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加減潤燥湯][가감윤조탕]
治左半身不遂 屬血虛與死血
白芍藥酒炒8g

當歸 川窮 白茯苓 白朮 南星 半夏 天麻 各4g
生地黃酒炒 熟地黃薑汁炒 陳皮塩水洗 牛膝酒洗 黃芩 酸棗仁炒 各3g
桃仁 羗活 防風 薄桂 各2.5g

紅花酒洗 甘草各1g
剉作 分2貼 水煎 入竹瀝 薑汁 調服(回春).
一名 [愈風潤燥湯] (醫鑒).
혈이 허하거나 궂은 피[死血]가 있어서 몸 왼쪽을 쓰지 못하는 것을 치료한다.
집함박꽃뿌리(백작약, 술에 축여 볶은 것) 8g,

당귀, 궁궁이(천궁), 흰솔풍령(백복령), 흰삽주(백출), 천남성, 끼무릇(반하), 천마 각각 4g,
생지황(술에 축여 볶은 것), 찐지황(숙지황, 생강즙에 축여 볶은 것),
귤껍질(陳皮, 소금물에 씻은 것), 쇠무릎(술에 씻은 것),
속썩은풀(황금, 술에 축여 볶은 것), 메대추씨(산조인, 닦은 것) 각각 3g,
복숭아씨(도인), 강호리(강활), 방풍, 계피 각각 2.5g,
잇꽃(홍화, 술에 씻은 것), 감초(닦은 것) 각각 1g,
위의 약들을 썰어서 2첩으로 하여 물에 달인 다음
여기에 참대기름과 생강즙을 넣어서 먹는다[회춘].
일명 유풍윤조탕(愈風潤燥湯)이라고도 한다[의감].

[加減薷苓湯][가감유령탕]
治霍亂熱渴.
天花粉8g
赤茯苓 猪苓 澤瀉 香薷 乾葛 各3g
白朮 黃連 甘草 各2g.
剉作一貼 入薑三片 水煎服(醫鑑).
곽란으로 열이 나고 갈증이 나는 것을 치료한다.
하늘타리뿌리(천화분) 8g,
벌건솔풍령(적복령) 4g,
저령, 택사, 노야기(향유), 칡뿌리(갈근) 각각 2.8g,
황련, 흰삽주(백출), 감초 각각 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3쪽과 함께 물에 달여 먹는다[의감].

[加減胃苓湯][가감위령탕]
治浮腫
蒼朮6g
陳皮 澤瀉 白朮 赤茯苓 木瓜 山査肉 縮砂 各3g
香附子薑汁炒 大卜皮 各2g
甘草1g
剉作一貼 入薑三 燈心一團 水煎服(醫鑒).
부종을 치료한다.
삽주(창출) 6g,
귤껍질(陳皮), 택사, 흰삽주(백출), 벌건솔풍령(적복령), 모과 각각 4g,
후박, 저령, 약누룩(신국), 빈랑 각각 3.2g,
찔광이(산사), 사인 각각 2.8g,
향부자(생강즙에 축여서 볶은 것), 빈랑껍질(대복피) 각각 2.4g,
감초(닦은 것) 1.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3쪽, 골풀속살(등심) 2g과 함께 물에 달여 먹는다[의감].

[加減溫膽湯][가감온담탕]
治痰迷心竅, 神不守舍, 因憂思鬱結驚恐傷心, 心不自安,

神出舍空, 使人驚悸怔忡, 煩亂悲歌, 呌罵奔走, 不識人.
茯神, 半夏 製, 陳皮, 枳實, 梔子 炒, 白朮, 麥門冬, 黃連 各一錢,

當歸, 酸棗仁 炒, 竹茹 各八分,

人蔘 六分, 

辰砂 末 五分, 

甘草 三分.
右剉作一貼. 薑三片棗二枚烏梅一箇, 水煎調辰砂末五分竹瀝半盞服[醫鑑].
담(痰)이 심규(心竅)를 어지러이 막아 신(神)이 제자리를 지키지 못하는 것과,

지나치게 걱정하고 쓸데없는 생각으로 기가 뭉치거나 놀라거나 두려워하여 심을 상하고,

심이 편하지 않으면 신이 있어야 할 곳에서 나와 집이 비게 되므로 경계,

정충이 생기고 가슴이 답답하고 어지러우며, 슬프게 노래하고 욕을 하며 뛰어다니고

사람을 알아보지 못하는데, 이를 치료한다.
복신, 반하(법제한 것), 진피, 지실, 치자(볶은 것), 백출, 맥문동, 황련 각 한 돈,

당귀, 산조인(볶은 것), 죽여 각 여덟 푼,

인삼 여섯 푼,

진사(가루낸 것) 다섯 푼,

감초 서 푼.
위의 약들을 썰어 한 첩으로 하여, 생강 세 쪽과 대추 두 개, 오매 한 개를 넣고

물에 달여 진사가루 다섯 푼과 죽력 반잔을 타서 먹는다(의감).

[加減芎辛湯][가감궁신탕]
治頭風或攻目.
川芎, 細辛, 白芷, 石膏, 藁本, 皂角, 羌活, 防風,

荊芥, 桔梗, 蔓荊子, 甘菊, 薄荷, 甘草 各五分.
右剉作一貼, 水煎服[醫鑑].
두풍이나 눈이 아픈 것을 치료한다.
천궁, 세신, 백지, 석고, 고본, 조각자, 강활, 방풍,

형개, 길경, 만형자, 감국, 박하, 감초 각 닷 푼.
위의 약들을 썰어 한 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먹는다(의감).

[加減柴苓湯][가감시령탕]
治諸疝因濕熱, 腫痛出水.
柴胡, 澤瀉 各一錢,
半夏, 赤茯苓, 白朮, 猪苓, 山査, 梔子, 荔枝核 各七分.
右剉作一貼, 水煎服, 無荔枝核, 則代橘核[入門].
습열로 생긴 여러 산병으로 붓고 아프며 진물이 나는 것을 치료한다.
시호, 택사 각 한 돈,
반하, 적복령, 백출, 저령, 산사, 치자, 여지핵 각 일곱 푼.
위의 약들을 썰어 한 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먹는다.
여지핵이 없으면 귤핵을 대신 쓴다(입문).

[加減續命湯][가감속명탕]
治風中府今人不分表裏虛實故張易老授東垣以六經加減之法
풍(風)이 6부에 침범한 것을 치료한다.
지금 의사들이 표리(表裏)와 허실(虛實)을 잘 가리지 못하기 때문에
장역로(張易老)가 동원(東垣)에게 6경의 가감법[六經加減法]을 알려주었다.
太陽中風無汗惡寒麻黃續命主之本方倍麻黃防風杏仁
有汗惡風桂枝續命主之本方倍桂枝芍藥杏仁
태양중풍증(太陽中風證) 때 오한이 나면서 땀이 나지 않는 데는
마황속명탕을 주로 쓰는데 본방에 마황, 방풍, 살구씨(행인)를 곱으로 넣어 쓴다.
땀이 나면서 바람을 싫어하는 데는 계지속명탕을 주로 쓰는데
본방에 계지, 집함박꽃뿌리(작약), 살구씨(행인)를 곱으로 넣어 쓴다.
陽明中風無汗身熱不惡寒白虎續命主之
本方倍桂枝黃芩加葛根一錢四分
양명중풍증(陽明中風證) 때 몸에 열이 나고 땀이 나지 않으며
오한이 없으면 백호속명탕을 주로 쓰는데
본방에 계지, 속썩은풀(황금)을 곱으로 하고 칡뿌리(갈근) 5.6g을 넣어 쓴다.
太陰中風無汗身崣附子續命主之附子加一倍
甘草加二錢一分乾薑加七分
태음중풍증(太陰中風證)때 땀이 나지 않고 몸이 서늘하면
부자속명탕을 주로 쓰는데 부자는 곱으로 하고
감초는 8.4g, 건강은 2.8g을 넣는다.
少陰中風有汗無熱桂枝續命主之 本方 倍 桂枝 附子甘草
소음중풍증(少陰中風證) 때 땀이 나고 열이 없으면
계지속명탕을 주로 쓰는데 본방에 계지, 부자, 감초를 곱으로 넣는다.
六經混淆繫之於少陽厥陰 或肢節攣痛或麻木不仁
宜羌活連翹續命主之本方一兩 加羌活一錢連翹一錢半[正傳]
6경이 혼란되어 소양병(少陽病)과 궐음병(厥陰病)이 얽혀서
혹 팔다리 뼈마디가 켕기면서[攣] 아프거나 감각이 둔해지면서 잘 쓰지 못하면
강활연교속명탕을 주로 쓰는데
본 처방 약재 40g에 강호리(강활) 8g, 연교 6g을 넣어 쓴다[정전].

[加減小柴胡湯][가감소시호탕]
治手足心熱 不可當
本方加香附子 黃連 前胡水煎服(醫鑒).
손발바닥에 열이 나는 것을 치료한다.
소시호탕, 본방에 향부자, 황련, 전호를 더 넣어 물에 달여 먹는다[의감].

[加減三拗湯][가감삼요탕]
治風喘嗽
麻黃8g
杏仁 桑白皮 各6g
甘草4g
蘇子 前胡 各3g
剉作一貼 入薑三片 水煎服(入門).
풍으로 숨이 차고 기침이 나는 것을 치료한다.
마황 8g,
살구씨(행인), 뽕나무뿌리껍질(상백피) 각각 6g,
감초 4g,
차조기씨(자소자), 전호 각각 2.4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3쪽과 함께 물에 달여 먹는다[입문].

[加減三奇湯][가감삼기탕]
治咳喘上氣 痰涎不利
半夏8g
桔梗 陳皮 靑皮 人參 桑白皮 紫蘇葉 杏仁 五味子 各4g
甘草2g
剉作一貼 入薑三 水煎服(東垣).
기침이 나고 숨이 차며 기가 치밀어 오르고
담연(痰涎)이 잘 나가지 않는 것을 치료한다.
끼무릇(반하) 8g,
도라지(길경), 귤껍질(陳皮), 선귤껍질(청피), 인삼,
뽕나무뿌리껍질(상백피), 차조기잎(자소엽), 살구씨(행인), 오미자 각각 4g,
감초 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3쪽과 함께 물에 달여 먹는다[동원].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