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怔忡][정충]
戴氏曰, 怔忡者, 心中躁動不安, 惕惕然如人將捕者是也.

多因汲汲富貴, 戚戚貧賤, 不遂所願而成也.

대씨는 "정충은 가슴이 두근거리고 뛰며 불안해하고

무서워하면서 누군가가 당장 잡으러올 것 같은 것이다.

대개 부귀에 급급하거나 가난하고 천한 것을 슬퍼하거나

소원을 이루지 못하여 생긴다"고 하였다.


綱目曰, 怔忡, 心動而不寧也.

강목에서는 "정충은 가슴이 뛰고 편안하지 못한 것이다"라고 하였다.


心虛而痰鬱, 則耳聞大聲, 目擊異物, 遇險臨危, 觸事喪志, 使人有惕惕之狀, 是爲驚悸.

心虛而停水, 則胸中滲漉, 虛氣流動, 水旣上升, 心火惡之, 心不自安, 使人有怏怏之狀,

是爲怔忡[直指].

심(心)이 허한데 담이 뭉치면 귀에 큰소리가 들리거나 눈에 이상한 것이 보이고,

위험한 일을 당하거나 어떤 일을 할 때 의지를 잃어 무서워하게 되는데,

이것을 경계(驚悸)라 한다.

심이 허한데 수(水)가 머물러 있으면 가슴속으로 그 수가 스며들고,

허한 기가 움직여 수(水)가 위로 올라가면 심화(心火)가 이를 싫어하게 되므로

심이 스스로 안정되지 못하여 앙심을 품게 되는 것을 정충이라 한다(직지).


怔忡者, 心中惕惕然動搖, 而不得安靜, 無時而作者是也[正傳].

정충은 무서워하면서 가슴이 뛰어 안정을 찾지 못하는데,

아무 때나 가슴이 뛴다(정전).



怔忡, 因驚悸久而成也. 痰在下, 火在上, 參胡溫膽湯加黃連梔子當歸貝母.

氣鬱者, 加味四七湯加竹瀝薑汁, 或金箔鎭心丸.

停飮者, 二陳湯 方見痰飮 加茯神檳榔麥門冬沈香, 或朱雀丸[入門].

정충은 경계가 오래되어 생긴다. 담이 아래에 있고 화(火)가 위에 있으면

삼호온담탕에 황련·치자·당귀·패모를 더 넣고,

기가 뭉쳤으면 가미사칠탕에 죽력·생강즙을 더 넣어 쓰거나 금박진심환을 쓰고,

음(飮)이 뭉친 데는 이진탕(처방은 담음문에 있다)에

복신, 빈랑, 맥문동, 침향을 더 넣어 쓰거나 주작환을 쓴다(입문).


心下有水氣怔忪, 宜五苓散 方見傷寒, 芎夏湯 方見痰飮.

水飮爲證, 頭眩心悸[直指].

명치 밑에 수기(水氣)가 있어 정충이 생긴 데는 오령산(처방은 상한문에 있다),

궁하탕(처방은 담음문에 있다)을 쓴다.

수음(水飮)의 증상은 머리가 어지럽고 가슴이 두근거린다(직지).


怔忡, 亦曰怔忪, 與驚悸同看, 宜益榮湯, 茯苓飮子, 安神補心湯, 薑朮湯, 朱雀丸,

四物安神湯, 辰砂寧志丸, 加味寧神丸, 天王補心丹 三方見下.

정충은 또한 정종이라고도 하며, 경계와 같이 보는데

익영탕, 복령음자, 안신보심탕, 강출탕, 주작환, 사물안신탕,

진사영지환, 가미영신환, 천왕보심단(세 가지 처방은 뒤에 있다)을 쓴다.

'[內景篇] > [神]' 카테고리의 다른 글

[心澹澹大動][심담담대동]   (0) 2019.10.14
[健忘][건망]   (0) 2019.10.13
[常法治驚][상법치경]   (0) 2019.10.13
[驚悸][경계]   (0) 2019.10.13
[恐][공]   (0) 2019.10.13

[常法治驚][상법치경]
一婦人, 夜値盜劫大驚.

自後聞有響, 則驚倒不省. 醫作心病治, 不效.

戴人見之曰, 驚者爲陽從外入.

恐者爲陰從內出.

驚者爲自不知也, 恐者爲自知也.

膽者敢也, 驚怕則膽傷矣.

乃執兩手按於交椅上, 當前置一几, 謂之曰, 娘子當視此, 一木猛擊之, 其婦大驚,

竣少時又擊之, 驚少緩, 連擊四五次, 然後徐徐驚定而嘆曰, 是何治法.

戴人曰, 驚者平之, 平者常也.

平常見之, 必無驚矣.

是夜擊門窓, 自昏達曙, 熟臥不聞.

夫驚者, 神上越也.

從下擊几, 使之下視, 所以收神也[張子和]
어떤 부인이 밤에 도둑을 만나 크게 놀란 뒤부터

무슨 소리만 들어도 놀라서 넘어지고 정신을 잃었다.

의사가 심병(心病)으로 보고 치료를 하였으나 효과가 없었다.

장종정이 이를 보고 "놀란 것은 양증(陽症)으로 밖으로부터 들어오기 때문에 생긴 것이며,

무서워하는 것은 음증(陰症)으로 안에서 나오기 때문에 생긴 것이다.

놀라는 것은 자신이 알지 못하기 때문에 생기고,

무서워하는 것은 자신이 알기 때문에 생긴다.

담(膽)에서 용감함이 나오는데, 놀라고 두려워하면 담을 상한다"고 하면서

곧 두 시녀에게 그 부인의 양손을 잡아 의자 위에 올려놓게 하고,

바로 그 앞에 상자 하나를 놓고 말하기를 "낭자는 이것을 보고 있어야 한다"고 하면서

나무로 상자를 세게 치니 그 부인이 크게 놀랐다.

조금 지난 후 다시 책상을 치니 조금 덜 놀랐다.

연달아 4, 5번을 치니 그 후에는 서서히 안정되었다.

부인이 감탄하여 "이것은 무슨 치료법입니까" 하고 물었다.

장종정이 "놀란 것은 평(平)하게 하여야 하는데, 평하다는 것은 평범하다[常]는 말이다.

평범하게 늘 보면 놀라는 일이 없다"고 하였다.

그날 밤 창문을 두드려도 초저녁부터 아침까지 깊이 잠들어서 아무 소리도 듣지 못하였다.

놀라면 신(神)이 위로 뜬다.

상자를 아래에 놓고 쳐서 이를 내려다보게 한 것은 신을 거두어들이기 위한 것이다(장자화). 

'[內景篇] > [神]' 카테고리의 다른 글

[健忘][건망]   (0) 2019.10.13
[怔忡][정충]   (0) 2019.10.13
[驚悸][경계]   (0) 2019.10.13
[恐][공]   (0) 2019.10.13
[驚][경]   (0) 2019.10.13

[驚悸][경계]
內經曰, 血幷於陰, 氣幷於陽, 故爲驚狂.

내경에서는 "혈이 음(陰)으로 몰리고,

기(氣)가 양(陽)으로 몰리기 때문에 놀라거나 미친다"고 하였다.


內經註曰, 悸者, 心跳動也.

왕빙의 주에서는 "계(悸)란 가슴이 두근거리는 것이다"라고 하였다.


綱目曰, 驚者, 心卒動而不寧也.

悸者, 心跳動而怕驚也.

강목에서는 "경(驚)은 심(心)이 갑자기 뛰고 편안하지 않은 것이며,

계(悸)는 가슴이 두근거리면서 두려워하고 놀라는 것이다"라고 하였다.


三因曰, 驚悸, 因事有所大驚而成者, 名曰心驚膽懾.

病在心膽經, 其脈大動.

宜朱砂安神丸, 鎭心丹, 加味溫膽湯.

삼인에서는 "경계는 크게 놀란 일이 있어서 생긴 것인데,

이를 심경담섭(心驚膽懾)[심이 놀라고 담이 겁내는 것]이라고 한다.

병이 심경과 담경에 있고, 그 맥이 대동(大動)하다"고 하였다.

주사안신환, 진심단, 가미온담탕을 쓴다.


仲景曰, 心悸者, 火懼水也.

惟腎欺心, 故爲悸. 傷寒飮水多, 必心下悸.

중경은 "심계라는 것은 화(火)가 수(水)를 두려워하는 것이다.

신(腎)이 심(心)을 업신여기기 때문에 두근거리게 된다.

그래서 상한(傷寒)에 물을 많이 마시면 반드시 명치 밑이 두근거린다"고 하였다.


丹溪曰, 驚悸者, 有時而作.

血虛者, 宜朱砂安神丸.

有痰者, 宜加味定志丸. 大槪屬血虛與痰, 瘦人多是血虛, 肥人多是痰飮.

時覺心跳者, 亦是血虛.

단계는 "경계는 때때로 두근거리는 것인데, 혈허에는 주사안신환을 쓰고,

담이 있으면 가미정지환을 쓴다.

경계는 혈허와 담(痰)이 원인인데, 마른 사람은 혈허가 많고 살찐 사람은 담음이 많다.

가끔 가슴이 두근거리는 것을 느끼는 것 역시 혈허이다"라고 하였다.


仲景曰, 食少飮多, 水停心下, 甚者則悸, 微者短氣.

중경은 "곡식은 적게 먹고 물을 많이 마시면 수(水)가 명치 밑에 고이는데,

심하면 두근거리게 되고 가벼우면 숨이 차다"고 하였다.

三因曰, 五飮停蓄, 閉於中脘, 最使人驚悸, 屬飮家.


삼인에서는 "다섯 가지 음(飮)이 고이고 쌓여 중완을 막으면

놀라고 두근거리는 증상이 쉽게 나타나는데, 음병(飮病)에 속한다"고 하였다.


入門曰, 驚悸因思慮過度, 及大驚恐而作, 甚則心跳欲厥.

宜淸心補血湯, 辰砂妙香散.

氣血俱虛, 宜養心湯.

時作時止者, 痰因火動.

二陳湯加枳實麥門冬竹茹黃連梔子人蔘白朮當歸烏梅薑三片棗一枚,

煎入竹瀝三匙朱砂末三分調服 方見痰飮.


입문에서는 "경계는 지나치게 생각하고 염려하거나 크게 놀라고 무서워하여 생긴다.

심하면 가슴이 두근거려 쓰러질 것 같은데, 청심보혈탕, 진사묘향산을 쓰고,

기와 혈이 모두 허하면 양심탕을 쓴다. 두근거렸다 가라앉았다 하는 것은

담(痰)이 화(火) 때문에 움직인 것으로,

이진탕에 지실, 맥문동, 죽여, 황련, 치자, 인삼, 백출, 당귀, 오매,  생강 세 쪽,

대추 한 개를 더 넣고 달인 다음 죽력 세 숟가락과 주사가루 서 푼을 타서 먹는다"고 하였다.

(처방은 담음문에 있다).


驚悸, 當補血安神.

宜靜神丹, 寧志元, 養血安神湯, 朱砂膏. 若氣鬱驚悸, 宜交感丹 方見氣部 加味四七湯[諸方].

경계에는 혈을 보하고 신(神)을 안정시켜야 하므로 정신단, 영지원, 양혈안신탕, 주사고를 쓴다.

만약 기가 뭉쳐서 경계가 되면 교감단(처방은 기문(氣門)에 있다), 가미사칠탕을 쓴다(제방). 


'[內景篇] > [神]' 카테고리의 다른 글

[怔忡][정충]   (0) 2019.10.13
[常法治驚][상법치경]   (0) 2019.10.13
[恐][공]   (0) 2019.10.13
[驚][경]   (0) 2019.10.13
[悲][비]   (0) 2019.10.13

[][공]
內經曰, 腎在志爲恐.

又曰, 胃爲恐.

註曰, 胃熱則腎氣微弱, 故爲恐.

又曰, 精氣幷於腎則恐.

由心虛而腎氣幷之, 故爲恐.

내경에서는 "신(腎)의 지(志)는 무서워하는 것이다"라고 하였다.

또 "위(胃)의 지(志)도 무서워하는 것이다"라고 하였는데,

왕빙의 주석에서는 "위에 열이 있으면

신기(腎氣)가 약해지기 때문에 무서워한다"고 하였다.

또 "정기가 신에 몰리면 무서워한다.

심(心)이 허한데 신기가 거기로 몰려갔기 때문에 무서움이 생긴다"고 하였다.


靈樞曰, 足少陰之脈病, 善恐.

又曰, 恐懼而不解則傷精.

又曰, 恐懼者, 神蕩散而不收.

又曰, 恐則氣下.

註曰, 上焦固禁, 下焦氣還, 故氣不行矣.

영추에서는 "족소음의 맥이 병들면 무서움을 잘 탄다"고 하였고,

두려워하는 것이 풀리지 않으면 정을 상한다.고 하였다.

또 "무서워하고 두려워하면 신이 어지럽게 흩어져 거두어들이지 못한다"고 하였으며,

무서워하면 기가 밑으로 처진다"고도 하였다.

왕빙의 주석에서는 "상초가 굳게 막혀서 하초에서만 기가 맴돌기 때문에

기가 위아래로 돌지 못하는 것이다"라고 하였다.


子和曰, 肝藏血, 血不足則恐.


盖肝膽實則怒而勇敢, 虛則善恐而不敢也.

장종정은 "간은 혈을 간직하는데, 혈이 부족하면 무서워한다.

대개 간과 담이 실하면 성내고 용감하며,

허하면 무서움을 잘 타고 용감하지 못하다"고 하였다.


綱目曰, 恐與驚相似, 然驚者爲自不知也, 恐者爲自知也.

盖驚者, 聞響乃驚.

恐者, 自知如人將捕之狀, 及不能獨自坐臥, 必須人爲伴侶方不恐懼.

或夜必用燈照, 無燈燭亦恐懼者是也.

강목에서는 "무서워하는 것과 놀라는 것이 서로 비슷하지만,

놀란다는 것은 자신이 알지 못하기 때문에 놀라는 것이고,

무서워하는 것은 자신이 알기 때문에 무서운 것이다.

대개 잘 놀라는 사람은 무슨 소리만 들어도 놀란다.

잘 무서워하는 사람은 마치 다른 사람이 곧 자기를 잡으러온다고 알고 있어서

반드시 다른 사람과 함께 있어야만 무서워하지 않는다.

또 밤에는 반드시 등불을 켜야만 하고 등불이 없으면 역시 무서워하고 두려워하는데

이것이 공(恐)이다"라고 하였다. 

'[內景篇] > [神]' 카테고리의 다른 글

[常法治驚][상법치경]   (0) 2019.10.13
[驚悸][경계]   (0) 2019.10.13
[驚][경]   (0) 2019.10.13
[悲][비]   (0) 2019.10.13
[思][사]   (0) 2019.10.13

[][경]
詳見驚悸類.
경계류에 자세히 나온다.

'[內景篇] > [神]' 카테고리의 다른 글

[驚悸][경계]   (0) 2019.10.13
[恐][공]   (0) 2019.10.13
[悲][비]   (0) 2019.10.13
[思][사]   (0) 2019.10.13
[憂][우]   (0) 2019.10.13

[][비]
內經曰, 肺之志爲悲.

又曰, 心虛則悲, 悲則憂.

又曰, 精氣幷於肺則悲, 肝虛而肺氣幷之則爲悲.

又曰, 悲則氣消.

又曰, 肺主殺, 故其志爲悲.

내경에서는 "폐의 지(志)는 슬퍼하는 것이다"라고 하였고,

또 "심이 허하면 슬퍼하는데, 슬퍼지면 근심하게 된다"고 하였으며,

또 "정과 기가 폐에 몰리면 슬퍼한다.

간이 허한데 폐기가 간으로 몰리면 슬프게 된다"고 하였고,

또 "슬퍼하면 기가 소모된다"고 하였다.

또 "폐는 숙살(肅殺)하는 것을 주관하기 때문에 그 지(志)는 슬픔[悲]이 된다"고 하였다.


靈樞曰, 悲哀動中則傷魂.

又曰, 悲哀動中者, 竭絶而失生.

영추에서는 "슬픔이 마음을 움직이면 혼(魂)을 상한다"고 하였고,

또 "슬픔이 마음을 움직이면 기가 끊어져 죽게 된다"고 하였다.

'[內景篇] > [神]' 카테고리의 다른 글

[恐][공]   (0) 2019.10.13
[驚][경]   (0) 2019.10.13
[思][사]   (0) 2019.10.13
[憂][우]   (0) 2019.10.13
[怒][노]   (0) 2019.10.13

[][사]
內經曰, 脾在志爲思.

又曰, 思則氣結.

註云, 繫心不散, 故氣亦停留而結也.

내경에서는 "비(脾)의 지(志)는 생각하는 것이다"라고 하였고,

또 "골똘히 생각하면 기가 맺힌다"고 하였다.

왕빙의 주에서는 "마음에 걸린 것이 풀리지 않았기 때문에 기도 역시 머물러 맺힌다"고 하였다.


皇甫謐曰, 思發於脾, 而成於心, 過節則二藏俱傷.

황보밀은 "생각하는 것은 비(脾)에서 생겨서 심(心)에서 이루어지니

생각하는 것이 어느 정도를 지나치면 두 개의 장(臟)이 모두 상한다"고 하였다.


靈樞曰, 因志而存變謂之思, 因思而遠慕謂之慮.

又曰, 怵惕思慮則傷神, 神傷則恐懼流淫而不止.

영추에서는 "지(志)에 따라 변화를 가져오는 것을 사[思]라 하고,

생각[思]으로 말미암아 멀리까지 따지는 것을 여(慮)라고 한다"고 하였다.

또 "두려워하고 지나치게 생각하면 신(神)을 상하고,

신이 상하면 무서워하게 되고 정액이 흘러나와[流淫] 그치지 않는다"고 하였다. 

'[內景篇] > [神]' 카테고리의 다른 글

[驚][경]   (0) 2019.10.13
[悲][비]   (0) 2019.10.13
[憂][우]   (0) 2019.10.13
[怒][노]   (0) 2019.10.13
[喜][희]   (0) 2019.10.13

[][우]
內經曰, 肺在志爲憂.

又曰, 憂則氣沈.

내경에서는 "폐의 지(志)는 근심하는 것이다"라고 하였고,

또 "근심하면 기가 가라앉는다"고 하였다.

靈樞曰, 愁憂不解則傷意, 意爲脾神也.

又曰, 愁憂者, 氣閉塞而不行, 盖憂則隔塞否閉, 氣脈斷絶而上下不通也.

氣固於內, 則大小便道偏, 不得通泄也.

영추에서는 "근심과 걱정이 풀리지 않으면 의(意)를 상하는데,

의는 비(脾)의 신(神)이다"라고 하였다.

또 "근심과 걱정을 하면 기가 막혀 돌지 않는다.

대개 근심하면 가슴이 막혀서 통하지 않고 기와 맥이 끊어져 위아래가 통하지 못한다.

기가 안에서 단단하게 막히면 대소변의 길이 치우쳐서 나가지 못한다"고 하였다. 

'[內景篇] > [神]' 카테고리의 다른 글

[悲][비]   (0) 2019.10.13
[思][사]   (0) 2019.10.13
[怒][노]   (0) 2019.10.13
[喜][희]   (0) 2019.10.13
[神統七情傷則爲病][신통칠정상칙위병]   (0) 2019.10.13

[][노]
內經曰, 肝在志爲怒.

又曰, 暴怒傷陰.

又曰, 大怒則形氣絶, 而血菀於上, 使人薄厥 菀鬱也, 薄厥謂氣絶也.

又曰, 血幷於上, 氣幷於下, 心煩惋善怒.

又曰, 怒則氣上.

又曰, 怒則氣逆, 甚則嘔血, 及飱泄矣.

내경에서는 간(肝)의 지(志)는 화내는 것이다.라고 하였다.

또 갑자기 화를 내면 음(陰)을 상한다.고 하였다.

또한 크게 화를 내면 형기(形氣)가 끊어지고 혈(血)이 위로 올라가 뭉쳐서

사람이 기절하게 된다('원(菀)'은 뭉쳤다[鬱]는 뜻이고,

박궐(薄厥)은 기가 끊어진 것이다)고 하였다.

혈(血)이 위로 몰리고 기가 아래로 몰리면

가슴이 답답하면서 두근거리고 화를 잘 낸다"고 하였다.

또한 화를 내면 기가 위로 올라간다,

화를 내면 기가 거꾸로 올라가는데, 심하면 피를 토하고 삭지 않은 설사를 한다"고 하였다.


註云, 怒則陽氣逆上, 而肝木乘脾, 故嘔血及飱泄也.

又曰, 膽爲怒 肝膽之病, 實則爲怒.

又曰, 陰出之陽則怒.

왕빙의 주에서는 "화를 내면 양기가 거꾸로 오르고 간목(肝木)이 비(脾)를 억누르므로

피를 토하고 삭지 않은 설사까지 하는 것이다"라고 하였다.

또 담(膽)은 화 때문에 병이 든다(간담의 병이 실(實)하면 화를 낸다)고 하였으며,

또 "음이 양을 내보내면[음에서 양이 나오면] 화를 낸다"고 하였다.


綱目曰, 怒在陰, 陽爲陰閉遏而不得伸也.

東垣曰, 多怒者, 風熱陷下於地中, 是也.

강목에서는 "화를 내는 근본은 음에 있는데,

양이 음에 막혀서 펼쳐지지 못하는 것이다"라고 하였다.

동원은 "화를 잘 내는 것은 풍열이 땅속에 묻혀 있는 모습이다"라고 한 것이 이 말이다.

先賢詩曰, 怒來劇炎火, 焚和徒自傷, 觸來勿與競, 事過心淸凉.

柳公度善養生, 年八十餘, 步履輕健. 或求其術.

答曰, 吾無術, 但平生未嘗以元氣佐喜怒, 使氣海常溫耳[延壽書].

옛 현인의 시에 "화를 심하게 내면 불이 타올라 화기(和氣)를 태워 자신만을 상하니

어떤 일을 당하여 더불어 다투지 마라.

그 일만 지나면 마음이 맑고 시원해지리"라고 하였다.

유공도는 양생을 잘 하여서 나이가 80이 넘었는데도 걸음걸이가 가볍고 씩씩하였다.

어떤 사람이 그 방법을 묻자 "나에게 특별한 방법이 있는 것이 아니라

단지 평생 원기(元氣)로써 감정[喜怒]을 북돋은 적이 없고,

기해(氣海)를 항상 따뜻하게 하였을 뿐이다"라고 말하였다(연수서).

七情傷人, 惟怒爲甚, 盖怒則肝木便克脾土, 脾傷則四藏俱傷矣[綱目].

칠정은 사람을 상하게 하는데, 그 중에서도 화를 내는 것이 가장 심하다.

대개 화를 내면 간목(肝木)이 곧 비토(脾土)를 누르는데,

비가 상하면 나머지 네 개의 장(臟)도 모두 상한다(강목).

治怒方.
香附末甘草末各一兩. 右和勻, 每三錢, 白湯調下[丹心].
치노방.
향부자가루, 감초가루 각 한 냥씩을 골고루 섞어 한 번에 서 돈씩 끓인 물에 타서 먹는다(단심).

'[內景篇] > [神]' 카테고리의 다른 글

[思][사]   (0) 2019.10.13
[憂][우]   (0) 2019.10.13
[喜][희]   (0) 2019.10.13
[神統七情傷則爲病][신통칠정상칙위병]   (0) 2019.10.13
[脈法][맥법]   (0) 2019.10.13

[][희]  
內經曰, 心在志爲喜.

又曰, 心實則笑, 笑則喜.

又曰, 暴喜傷陽.

又曰, 喜怒傷氣.

又曰, 喜怒不節, 寒暑過度, 生乃不固.

又曰, 喜則氣緩, 盖喜則氣和志達, 榮衛通利, 故氣緩矣.

내경에서는 "심(心)의 지(志)는 기뻐하는 것이다"라고 하였다.

또 "'심(心)이 실(實)하면 잘 웃는다'고 하였는데, 웃으면 기뻐진다"고 하였다.

또한 "지나치게 기뻐하면 양(陽)을 상한다"고 하였다.

또 "지나치게 기뻐하거나 성내면 기를 상한다",

"기뻐하고 성내는 것이 절제가 없거나

추위와 더위가 지나치면

생명의 근원이 든든하지 않게 된다",

"기뻐하면 기가 느긋해진다.

대체로 기뻐하면 기가 조화로워지고 지(志)가 널리 미치며

영위(榮衛)가 잘 통하기 때문에 기가 느긋해지는 것이다"라고 하였다.


皇甫謐曰, 喜發於心而成於肺, 故過節則二藏俱傷.

황보밀은 "기쁨은 심에서 생겨나서 폐에서 이루어지므로

기쁨이 일정 정도를 지나치면 두 장기가 모두 상한다"라고 하였다.


靈樞曰, 喜樂者, 神蕩散而不藏.

又曰, 喜樂無極則傷魄, 魄爲肺神也

영추에서는 "지나치게 기뻐하거나 즐거우면 신(神)이 흩어져서 갈무리되지 않는다"고 하였고,

또 "기뻐하는 것과 즐거운 것이 너무 지나치면 백(魄)을 상하는데,

백은 폐의 신(神)이다"라고 하였다. 

'[內景篇] > [神]' 카테고리의 다른 글

[憂][우]   (0) 2019.10.13
[怒][노]   (0) 2019.10.13
[神統七情傷則爲病][신통칠정상칙위병]   (0) 2019.10.13
[脈法][맥법]   (0) 2019.10.13
[藏氣絶則神見於外][장기절칙신견어외]   (0) 2019.10.13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