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虛勞病源][허로병인]
損脈之爲病 奈何 然
一損 損於皮毛 皮聚而毛落
二損 損於血脈虛少 不能榮於藏府
三損 損於肌肉 肌肉消瘦 飮食不爲肌膚
四損 損於筋 筋緩 不能自收持
五損 損於骨 骨痿 不能起於床
反此者 至脈之病也.
損脈 從上下 骨痿不能起於床 者死.
至脈從下上 皮聚而毛落者 死(難經).
손맥(損脈)이 나타나는 병은 어떤 것인가.
첫째로, 손병(損病)은 피모(皮毛)를 상하므로 피부가 조여들고 털이 빠지며
둘째로, 손병은 혈맥(血脈)을 상하므로
혈맥이 허하고 적어서 5장 6부를 정상적으로 영양하지 못하며
셋째로, 손병은 살을 상하므로 살이 점점 빠지고 음식을 먹어도 살로 가지 않으며
넷째로, 손병은 힘줄을 상하므로 힘줄이 늘어져서 몸을 잘 움직이지 못하며
다섯째로, 손병은 뼈를 상하므로 뼈가 약해져서 침대에서 잘 일어나지 못한다.
이와 반대되는 것은 지맥(至脈)이 나타나는 병이다.
손맥이 나타나는 병은 위로부터 아래로 내려가 뼈가 약해져서
침대에서 일어나지 못하게 되는데 이것은 치료할 수 없다.
지맥이 나타나는 병은 아래에서 부터 위로 올라가서 피부가 조여들고
머리털이 빠지게 되는데 이것 역시 치료할 수 없다[난경].
虛損之疾 寒熱因虛而感也.
感寒 則損陽 陽虛則陰盛
故損自上而下 治之 宜以辛甘淡 過於胃則不可治也.
感熱 則損陰 陰虛則陽盛
故損自下而上 治之 宜以苦酸鹹 過於脾則不可治也.
自上而下者 一損 損於肺 皮聚而耗落.
二損 損於心 血脈虛少 不能榮於藏府 婦人則月水不通
三損 損於胃 飮食不爲肌膚.
自下而上者 一損 損於腎 骨痿不能起於床.
二損 損於肝 筋緩不能自收持
三損 損於脾 飮食不能消化.
論曰 心肺損而色敗 肝腎損而形痿 穀不能消而脾損 感此者 皆損之病
漸漬之深 皆虛勞之疾也(綱目).
허손병[虛損]에 추워하고 열이 있는 것은 허해서 감촉된 것인데
찬 기운에 감촉되면 양기(陽氣)를 상한다.
양기가 허하면 음기가 성하기 때문에 허손병은 위로부터 아래로 내려간다.
이때는 맵고 달고 연한 약물로 치료하는 것이 좋다.
그러나 위에 지나친 부담을 주면 치료할 수 없게 된다.
열에 감촉되면 음기를 상하고 음기가 허하면 양기가 왕성하여지기 때문에
허손병이 아래로부터 위로 올라간다.
이때는 쓰고 시며 짠 약물로 치료하는 것이 좋다.
그러나 비에 지나친 부담을 주면 치료할 수 없게 된다.
위에서부터 아래로 내려가는데서
첫째의 손병은 폐(肺)를 상하므로 피부가 조여들고 머리털이 빠지며
둘째의 손병은 심(心)을 상하므로 혈맥이 허하고 적어서
5장 6부를 잘 영양하지 못하고 부인인 경우에는 월경이 잘 통하지 못하며
셋째의 손병은 위(胃)를 상하므로 음식을 먹어도 살로 가지 않는다.
아래에서부터 위로 올라가는데서
첫째의 손병은 신(腎)을 상하므로 뼈가 약해져서 침대에서 잘 일어나지 못하며,
둘째의 손병은 간(肝)을 상하므로 힘줄이 늘어져서 자기의 몸을 잘 움직이지 못하며,
셋째의 손병은 비를 상하므로 음식이 잘 소화되지 않는다.
논에는 “심과 폐가 상하면 얼굴빛이 나빠지고 간과 신이 상하면
형체가 약해진 것이며 음식이 잘 소화되지 않으면 비(脾)가 상한 것이므로
이런 증상은 다 손병인데 점차 심해지면 다 허로병이 된다”고 씌어 있다[강목].
夫衆病 積聚 皆起於虛 虛生百病(本草).
대체로 여러 가지 병과 적취(積聚)는 다 허해서 생긴다.
허하면 온갖 병이 생긴다[본초].
世人 惟知百病生於心 不知百病生於腎 飮酒食肉 醉飽入房 不謹節慾
妄爲傷精 則腎水空虛 不能平其心火 心火縱炎 傷其肺金 是絶水之源
金水衰虧 不能勝其肝木 盛則剋脾土 而反生火 火獨旺而不生化
故陽有餘 陰不足 獨熱而不久矣(回春).
사람들은 온갖 병이 심에서 생기는 줄을 알면서도
온갖 병이 신에서 생기는 줄은 모른다.
술을 많이 마시고 고기를 배불리 먹은 다음 성생활을 지나치게 하여
정액을 소모하면 신수가 고갈되어 심화(心火)를 조절하지 못하므로
심화가 왕성하여 폐금(肺金)을 상한다.
이렇게 되면 신수의 근원이 줄어들게 된다.
폐금과 신수(腎水)가 쇠약하여지면 간목(肝木)을 잘 조절하지 못하므로
간목이 왕성하여져서 비토를 억누르면 도리어 화를 생기게 한다.
화가 왕성하면 생화(生花)작용을 잘 하지 못하기 때문에 양은 실해지고
음은 허해지며 열만 나면서 오래 살지 못한다[회춘].
'[雜病篇] > [虛勞]' 카테고리의 다른 글
[六極證][육극증] (0) | 2020.07.15 |
---|---|
[五勞證][오로증] (0) | 2020.07.15 |
[五勞證][오로증] (0) | 2020.07.15 |
[脈法][맥법] (0) | 2020.07.14 |
[虛勞證][허로증] (0) | 2020.07.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