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加味大補湯][가미대보탕]
治左右癱瘓 此氣血太虛也
黃芪蜜炒 人蔘 白朮 白茯苓 當歸酒洗 川芎 白芍藥 熟地黃 各3g
烏藥 牛膝酒洗 杜冲酒炒 木瓜 防風 羗活 獨活 薏苡仁 各2g
附子炮 沈香 木香 肉桂 甘草 各1g
剉作一貼 入薑三片棗二枚 水煎服(回春).
온몸을 쓰지 못하는 것을 치료하는데
이것은 기혈(氣血)이 몹시 허하기 때문에 생긴 것이다.
단너삼(황기, 꿀에 축여 볶은 것), 인삼, 흰삽주(백출), 흰솔풍령(백복령),
당귀(술에 씻은 것), 궁궁이(천궁), 집함박꽃뿌리(백작약), 찐지황(숙지황) 각각 2.8g,
오약, 쇠무릎(우슬, 술에 씻은 것), 두충(술에 축여 볶은 것), 모과, 방풍,
강호리(강활), 따두릅(독활), 율무쌀(의이인) 각각 2g,
부자(싸서 구운 것), 침향, 목향, 육계, 감초 각각 1.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3쪽,
대추 2알과 함께 물에 달여 먹는다[회춘].

[加味橘皮竹茹湯][가미귤피죽여탕]
治胃熱多渴 嘔吐不食
橘皮 竹茹 赤茯苓 枇杷葉 麥門冬 半夏 各4g
人參 甘草 各2g
剉作一貼 薑三片 水煎服.
無枇杷葉 則以蜜灸桑白皮 代之(入門).
위에 열이 있어서 갈증이 몹시 나고
구역과 딸꾹질이 나서 먹지 못하는 것을 치료한다.
귤껍질(陳皮), 참대속껍질(죽여), 벌건솔풍령(적복령),
비파엽, 맥문동, 끼무릇(반하) 각각 4g,
인삼, 감초 각각 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3쪽과 함께 물에 달여 먹는다.
비파엽이 없으면 꿀을 발라 구운 뽕나무뿌리껍질(상백피)을 대신 쓴다[입문].

[加味歸脾湯][가미귀비탕]
治肝脾怒鬱, 月經不通.
卽歸脾湯加柴胡山梔仁各一錢.
右剉, 水煎服之[良方].
간(肝)과 비(脾)에 성낸 기운이 막혀 월경이 나오지 않는 것을 치료한다.
가미귀비탕은 귀비탕에 시호, 산치자인 각 한 돈을 더 넣은 것이다.
위의 약들을 썰어 물에 달여 먹는다(양방).

[加味芎歸湯][가미궁귀탕]
治臨産交骨不開難産卽上龜穀散方也[回春]
해산할 무렵에 골반골이 벌어지지 않아서 해산하기 어려운 것을 치료한다.
즉 위에 있는 구각산(龜殼散) 처방이다[회춘].

[加味薑附湯][가미강부탕]
治霍亂 吐瀉過多手足逆冷氣少不語六脈沈伏.
附子炮 乾薑炮 人蔘各6g 甘草灸3g
剉作一貼 水煎服(得效).
一名 [四順附子湯] (直旨).
곽란으로 몹시 토하고 설사하여 손발이 싸늘하고
기운이 없어서 말을 잘하지 못하며 6맥(六脈)이 침복(沈伏)한 것을 치료한다.
부자(싸서 구운 것), 건강(싸서 구운 것), 인삼 각각 6g, 감초(닦은 것) 2.8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먹는다[득효].
일명 사순부자탕(四順附子湯)이라고도 한다[직지].

'[處方箋] > [處方湯]' 카테고리의 다른 글

[加味歸脾湯][가미귀비탕]  (0) 2019.01.12
[加味芎歸湯][가미궁귀탕]  (0) 2019.01.12
[加減八味丸][가감팔미탕]   (0) 2019.01.12
[加減冲和湯][가감충화탕]  (0) 2019.01.12
[加減益氣湯][가감익기탕]  (0) 2019.01.12

[加減八味丸][가감팔미탕]
專補腎水兼補命門火.
熟地黃75g,
山藥微炒 山茱萸 各37.5g, 澤瀉酒蒸,
牧丹皮 白茯苓 各30g,
五味子略炒56.5g, 肉桂18.75g.
爲末 蜜丸 梧子大 五更初 未言語時 塩湯 或溫酒下 五七十丸.
주로 신수를 보하는 데 겸해서 명문의 화(火)도 보한다.
찐지황(숙지황) 80g, 마(서여, 약간 닦은 것), 산수유 각각 40g,
택사(술에 축여 찐 것), 모란껍질(목단피), 흰솔풍령(백복령) 각각 32g,
오미자(약간 닦은 것) 60g, 육계 20g.
위의 약들을 가루내서 꿀에 반죽하여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50-70알씩 소금 끓인 물이나 데운 술로
이른 새벽 말하기 전에 먹은 다음 저녁 빈속에 또 한번 먹는다[득효].
又晩間 空腹 再服. 或以此材 細剉煎服.
名曰 [加減八味湯](得效)
혹은 이 약재를 잘게 썰어서 달여 먹기도 하는데
그것을 가감팔미탕(加減八味湯)이라고 한다.

'[處方箋] > [處方湯]' 카테고리의 다른 글

[加味芎歸湯][가미궁귀탕]  (0) 2019.01.12
[加味薑附湯][가미강부탕]   (0) 2019.01.12
[加減冲和湯][가감충화탕]  (0) 2019.01.12
[加減益氣湯][가감익기탕]  (0) 2019.01.12
[加減二陳湯][가감이진탕]  (0) 2019.01.12

[防風沖和湯][방풍충화탕]
治春夏秋 感冒風寒 頭痛 身熱 自汗 惡寒 脈浮緩
羗活 防風 各6g
白朮 川芎 白芷 生地黃 黃芩 各4g
細辛 甘草 各2g
剉作 入薑三葱三.煎服.
一名 [加減冲和湯]
봄과 여름, 가을에 풍한감모(風寒感冒)로 머리가 아프고 몸에서 열이 나며
저절로 땀이 나고 오한이 나며 맥이 부완(浮緩)한 것을 치료한다.
강호리(강활), 방풍 각각 6g,
흰삽주(백출), 궁궁이(천궁), 구릿대(백지), 생지황, 속썩은풀(황금) 각각 4g,
족두리풀(세신), 감초 각각 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생강 3쪽, 파밑(총백) 3대와 함께 물에 넣고 달여 먹는다.
일명 가감충화탕(加減冲和湯)이라고도 한다.

[加減益氣湯][가감익기탕]
治久痢疲弱甚, 不能起床.
白朮, 白芍藥, 陳皮 各一錢,

當歸 七分,

黃芪, 人蔘, 澤瀉, 縮砂, 地楡 各五分,

升麻, 木香, 白豆蔲, 御米殼 醋炒, 甘草灸 各三分.
右剉作一貼, 空心水煎服[醫鑑].
오래된 이질로 몹시 피곤하고 허약해져서 자리에서 일어나지 못하는 것을 치료한다.
백출, 백작약, 진피 각 한 돈,

당귀 일곱 푼,

황기, 인삼, 택사, 축사인, 지유 각 다섯 푼,

승마, 목향, 백두구, 앵속각(식초에 적셔 볶은 것), 감초(구운 것) 각 서 푼.
위의 약들을 썰어 한 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빈속에 먹는다(의감).

[加減二陳湯][가감이진탕]
治老痰燥痰熱痰.
橘紅 以鹽水浸焙 一錢二分,
枳實, 黃芩 炒 各一錢,
白朮, 貝母 炒, 便香附 各九分,
白茯苓, 天花粉 鹽水炒 各七分,
防風, 連翹 各五分,
甘草 三分.
右作一貼, 水煎服[必用方].
노담, 조담, 열담을 치료한다.
귤홍(소금물에 담갔다가 약한 불에 말린 것) 한 돈 두 푼,
지실, 황금(볶은 것) 각 한 돈,
백출, 패모(볶은 것), 향부자(동변에 담갔던 것) 각 아홉 푼,
백복령, 천화분(소금물에 축여 볶은 것) 각 일곱 푼,
방풍, 연교 각 다섯 푼,
감초 서 푼.
위의 약을 한 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먹는다(필용방).

[加味二陳湯][가미이진탕]
治氣痰窒碍咽喉, 成梅核氣.
半夏, 陳皮, 赤茯苓, 枳殼, 桔梗 各一錢,
片芩, 梔子 炒 各七分,
紫蘇子, 白豆蔲仁, 甘草 各五分.
右剉作一貼, 薑三片同煎服[醫鑑].
기담이 목구멍에 막혀 매핵기가 된 것을 치료한다.
반하, 진피, 적복령, 지각, 길경 각 한 돈,
황금, 치자(볶은 것) 각 일곱 푼,
자소자, 백두구인, 감초 각 다섯 푼.
위의 약들을 썰어 한 첩으로 하여, 생강 세 쪽을 넣고 달여 먹는다(의감).

[加減理中湯][가감이중탕]
治 胃寒冷嘔吐淸水冷涎, 脈沈遲.
人蔘, 白朮, 赤茯苓, 乾薑炮, 陳皮, 藿香, 丁香, 半夏, 縮砂硏, 桂皮 各4g
剉作一貼, 入薑三片, 烏梅1箇, 水煎服(回春).
위가 차서 멀건 물과 찬 침을 토하며 맥이 침지(沈遲)한 것을 치료한다.
인삼, 흰삽주(백출), 벌건솔풍령(적복령), 건강(싸서 구운 것),
귤껍질(陳皮), 곽향, 정향, 끼무릇(반하), 사인(간 것), 계피 각각 4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3쪽, 오매 1알과 함께 물에 달여 먹는다[회춘].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