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辨氣虛 血虛 陽虛 陰虛][변기허 혈허 양허 음허]

 

虛脈多弦 弦而濡大 無力 爲氣虛

허한 맥은 대개 현한데 현(弦)하면서 유대(濡大)하고 힘이 없는 것은 기가 허한 것이다.

 

脈沈微 無力 爲氣虛甚

맥이 침미(沈微)하고 힘이 없는 것은 몹시 허한 것이다.

 

脈弦而微 爲血虛 脈澁而 微爲血虛甚

맥이 현하면서 미한 것은 혈이 허한 것이다.

맥이 삽(澁)하면서 미(微)한 것은 혈이 몹시 허한 것이다.

 

形肥而面浮白者 陽虛,

形瘦而面蒼黑者 陰虛(入門).

몸이 살찌고 얼굴이 부석부석하고 흰 것은 양이 허한 것이다.

몸이 여위고 얼굴빛이 검푸른 것은 음이 허한 것이다[입문].

 

房勞思慮 傷心腎 則陰血虛,

饑飽 勞役 傷胃氣 則陽氣虛 此傷證之 至要也(入門).

성생활과 사색을 지나치게 하여 심과 신을 상하면 음혈(陰血)이 허하여진 것이다.

배고프고 배부른 것이 정도에 지나쳤을 때 힘든 일을 너무 해서

위기를 상하면 양기가 허약해지는데 이것은 허로(虛勞)로 손상된 증상이다[입문].

 

呼吸少氣 懶言語 動作無力 目無精光 面色晄白 此兼氣虛也(海藏).

숨쉴 때 숨결이 약하고 겨우 말하며 움직일 힘이 없고 눈에 정기가 없으며 

얼굴빛이 흰 것은 기가 허한 것을 겸한 것이다[해장]. 

 

右脈浮而大 或大而弦 皆爲虛勞.

盖陽盛陰虛之證 暮多見之.

右脈虛微 細弦爲虛勞者 乃陰陽俱虛之證也 晨多見之(保命).

른쪽 맥이 부(浮)하면서 대(大)하거나 대하면서 현한 것은 다 허로병(虛勞病)이다.

대개 양이 성(盛)하고 음이 허한 증은 해질 무렵에 많이 나타난다.

오른쪽 맥이 허미(虛微)하고 세현(細弦)한 것은 허로가 된 것이다.

이것은 음과 양이 다 허한 증상인데 새벽에 많이 나타난다[보명].

'[雜病篇] > [虛勞]' 카테고리의 다른 글

[陰虛用藥][음허용약]  (0) 2020.07.16
[虛勞治法][허로치법]  (0) 2020.07.16
[人身陽有餘陰不足][인신양유여음부족]  (0) 2020.07.15
[七傷證][칠상증]  (0) 2020.07.15
[六極證][육극증]  (0) 2020.07.15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