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加減四物湯][가감사물탕]
治便血, 亦治腸風.
側柏葉, 生地黃, 當歸, 川芎 各一錢,
枳殼, 荊芥, 槐花 炒, 甘草 灸 各五分.
右剉作一貼, 薑三片烏梅一箇, 煎服[得效].
변혈과 장풍을 치료한다.
측백엽, 생지황, 당귀, 천궁 각 한 돈,
지각, 형개, 괴화(볶은 것), 감초(구운 것) 각 다섯 푼.
위의 약들을 썰어 한 첩으로 하여, 생강 세 쪽과 오매 한 개를 넣고 달여 먹는다(득효).

[加味四物湯][가미사물탕]
治血虛, 眩暈卒倒, 不可艾灸, 驚哭呌動, 動則乘虛而死矣.
當歸, 川芎, 白芍藥, 生地黃, 熟地黃, 黃芪, 人蔘, 白朮, 陳皮, 白茯苓, 荊芥穗, 甘草 各七分.
右剉, 棗二枚烏梅一箇, 煎服[回春].
피가 부족하여 어지럽고 쓰러지는 것을 치료한다.
이 증상에는 뜸을 뜨거나 놀라게 하거나 울거나 소리치거나 움직여서는 안 된다.
움직이면 사기가 허한 틈을 타서 정기를 억눌러 죽는다.
당귀, 천궁, 백작약, 생지황, 숙지황, 황기, 인삼, 백출, 진피, 백복령, 형개수, 감초 각 일곱 푼.
위의 약들을 썰어 대추 두 개와 오매 한 개를 넣고 달여 먹는다(회춘).

[加減四君子湯][가감사군자탕]
治久病胃弱 全不納食 聞食氣則嘔
四君子湯 去茯苓 加人參 黃芪 香附子 各4g
剉作一貼 入生薑三片 水煎服(入門).
오래된 병으로 위가 약해져서 전혀 먹지 못하고
음식냄새만 맡아도 곧 구역이 나는 것을 치료한다.
사군자탕(四君子湯) 약재에서 흰솔풍령(백복령)을 빼고
인삼, 단너삼(황기), 향부자 각각 4g씩 넣는다.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3쪽과 함께 물에 달여 먹는다[입문].

[加減補心湯][가감보심탕]
治諸虛健忘.
陳皮, 白茯苓, 當歸, 白芍藥, 生地黃, 遠志 製, 麥門冬, 酸棗仁 炒, 黃柏, 知母 並酒炒 各五錢,
人蔘, 白朮, 石菖蒲, 甘草各三錢.
右剉分二貼, 水煎服[醫鑑].
모든 허하여 생긴 건망증을 치료한다.
진피, 백복령, 당귀, 백작약, 생지황, 원지(법제한 것), 맥문동,

산조인(볶은 것), 황백, 지모(둘 다 술에 축여 볶은 것) 각 다섯 돈,
인삼, 백출, 석창포, 감초 각 서 돈.
위의 약들을 썰어 두 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먹는다(의감).

[加減白虎湯][가감백호탕]
石膏二錢半 知母一錢
人參 黃栢 各七分,

玄參 甘草 各五分
五味子十粒

右犫作一貼入粳米百粒水煎服[醫鑑]
석고 10g, 지모 4g,
인삼, 황백 각각 2.8g,
현삼, 감초 각각 2g, 오미자 10알.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멥쌀 1백 알과 함께 물에 달여 먹는다[의감].

[加減白通湯][가감백통탕]
治沈寒痼冷 臍腹冷痛 大便自利 足脛寒而逆
附子炮8g
乾薑炮 肉桂 草豆蔲煨 半夏 人蔘 白朮 甘草灸 各4g
剉作一貼 入薑五片 葱白五莖 水煎服仍灸氣海 三里穴(寶鑑).
침한고랭(沈寒痼冷)으로 배꼽노리가 차고 아프며
저절로 설사가 나고 발과 정강이가 차서 올라오는 것을 치료한다.
부자(싸서 구운 것) 8g,
건강(싸서 구운 것), 육계, 초두구(잿불에 묻어 구운 것),
끼무릇(반하), 인삼, 흰삽주(백출), 감초(닦은 것) 각각 4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5쪽,
파밑(총백) 5대와 함께 물에 넣고 달여 먹고 나서
기해(氣海)와 삼리(三里) 혈에 뜸을 뜬다[보감].

[加減排風湯][가감배풍탕]
治風中五藏 精神恍惚 手足不仁 口眼喎斜 治五藏風
天麻8g, 蒼朮4g,
防風川芎 羗活 獨活 麻黃 各3g
白蘚皮 當歸 白芍藥 白朮 半夏 赤茯苓 黃芩 杏仁 甘草 各2g
剉作一貼 入薑三片 水煎服(醫鑒).
위와 같은 증상을 치료하는데 5장풍(五藏風)도 두루 치료한다.
천마 8g, 삽주(창출) 4g,
방풍, 궁궁이(천궁), 강호리(강활), 따두릅(독활) 각각 3.2g, 마황 2.8g,
백선피, 당귀, 집함박꽃뿌리(백작약), 흰삽주(백출), 끼무릇(반하),
벌건솔풍령(적복령), 속썩은풀(황금), 살구씨(행인), 감초 각각 1.6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3쪽과 함께 물에 달여 먹는다[의감].

[加減導痰湯][가감도담탕]
治中風痰盛不能言語熱者
宜服 南星 半夏 以爣角 白礬生薑同煎湯浸透炒乾
白茯巔 陣皮 白朮 桔梗 枳殼 各一錢
黃芩 黃連 瓜蔞仁 人參 當歸 木香 各五分
甘草 三分
右犫作一貼入薑三片水煎入竹瀝薑汁調服[回春]
중풍으로 담이 성하여 말을 하지 못하고 열이 나는 것을 치료한다.
천남성, 끼무릇(반하), 주염열매(조각),
백반, 생강을 함께 달인 물에 터지도록 담가두었다가 볶아 말린 것),
흰솔풍령(백복령), 흰삽주(백출), 귤껍질(陳皮), 도라지(길경), 지각 각각 4g,
속썩은풀(황금), 황련, 하늘타리씨(과루인), 인삼, 당귀, 목향 각각 2g,
감초 1.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3쪽과 함께 물에 달인 다음
참대기름(죽력)과 생강즙을 타서 먹는다[회춘].

[加減芎辛湯][가감궁신탕]
治頭風或攻目
川芎 細辛 白芷 石膏 藁本 皂角

羗活 防風 荊芥 桔梗 蔓荊子 薄荷 甘草 各2g
剉作一貼 水煎服(醫鑒).
두풍증이 혹 눈으로 몰린 것을 치료한다.
궁궁이(천궁), 족두리풀(세신), 구릿대(백지), 석고, 고본, 주염열매(조협),
강호리(강활), 방풍, 형개, 도라지(길경), 순비기열매(만형자),
단국화(감국), 박하, 감초 각각 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먹는다[의감].

[白虎桂枝湯][백호계지탕]

者其如平身無寒但熱

骨節煩疼時便難朝發暮解暮發朝解此藥主之

石膏四錢

知母二錢,

桂枝, 甘草各一錢

粳米一合.

作一貼水煎服[正傳]

一名 [加減桂枝湯][得效]

온학 때 맥은 정상이고 오한은 나지 않으면서 오직 열만 나고

뼈마디가 안타깝게 아프고 때때로 대변을 누기가 힘든 것이

아침에 생겼다가 저녁에 풀리거나 저녁에 생겼다가 아침에 풀리는 데 쓴다.

석고 16g, 

지모 8g,

계지, 감초 각각 4g, 

멥쌀 1.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먹는다[정전].

일명 가감계지탕(加減桂枝湯)이라고도 한다[득효].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