것이다.

 

脈弦而微 爲血虛 脈澁而 微爲血虛甚

맥이 현하면서 미한 것은 혈이 허한 것이다.

맥이 삽(澁)하면서 미(微)한 것은 혈이 몹시 허한 것이다.

 

形肥而面浮白者 陽虛,

形瘦而面蒼黑者 陰虛(入門).

몸이 살찌고 얼굴이 부석부석하고 흰 것은 양이 허한 것이다.

몸이 여위고 얼굴빛이 검푸른 것은 음이 허한 것이다[입문].

 

房勞思慮 傷心腎 則陰血虛,

饑飽 勞役 傷胃氣 則陽氣虛 此傷證之 至要也(入門).

성생활과 사색을 지나치게 하여 심과 신을 상하면 음혈(陰血)이 허하여진 것이다.

배고프고 배부른 것이 정도에 지나쳤을 때 힘든 일을 너무 해서

위기를 상하면 양기가 허약해지는데 이것은 허로(虛勞)로 손상된 증상이다[입문].

 

呼吸少氣 懶言語 動作無力 目無精光 面色晄白 此兼氣虛也(海藏).

숨쉴 때 숨결이 약하고 겨우 말하며 움직일 힘이 없고 눈에 정기가 없으며 

얼굴빛이 흰 것은 기가 허한 것을 겸한 것이다[해장]. 

 

右脈浮而大 或大而弦 皆爲虛勞.

盖陽盛陰虛之證 暮多見之.

右脈虛微 細弦爲虛勞者 乃陰陽俱虛之證也 晨多見之(保命).

른쪽 맥이 부(浮)하면서 대(大)하거나 대하면서 현한 것은 다 허로병(虛勞病)이다.

대개 양이 성(盛)하고 음이 허한 증은 해질 무렵에 많이 나타난다.

오른쪽 맥이 허미(虛微)하고 세현(細弦)한 것은 허로가 된 것이다.

이것은 음과 양이 다 허한 증상인데 새벽에 많이 나타난다[보명].

'[雜病篇] > [虛勞]' 카테고리의 다른 글

[陰虛用藥][음허용약]  (0) 2020.07.16
[虛勞治法][허로치법]  (0) 2020.07.16
[人身陽有餘陰不足][인신양유여음부족]  (0) 2020.07.15
[七傷證][칠상증]  (0) 2020.07.15
[六極證][육극증]  (0) 2020.07.15

[人身陽有餘陰不足][인신양유여음부족]

 

天爲陽 而運於地之外 地爲陰 而居乎中

天之大氣擧之 日實也 屬陽而運於月之外 月缺也

屬陰 禀日之光 以爲明.

人受天地之氣 以生天之陽氣爲氣 地之陰氣爲血.

故陽常有餘 而陰常不足.

氣常有餘而血常不足也.

人之一身 陽常有餘 陰常不足 氣常有餘 血常不足

故滋陰補血之藥 自幼至老 不可缺也(丹心).

하늘은 양이 되어서 땅의 밖으로 돌고 땅은 음이 되어 우주공간에 있으면서 대기에 받들려있다.

태양은 가득 차 있고 양에 속하며 달의 밖으로 돌고 달은 작아지고 음에 속하며 태양의 광선을 받아서 밝다.

사람은 하늘과 땅의 기를 받고 나는데 하늘의 양기는 기가 되고 땅의 음기는 혈이 된다.

그러므로 양은 늘 실하고 음은 늘 부족하며 기는 늘 실하고 혈은 늘 부족하다.

사람의 몸에서 양은 늘 실하고 음은 늘 부족하며 기는 늘 실하고 혈은 늘 부족하기 때문에

음을 불쿠어 주고 혈을 보하는 약을 어려서부터 늙을 때까지 써야 한다[단심].

 

'[雜病篇] > [虛勞]' 카테고리의 다른 글

[虛勞治法][허로치법]  (0) 2020.07.16
[辨氣虛 血虛 陽虛 陰虛][변기허 혈허 양허 음허]  (0) 2020.07.15
[七傷證][칠상증]  (0) 2020.07.15
[六極證][육극증]  (0) 2020.07.15
[五勞證][오로증]  (0) 2020.07.15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