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加減續命湯][가감속명탕]
治風中府今人不分表裏虛實故張易老授東垣以六經加減之法
풍(風)이 6부에 침범한 것을 치료한다.
지금 의사들이 표리(表裏)와 허실(虛實)을 잘 가리지 못하기 때문에
장역로(張易老)가 동원(東垣)에게 6경의 가감법[六經加減法]을 알려주었다.
太陽中風無汗惡寒麻黃續命主之本方倍麻黃防風杏仁
有汗惡風桂枝續命主之本方倍桂枝芍藥杏仁
태양중풍증(太陽中風證) 때 오한이 나면서 땀이 나지 않는 데는
마황속명탕을 주로 쓰는데 본방에 마황, 방풍, 살구씨(행인)를 곱으로 넣어 쓴다.
땀이 나면서 바람을 싫어하는 데는 계지속명탕을 주로 쓰는데
본방에 계지, 집함박꽃뿌리(작약), 살구씨(행인)를 곱으로 넣어 쓴다.
陽明中風無汗身熱不惡寒白虎續命主之
本方倍桂枝黃芩加葛根一錢四分
양명중풍증(陽明中風證) 때 몸에 열이 나고 땀이 나지 않으며
오한이 없으면 백호속명탕을 주로 쓰는데
본방에 계지, 속썩은풀(황금)을 곱으로 하고 칡뿌리(갈근) 5.6g을 넣어 쓴다.
太陰中風無汗身崣附子續命主之附子加一倍
甘草加二錢一分乾薑加七分
태음중풍증(太陰中風證)때 땀이 나지 않고 몸이 서늘하면
부자속명탕을 주로 쓰는데 부자는 곱으로 하고
감초는 8.4g, 건강은 2.8g을 넣는다.
少陰中風有汗無熱桂枝續命主之 本方 倍 桂枝 附子甘草
소음중풍증(少陰中風證) 때 땀이 나고 열이 없으면
계지속명탕을 주로 쓰는데 본방에 계지, 부자, 감초를 곱으로 넣는다.
六經混淆繫之於少陽厥陰 或肢節攣痛或麻木不仁
宜羌活連翹續命主之本方一兩 加羌活一錢連翹一錢半[正傳]
6경이 혼란되어 소양병(少陽病)과 궐음병(厥陰病)이 얽혀서
혹 팔다리 뼈마디가 켕기면서[攣] 아프거나 감각이 둔해지면서 잘 쓰지 못하면
강활연교속명탕을 주로 쓰는데
본 처방 약재 40g에 강호리(강활) 8g, 연교 6g을 넣어 쓴다[정전].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