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癲狂][전광]
內經曰, 黃帝問曰, 有病怒狂者, 此病安生.
岐伯對曰, 生於陽也.
帝曰, 陽何以使人狂.
岐伯曰, 陽氣者, 因暴折而難決, 故善怒也, 病名曰陽厥.
帝曰, 治之奈何.
岐伯曰, 奪其食卽已. 夫食入於陰, 長氣於陽, 故奪其食卽已.
使之服以生鐵落爲飮. 夫生鐵落者, 下氣疾也.
又曰, 多喜曰癲, 多怒曰狂.
又曰, 陰不勝其陽, 則脉流薄疾, 幷乃狂.
又曰, 衣被不斂, 言語善惡, 不避親疎, 此神明之亂也.
내경에서 "황제가 '노광(怒狂)이란 병을 앓는 사람이 있으니
이 병은 어디에서 생기는가?' 하고 묻자
기백이 '양(陽)에서 생긴다'고 대답하였다.
황제가 '양(陽)이 어떻게 하여 사람을 미치게 하는가?' 하고 묻자
기백이 '양기가 갑자기 막혀서 잘 통하지 않기 때문에 자주 화를 내게 된다.
이런 병을 양궐(陽厥)이라 한다'고 대답하였다.
황제가 '치료는 어떻게 하는가?' 하고 묻자
기백이 '먹이지 않으면 낫는다.
먹는 음식은 음으로 들어가 양에서 기를 기르기 때문에 먹이지 않으면 낫는 것이다.
그리고 생철락을 물에 타서 먹이는데,
생철락은 기를 빠르게 내린다'라고 대답하였다"고 하였다.
또 "너무 자주 기뻐하는 것을 전(癲)이라 하고,
너무 자주 화내는 것을 광(狂)이라 한다"고 하였으며,
"음(陰)이 양(陽)을 누르지 못하면 맥이 얇고 빠르게[薄疾] 흐르는데
그러면 미치게 된다"고 하였다.
또 "옷을 추스르지 않고 말을 함부로 하며
피붙이와 남을 가리지 못하는 것은 신명(神明)이 어지럽기 때문이다"라고 하였다.
又帝曰, 陽明病甚, 則棄衣而走, 登高而歌,
或至不食數日, 踰垣上屋, 所上之處, 皆非其素所能也, 病反能者何也.
岐伯曰, 四肢者, 諸陽之本也, 陽盛則四肢實, 實則能登高也.
帝曰, 其棄衣而走者何也.
岐伯曰, 熱甚於身, 故棄衣欲走也.
帝曰, 其妄言罵詈, 不避親疎而歌者何也.
岐伯曰, 陽盛則使人妄言罵詈, 不避親疎, 而不欲食, 不欲食, 故妄走也.
又曰, 邪入於陽則狂.
또 "황제가 '양명병이 심하면 옷을 벗어던지고 달리며,
높은 곳에 올라가 노래를 하거나 음식을 며칠 동안 먹지 않고도
담을 뛰어넘고 지붕을 올라가는데, 올라가는 장소가 모두 보통때는 올라갈 수 없는 곳이다.
그런데 병이 들면 도리어 올라갈 수 있는 이유는 무엇인가?' 하고 묻자
기백이 '팔다리는 모든 양(陽)이 작용하는 곳이다.
양이 지나치게 성하면 팔다리가 실(實)하고 실하면 높은 곳을 오를 수 있다'고 대답하였다.
황제가 '옷을 벗어던지고 달리는 이유는 무엇인가?' 하고 묻자
기백이 '몸에 열이 심하기 때문에 옷을 벗어던지고 달리고 싶은 것이다'라고 대답하였다.
황제가 '헛소리를 하고 욕을 하며 피붙이와 남을 가리지 않으며
노래를 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하고 묻자
기백이 '양이 지나치게 성하면 헛소리를 하고 욕을 하며
피붙이와 남을 가리지 않으며 음식을 먹으려고 하지 않는다.
음식을 먹으려고 하지 않기 때문에 미친 듯이 달리는 것이다'라고 하였다"고 하였으며,
또 "사기가 양에 들어가면 미친다"고 하였다.
難經曰, 重陽者狂, 重陰者癲.
又曰, 狂之始發, 少臥而多起, 自高賢也, 自辨智也, 自貴倨也, 妄笑好歌樂, 妄行不休是也.
癲疾始發, 意不樂, 直視僵仆, 其脉三部陰陽俱盛者是也.
난경에서는 "양(陽)이 거듭 몰리면 광(狂)이 되고,
음(陰)이 거듭 몰리면 전(癲)이 된다"고 하였다.
또 "광(狂)이 처음 생길 때는 잘 자지 않고 깨어 있으며
늘 돌아다니고 스스로 높고 현명하다고 생각하고
스스로 지혜롭다고 생각하고 스스로 귀하다고 생각하며
거만하게 굴며 까닭 없이 웃고 노래 부르기를 좋아하고 제멋대로 돌아다니면서 쉬지 않는다.
전질(癲疾)이 처음 생길 때는 즐거워하지 않고 멍하니 한곳만을 바라보다가 뻣뻣이 쓰러지며,
맥은 삼부(三部)의 음양이 모두 지나치게 성하다"라고 하였다.
癲者, 異常也, 精神痴呆, 言語失倫.
狂者, 凶狂也, 輕則自高自是, 好歌好舞, 甚則棄衣走而踰垣上屋,
又甚則披頭大呌, 不避水火, 且欲殺人. 此痰火壅盛而然[入門].
전(癲)은 평소와 다른 것으로, 멍청해지면서 말을 함부로 하는 것이다.
광(狂)은 흉하게 날뛰는 것으로, 가벼울 때는 스스로 높은 사람이라 여기고
자기만이 옳다고 하며 노래하고 춤추는 것을 좋아한다.
심하면 옷을 벗어던지고 달리며 담을 넘고 지붕을 올라간다.
더 심하면 머리를 풀어헤치고 큰 소리를 지르며 물과 불을 피하지 않고
또 사람을 죽이려고 한다.
이것은 담화(痰火)가 막히고 지나치게 성하여 그러한 것이다(입문).
陽虛陰實則癲, 陰虛陽實則狂.
又曰, 陽盛則狂, 狂者欲奔走呌呼. 陰盛則癲, 癲者眩倒不省[百要].
양이 허하고 음이 실하면 전(癲)이 되며, 음이 허하고 양이 실하면 광(狂)이 된다.
또 "양이 지나치게 성하면 광이 되는데, 광은 돌아다니거나 소리를 지르려고 한다.
음이 지나치게 성하면 전이 되는데,
전은 눈앞이 캄캄해지면서 쓰러져 정신을 잃는다"고 하였다(백요).
狂謂妄言妄走也, 癲謂僵仆不省也.
經有言狂癲疾者, 又言癲疾爲狂者, 是癲狂爲兼病也[綱目].
광(狂)은 허튼 말을 하고 허투루 내달리는 것을 말하고,
전(癲)은 뻣뻣이 쓰러져 정신을 잃는 것을 말한다.
경에 "광(狂)은 전질(癲疾)이다"라는 말이 있고, 또 "전질은 광이다"라는 말이 있는데,
이것은 전과 광이 같이 나타나는 병이기 때문이다(강목).
火盛癲狂, 宜當歸承氣湯, 三黃瀉心湯 方見寒門, 黃連瀉心湯, 牛黃瀉心湯.
痰火鬱塞癲狂, 宜牛黃淸心元 方見風門, 淸心滾痰丸 方見上.
風痰迷心癲狂, 宜鐵粉散, 鬱金丸, 通泄散.
因驚喪心亡魂失魄爲癲狂, 宜鎭心丹, 抱膽丸, 葉氏雄朱丸, 一醉膏.
勞神過度甚至癲狂, 宜辰砂寧志丸, 寧志化痰湯, 養血淸心湯, 牛車肉.
癲狂, 不得睡臥, 宜寧志膏 方見夢部, 辰砂散[諸方].
화(火)가 지나치게 왕성하여 생긴 전광에는 당귀승기탕, 삼황사심탕(처방은 한문에 있다),
황련사심탕, 우황사심탕을 쓰고, 담화(痰火)가 뭉치고 막혀서 생긴 전광에는
우황청심원(처방은 풍문에 있다), 청심곤담환(처방은 앞에 있다)을 쓰고,
풍담(風痰)이 심(心)을 어지러이 막아서 생긴 전광에는 철분산, 울금환, 통설산을 쓰고,
놀라서 상심(喪心)하고 넋이 빠져 전광이 된 데는 진심단, 포담환, 섭씨웅주환,
일취고를 쓰고, 신(神)을 지나치게 써서 전광이 된 데는 진사영지환, 영지화담탕,
양혈청심탕, 우거육(牛車肉)을 쓰고, 전광으로 잠을 이루지 못하는 데는
영지고(처방은 몽문에 있다), 진사산을 쓴다(제방).
癲者, 顚倒錯亂, 於癎於狂, 皆兼病也.
전(癲)은 쓰러지면서 정신이 어지러운 것으로, 간(癎)과 광(狂)에 모두 나타난다.
'[內景篇] > [神]' 카테고리의 다른 글
[脫營失精證][탈영실정증] (0) | 2019.10.15 |
---|---|
[大下愈狂][대하유광] (0) | 2019.10.15 |
[癲癎][전간] (0) | 2019.10.14 |
[心澹澹大動][심담담대동] (0) | 2019.10.14 |
[健忘][건망] (0) | 2019.10.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