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加味溫膽湯][가미온담탕]
治心膽虛怯, 觸事易驚, 涎與氣搏, 變生諸證.
香附子 二錢四分,

橘紅 一錢二分,

半夏, 枳實, 竹茹 各八分,

人蔘, 白茯苓, 柴胡, 麥門冬, 桔梗 各六分,

甘草 四分.
右剉作一貼, 薑三片棗二枚, 水煎服[經驗方].
심(心)과 담(膽)이 매우 허하여 작은 일에도 쉽게 놀라는 것과

진액[涎]과 기가 서로 뒤엉켜 변하여 생긴 여러 증상을 치료한다.
향부자 두 돈 너 푼,

귤홍 한 돈 두 푼,

반하, 지실, 죽여 각 여덟 푼,

인삼, 백복령, 시호, 맥문동, 길경 각 여섯 푼,

감초 너 푼.
위의 약들을 썰어 한 첩으로 하여, 생강 세 쪽과 대추 두 개를 넣고 물에 달여 먹는다(경험방).
入門 名[參胡溫膽湯].
의학입문에서는 삼호온담탕이라고 하였다.

[加味溫膽湯][가미온담탕]
治法同上.
半夏 三錢半,

陳皮 二錢二分,

竹茹, 枳實 各一錢半,

酸棗仁 炒, 遠志, 五味子, 人蔘, 熟地黃, 白茯苓, 甘草 各一錢.
右剉分作二貼, 薑五片棗二枚, 水煎服[回春].
온담탕과 같은 증상을 치료한다.
반하 서 돈 반,

진피 두 돈 두 푼,

죽여, 지실 각 한 돈 반,

산조인(볶은 것), 원지, 오미자, 인삼, 숙지황, 백복령, 감초 각 한 돈.
위의 약들을 썰어 두 첩으로 하여,

생강 다섯 쪽과 대추 두 개를 넣고 물에 달여 먹는다(회춘).
前方 加 酸棗仁, 五味子, 遠志, 人蔘, 熟地黃 也.

心肝氣血虛者, 尤宜服之.
이 처방은 앞의 온담탕에 산조인, 오미자, 원지, 인삼, 숙지황을 더 넣은 것이다.

심(心)과 간(肝)의 기혈(氣血)이 허한 데 더욱 마땅하다.

[加味溫膽湯][가미온담탕]
治 心膽虛怯 觸事易驚 夢寐不祥 虛煩不得睡
半夏14g, 陳皮9g,
竹茹, 枳實 各6g
酸棗仁炒, 遠志, 五味子, 人參, 熟地黃, 白茯苓, 甘草 各4g
爲剉分作二貼 薑五片棗二枚 水煎服(回春).
끼무릇(반하) 14g, 귤껍질(陳皮) 8.8g,
참대속껍질(죽여), 지실 각각 6g,
메대추씨(산조인, 닦은 것), 원지, 오미자, 인삼,
찐지황(숙지황), 흰솔풍령(백복령), 감초 각각 4g.
위의 약들을 썰어서 2첩으로 나누어 쓰는데 1첩에 생강 5쪽,
대추 2알씩 넣어서 물에 달여 먹는다[회춘].
前方(溫膽湯), 加酸棗仁, 五味子, 遠志, 人參, 熟地黃也,
心肝氣血虛者 尤宜服之.
이것은 온담탕에 메대추씨(산조인), 오미자, 원지, 인삼, 찐지황(숙지황)을 넣은 것이다.
심(心)과 간(肝)의 기혈이 허한 데 쓰면 더 좋다.

[加味溫膽湯][가미온담탕]
治 心膽虛怯 觸事易驚 涎與氣博變生諸證.
香附子10g, 橘紅9g, 半夏, 竹茹, 枳實 各3g,
人蔘, 白茯苓, 柴胡, 麥門冬, 桔梗 各2.5g, 甘草2g
剉作一貼 生薑8g 大棗10g
水煎服(寶鑑 : 入門 名 [參胡溫膽湯]).
심(心)과 담(膽)이 허약하여 자그마한 일에 부딪쳐도 잘 놀라며
담과 기가 서로 어울려서 여러 가지 증상이 나타나는 것을 치료한다.
향부자 9.6g, 귤홍 4.8g, 끼무릇(반하), 지실, 참대속껍질(죽여) 각각 3.2g,
인삼, 흰솔풍령(백복령), 시호, 맥문동, 도라지(길경) 각각 2.4g,
감초 1.6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3쪽,
대추 2개와 함께 물에 넣고 달여 먹는다[경험방].
입문에는 삼호온담탕(參胡溫膽湯)이라고 하였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