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加味陷胸湯][가미함흉탕]
治熱痞, 胸膈滿痛.
桔梗, 枳殼 各一錢五分,
半夏, 黃芩, 黃連, 瓜蔞仁, 麥門冬 各一錢.
右剉作一貼, 薑五片, 水煎服[醫林].
열비로 가슴이 그득하고 아픈 것을 치료한다.
길경, 지각 각 한 돈 닷 푼,
반하, 황금, 황련, 과루인, 맥문동 각 한 돈.
위의 약들을 썰어 한 첩으로 하여 생강 다섯 쪽을 넣고 물에 달여 먹는다(의림).

[加味朮附湯][가미출부탕]
治中濕諸證
附子炮8g
白朮 赤茯苓 甘草炒 各4g.
剉作一貼 入薑七 棗二 水煎服 日再 纔見身痺 三服後 則當如冒狀 勿怪.
盖朮附 並行皮中 逐水氣 故爾(得效).
중습(中濕)의 여러 가지 증을 치료한다.
부자(싸서 구운 것) 8g,
흰삽주(백출), 벌건솔풍령(적복령), 감초(닦은 것) 각각 6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7쪽,
대추 2알과 함께 물에 넣고 달여 하루에 두번 먹는다.
그런데 몸이 저리면 세번 먹는다.
약을 먹은 뒤에 머리가 좀 어지러운 것은 염려할 필요가 없다.
대체로 흰삽주(백출)와 부자는 같이 피부 속을 돌아다니면서
물 기운을 몰아내기 때문에 그런 것이다[득효].

[加味朮附湯][가미출부탕]
治吐瀉後變成慢驚或因藏寒洞泄得者
附子礐, 白朮 各一兩, 肉豆埼氖二箇
木香 甘草灸 各五錢
右㵋末每二錢 薑三棗 二水煎服[入門]
토하고 설사한 뒤에 만경풍이 되거나 5장이 차서 심한 설사가 나는 것을 치료한다.
부자(싸서 구운 것), 흰삽주(백출) 각각 40g,
육두구(잿불에 묻어 구운 것) 2개, 목향, 감초(닦은 것) 각각 20g.
위의 약들을 거칠게 가루내어 한번에 8g씩 생강 3쪽,
대추 2알과 함께 물에 넣고 달여 먹인다[입문].

[加味調中益氣湯][가미조중익기탕]
治氣血俱虛頭痛, 其效如神.
黃芪 蜜炒 一錢,
人蔘, 蒼朮, 甘草 各七分,
陳皮, 當歸, 川芎 各五分,
木香, 升麻, 柴胡, 細辛, 蔓荊子 各三分.
右剉作一貼, 水煎服[東垣].
기와 혈이 모두 허하여 머리가 아픈 것을 치료하는데, 그 효과가 매우 좋다.
황기(꿀에 축여 볶은 것) 한 돈,
인삼, 창출, 감초 각 일곱 푼,
진피, 당귀, 천궁 각 닷 푼,
목향, 승마, 시호, 세신, 만형자 각 서 푼.
위의 약들을 썰어 한 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먹는다(동원).

[加味除濕湯][가미제습탕]
治傷濕下痢, 如黑豆汁.
半夏, 厚朴, 蒼朮 各一錢二分,
藿香, 陳皮, 赤茯苓 各七分,
木香, 桂皮, 甘草 各五分.
右剉作一貼, 薑三片棗二枚, 空心水煎服[丹心].
습에 상하여 설사를 하는데, 마치 검은콩의 즙과 같은 변이 나오는 것을 치료한다.
반하, 후박, 창출 각 한 돈 두 푼,
곽향, 진피, 적복령 각 일곱 푼,
목향, 계피, 감초 각 다섯 푼.
위의 약들을 썰어 한 첩으로 하여,

생강 세 쪽과 대추 두 개를 넣고 물에 달여 빈속에 먹는다(단심).

[加味益氣湯][가미익기탕]
治勞力感寒證
羗活6g
人蔘 黃芪 防風 柴胡 各4g
白朮 陳皮 當歸 各3g
甘草2g
升麻 黃栢酒炒 各1g
剉作一貼 入薑三片 水煎 熱甚 加酒炒黃芩1g(回春)
노력감한증(勞力感寒證)을 치료한다.
강호리(강활) 6g,
인삼, 단너삼(황기), 방풍, 시호 각각 4g,
흰삽주(백출), 귤껍질(陳皮), 당귀 각각 2.8g,
감초 2g,
승마, 황백(술에 축여 볶은 것) 각각 0.8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3쪽과 함께 물에 넣고 달여 먹는다.
열이 심하면 속썩은풀(황금, 술에 축여 볶은 것) 1.2g을 더 넣는다[회춘].

[加味二陳湯][가미이진탕]
治氣痰窒碍咽喉, 成梅核氣.
半夏, 陳皮, 赤茯苓, 枳殼, 桔梗 各一錢,
片芩, 梔子 炒 各七分,
紫蘇子, 白豆蔲仁, 甘草 各五分.
右剉作一貼, 薑三片同煎服[醫鑑].
기담이 목구멍에 막혀 매핵기가 된 것을 치료한다.
반하, 진피, 적복령, 지각, 길경 각 한 돈,
황금, 치자(볶은 것) 각 일곱 푼,
자소자, 백두구인, 감초 각 다섯 푼.
위의 약들을 썰어 한 첩으로 하여, 생강 세 쪽을 넣고 달여 먹는다(의감).

[加味二陳湯][가미이진탕]
治 濕痰 遺精
半夏, 薑製, 赤茯苓, 鹽水炒, 梔子炒黑 各5.625g
陳皮, 白朮, 桔梗, 升麻酒炒, 柴胡酒炒, 甘草 各3.75g
石菖蒲2.625g, 黃栢 知母 各1.125g
剉作 一服 生薑8g
水煎 空心服(醫鑑).
열담과 유정을 다스린다.
끼무릇(반하, 생강즙으로 법제한 것),
벌건솔풍령(적복령, 소금물로 축여 볶은 것),
산치자(거멓게 닦은 것), 감초 각각 6g,
귤껍질(陳皮) 흰삽주(백출), 도라지(길경), 승마(술로 축여 볶은 것),
시호(술로 축여 볶은 것), 감초 각각 4g,
석창포 2.8g, 황백, 지모 각각 1.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3쪽과 함께 물에 넣고 달여 빈속에 먹는다.

[加味理中湯][가미이중탕]
治肺胃俱寒咳嗽
人參 白朮 乾薑 甘草 赤茯巔 半夏 陳皮 細辛 五味子 各一錢
右犫作一貼入薑三棗二水煎服[丹心]
폐와 위가 다 차서[寒] 기침이 나는 것을 치료한다.
인삼, 흰삽주(백출), 건강, 감초, 벌건솔풍령(적복령),
끼무릇(반하), 귤껍질(陳皮), 족두리풀(세신), 오미자 각각 4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3쪽, 대추 2알과 함께 물에 달여 먹는다[단심].

[加味六君子湯][가미육군자탕]
氣虛噫者 濁氣塡胸也 不因飮食 常噫者 虛也.
盖胃有濁氣, 膈有濕痰, 俱能發噫,
半夏, 白朮 各6g,
陳皮, 白茯苓, 人蔘 各4g,
甘草灸2g.
加沈香爲君, 厚朴 蘇葉爲臣, 吳茱萸使.
剉作一貼 薑三片 棗二枚 煎服.(正傳)
향부자 6g,
흰삽주(백출), 흰솔풍령(백복령), 귤껍질(陳皮), 끼무릇(반하) 각각 4g,
인삼 2.8g,
목향, 사인(축사) 각각 2g,
감초 1.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3쪽,
대추 2알, 차조기잎(자소엽) 7잎과 함께 달여 먹는다[회춘].

[加味溫膽湯][가미온담탕]
治心膽虛怯, 觸事易驚, 涎與氣搏, 變生諸證.
香附子 二錢四分,

橘紅 一錢二分,

半夏, 枳實, 竹茹 各八分,

人蔘, 白茯苓, 柴胡, 麥門冬, 桔梗 各六分,

甘草 四分.
右剉作一貼, 薑三片棗二枚, 水煎服[經驗方].
심(心)과 담(膽)이 매우 허하여 작은 일에도 쉽게 놀라는 것과

진액[涎]과 기가 서로 뒤엉켜 변하여 생긴 여러 증상을 치료한다.
향부자 두 돈 너 푼,

귤홍 한 돈 두 푼,

반하, 지실, 죽여 각 여덟 푼,

인삼, 백복령, 시호, 맥문동, 길경 각 여섯 푼,

감초 너 푼.
위의 약들을 썰어 한 첩으로 하여, 생강 세 쪽과 대추 두 개를 넣고 물에 달여 먹는다(경험방).
入門 名[參胡溫膽湯].
의학입문에서는 삼호온담탕이라고 하였다.

[加味溫膽湯][가미온담탕]
治法同上.
半夏 三錢半,

陳皮 二錢二分,

竹茹, 枳實 各一錢半,

酸棗仁 炒, 遠志, 五味子, 人蔘, 熟地黃, 白茯苓, 甘草 各一錢.
右剉分作二貼, 薑五片棗二枚, 水煎服[回春].
온담탕과 같은 증상을 치료한다.
반하 서 돈 반,

진피 두 돈 두 푼,

죽여, 지실 각 한 돈 반,

산조인(볶은 것), 원지, 오미자, 인삼, 숙지황, 백복령, 감초 각 한 돈.
위의 약들을 썰어 두 첩으로 하여,

생강 다섯 쪽과 대추 두 개를 넣고 물에 달여 먹는다(회춘).
前方 加 酸棗仁, 五味子, 遠志, 人蔘, 熟地黃 也.

心肝氣血虛者, 尤宜服之.
이 처방은 앞의 온담탕에 산조인, 오미자, 원지, 인삼, 숙지황을 더 넣은 것이다.

심(心)과 간(肝)의 기혈(氣血)이 허한 데 더욱 마땅하다.

[加味溫膽湯][가미온담탕]
治 心膽虛怯 觸事易驚 夢寐不祥 虛煩不得睡
半夏14g, 陳皮9g,
竹茹, 枳實 各6g
酸棗仁炒, 遠志, 五味子, 人參, 熟地黃, 白茯苓, 甘草 各4g
爲剉分作二貼 薑五片棗二枚 水煎服(回春).
끼무릇(반하) 14g, 귤껍질(陳皮) 8.8g,
참대속껍질(죽여), 지실 각각 6g,
메대추씨(산조인, 닦은 것), 원지, 오미자, 인삼,
찐지황(숙지황), 흰솔풍령(백복령), 감초 각각 4g.
위의 약들을 썰어서 2첩으로 나누어 쓰는데 1첩에 생강 5쪽,
대추 2알씩 넣어서 물에 달여 먹는다[회춘].
前方(溫膽湯), 加酸棗仁, 五味子, 遠志, 人參, 熟地黃也,
心肝氣血虛者 尤宜服之.
이것은 온담탕에 메대추씨(산조인), 오미자, 원지, 인삼, 찐지황(숙지황)을 넣은 것이다.
심(心)과 간(肝)의 기혈이 허한 데 쓰면 더 좋다.

[加味溫膽湯][가미온담탕]
治 心膽虛怯 觸事易驚 涎與氣博變生諸證.
香附子10g, 橘紅9g, 半夏, 竹茹, 枳實 各3g,
人蔘, 白茯苓, 柴胡, 麥門冬, 桔梗 各2.5g, 甘草2g
剉作一貼 生薑8g 大棗10g
水煎服(寶鑑 : 入門 名 [參胡溫膽湯]).
심(心)과 담(膽)이 허약하여 자그마한 일에 부딪쳐도 잘 놀라며
담과 기가 서로 어울려서 여러 가지 증상이 나타나는 것을 치료한다.
향부자 9.6g, 귤홍 4.8g, 끼무릇(반하), 지실, 참대속껍질(죽여) 각각 3.2g,
인삼, 흰솔풍령(백복령), 시호, 맥문동, 도라지(길경) 각각 2.4g,
감초 1.6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3쪽,
대추 2개와 함께 물에 넣고 달여 먹는다[경험방].
입문에는 삼호온담탕(參胡溫膽湯)이라고 하였다.  

[加味養臟湯][가미양장탕]
治休息痢.
眞人養藏湯 方見上,
加 附子, 靑皮, 烏藥, 茯苓.
右剉, 薑三片棗二枚, 煎服[得效].
휴식리를 치료한다.
진인양장탕(처방은 앞에 있다)에 부자, 청피, 오약, 복령을 넣는다.
위의 약들을 썰어 생강 세 쪽, 대추 두 개를 넣고 달여 먹는다(득효).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