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羗活防己湯][강활방기탕]
治附骨疽 發於太陽 厥陰 太陰分者
羗活 川芎 蒼朮 各5g
防己 木香 連翹 射干 白芍藥 木通 當歸尾 蘇木 甘草 各3g
剉作 酒水各半煎(正傳).
부골저가 태양경(太陽經)이나 궐음경(厥陰經)이나
태음경(太陰經) 부위에 생긴 것을 치료한다.
강호리(강활), 궁궁이(천궁), 삽주(창출) 각각 4.8g,
방기, 목향, 연교, 범부채(사간), 집함박꽃뿌리(백작약),
으름덩굴(목통), 당귀(잔뿌리), 소목, 감초 각각 2.8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술과 물을 절반씩 섞은 데 넣고 달여 먹는다[정전].

'[處方箋] > [處方湯]' 카테고리의 다른 글

[羌活附子湯][강활부자탕]  (0) 2019.01.13
[羌活防風湯][강활방풍탕]   (0) 2019.01.13
[羌活導滯湯][강활도체탕]  (0) 2019.01.13
[薑朮湯][강출탕]  (0) 2019.01.13
[薑塩湯][강염탕]   (0) 2019.01.13

[羌活導滯湯][강활도체탕]
治脚氣初發, 一身盡痛, 或肢節腫痛, 便尿阻隔.

先以此導之, 後用當歸拈痛湯除之.
大黃 酒煨 二錢四分,
羌活, 獨活 各一錢二分,
防己, 當歸尾 各七分,
枳實 五分.
右剉作一貼, 水煎服, 微利卽止[東垣].
각기가 처음 생겨서 온몸이 다 아프거나,

사지의 마디가 붓고 아프면서 대소변이 막힌 것을 치료하는데,

먼저 이 약으로 끌어내린 다음 당귀점통탕을 써서 병을 없앤다.
대황(술에 축여 잿불에 묻어 구운 것) 두 돈 너 푼,
강활, 독활 각 한 돈 두 푼,
방기, 당귀미 각 일곱 푼,
지실 닷 푼.
위의 약들을 썰어 한 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먹는데, 설사가 약간 나고 곧 낫는다(동원).

'[處方箋] > [處方湯]' 카테고리의 다른 글

[羌活防風湯][강활방풍탕]   (0) 2019.01.13
[羗活防己湯][강활방기탕]   (0) 2019.01.13
[薑朮湯][강출탕]  (0) 2019.01.13
[薑塩湯][강염탕]   (0) 2019.01.13
[降心湯][강심탕]   (0) 2019.01.13

[薑朮湯][강출탕]
治虛人停飮怔忡.
白薑, 生白朮, 赤茯苓, 半夏麴 各五錢,
桂皮, 甘草 各二錢半.
右剉. 每五錢, 薑三片棗二枚, 水煎服[得效].
몸이 허한데 음(飮)이 고여 정충이 생긴 것을 치료한다.
백강, 생백출, 적복령, 반하국 각 다섯 돈,
계피, 감초 각 두 돈 반.
위의 약들을 썰어 다섯 돈씩 생강 세 쪽과 대추 두 개를 넣고 물에 달여 먹는다(득효).

'[處方箋] > [處方湯]' 카테고리의 다른 글

[羗活防己湯][강활방기탕]   (0) 2019.01.13
[羌活導滯湯][강활도체탕]  (0) 2019.01.13
[薑塩湯][강염탕]   (0) 2019.01.13
[降心湯][강심탕]   (0) 2019.01.13
[薑附湯][강부탕]   (0) 2019.01.13

[薑塩湯][강염탕]
治 乾霍亂欲死.
塩40g, 生薑切20g.
同炒色變, 以童尿2盞, 同煎, 至1盞, 分二次服(直旨).
건곽란(乾 亂)으로 죽을 것같이 된 것을 치료한다.
소금 40g, 생강(썬 것) 20g.
위의 약을 함께 빛이 변하도록 닦아 물 2잔에 넣고
절반이 되게 달여 두번에 나누어 먹는다[직지].

'[處方箋] > [處方湯]' 카테고리의 다른 글

[羌活導滯湯][강활도체탕]  (0) 2019.01.13
[薑朮湯][강출탕]  (0) 2019.01.13
[降心湯][강심탕]   (0) 2019.01.13
[薑附湯][강부탕]   (0) 2019.01.13
[薑蜜湯][강밀탕]  (0) 2019.01.13

[降心湯][강심탕]
治心火上炎 腎水不濟 煩渴引飮 氣血日消
天花粉8g
人蔘 遠志 當歸 熟地黃 白茯苓 黃芪蜜炒 五味子 甘草各 4g
剉作一貼 入棗二 水煎服(得效).
심화(心火)가 타오고 신수(腎水)가 자기의 기능을 하지 못하여
번갈이 나서 물을 켜고 기혈이 날마다 소모되는 것을 치료한다.
하늘타리뿌리(천화분) 8g,
인삼, 원지, 당귀, 찐지황(숙지황), 흰솔풍령(백복령),
단너삼(황기, 꿀에 축여 볶은 것), 오미자, 감초 각각 4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대추 2알과 함께 물에 달여 먹는다[득효].

'[處方箋] > [處方湯]' 카테고리의 다른 글

[薑朮湯][강출탕]  (0) 2019.01.13
[薑塩湯][강염탕]   (0) 2019.01.13
[薑附湯][강부탕]   (0) 2019.01.13
[薑蜜湯][강밀탕]  (0) 2019.01.13
[羗麻湯][강마탕]   (0) 2019.01.13

[薑附湯][강부탕]
治傷寒陰證及中寒 方見上 少陰形證用藥
乾薑炮40g, 附子炮1枚
剉 取20g 水煎服(丹心).
상한음증(傷寒陰證)과 중한(中寒)을 치료한다.
건강(싸서 구운 것) 40g, 부자(싸서 구운 것) 1개.
위의 약들을 썰어서 한번에 20g씩 물에 달여 먹는다[단심].

[加味薑附湯][가미강부탕]
治霍亂 吐瀉過多手足逆冷氣少不語六脈沈伏.
附子炮 乾薑炮 人蔘各6g 甘草灸3g
剉作一貼 水煎服(得效).
一名 [四順附子湯] (直旨).
곽란으로 몹시 토하고 설사하여 손발이 싸늘하고
기운이 없어서 말을 잘하지 못하며 6맥(六脈)이 침복(沈伏)한 것을 치료한다.
부자(싸서 구운 것), 건강(싸서 구운 것), 인삼 각각 6g, 감초(닦은 것) 2.8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먹는다[득효].
일명 사순부자탕(四順附子湯)이라고도 한다[직지].

'[處方箋] > [處方湯]' 카테고리의 다른 글

[薑塩湯][강염탕]   (0) 2019.01.13
[降心湯][강심탕]   (0) 2019.01.13
[薑蜜湯][강밀탕]  (0) 2019.01.13
[羗麻湯][강마탕]   (0) 2019.01.13
[薑茶湯][강다탕]  (0) 2019.01.13

[薑蜜湯][강밀탕]
治小便出血.
生薑 七片,
蜜 半盃,
白茅根 一握.
右水煎服[得效].
오줌에 피가 섞여나오는 것을 치료한다.
생강 일곱 쪽,
꿀 반 잔,
백모근 한 줌.
위의 약들을 물에 달여 먹는다(득효).

'[處方箋] > [處方湯]' 카테고리의 다른 글

[降心湯][강심탕]   (0) 2019.01.13
[薑附湯][강부탕]   (0) 2019.01.13
[羗麻湯][강마탕]   (0) 2019.01.13
[薑茶湯][강다탕]  (0) 2019.01.13
[降氣湯][강기탕]  (0) 2019.01.13

[羗麻湯][강마탕]
治破傷風 在半表半裏無汗
羗活 麻黃 甘菊 川芎 石膏 防風

前胡 黃芩 細辛 枳殼 白茯苓 蔓荊子 甘草各3g

白芷 薄荷 各2g
爲剉作一貼入薑三片水煎服(入門).
파상풍이 반표반리(半表半裏)에 있으면서 땀이 나지 않는 것을 치료한다.
강호리(강활), 마황, 단국화(감국), 궁궁이(천궁), 석고, 방풍, 전호,
속썩은풀(황금), 족두리풀(세신), 지각, 흰솔풍령(백복령),
순비기열매(만형자), 감초 각각 2.8g,

구릿대(백지), 박하 각각 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3쪽과 함께 물에 달여 먹는다[입문].

'[處方箋] > [處方湯]' 카테고리의 다른 글

[薑附湯][강부탕]   (0) 2019.01.13
[薑蜜湯][강밀탕]  (0) 2019.01.13
[薑茶湯][강다탕]  (0) 2019.01.13
[降氣湯][강기탕]  (0) 2019.01.13
[甘草湯][감초탕]  (0) 2019.01.13

[薑茶湯][강다탕]
治痢疾腹痛.
老生薑, 春茶葉等分, 同煎服[醫鑑].
이질로 배가 아픈 것을 치료한다.
묵은 생강과 봄에 딴 찻잎을 같은 양으로 하여 함께 달여 먹는다(의감).
薑能助陽, 茶能助陰, 况暑毒酒食毒, 皆能解之.

不問赤白冷熱疫痢腹痛, 通用之[直指].
생강은 양기를 돕고, 차는 음기를 도와 서독(暑毒)이나

주독(酒毒)과 식독(食毒)을 모두 풀 수 있다.
적리, 백리, 냉리, 열리, 역리를 불문하고 배가 아픈 데 두루 쓴다(직지).
熱痢留薑皮, 冷痢去薑皮[本草].
열리에는 생강의 껍질을 벗기지 않고 쓰고, 냉리에는 생강의 껍질을 벗겨 쓴다(본초).

'[處方箋] > [處方湯]' 카테고리의 다른 글

[薑蜜湯][강밀탕]  (0) 2019.01.13
[羗麻湯][강마탕]   (0) 2019.01.13
[降氣湯][강기탕]  (0) 2019.01.13
[甘草湯][감초탕]  (0) 2019.01.13
[甘草瀉心湯][감초사심탕]   (0) 2019.01.13

[降氣湯][강기탕]
香附子 製, 茯神, 甘草 各一錢.
右水煎服.
향부자(법제한 것), 백복신, 감초 각 한 돈.
위의 약들을 물에 달여 먹는다.

'[處方箋] > [處方湯]' 카테고리의 다른 글

[羗麻湯][강마탕]   (0) 2019.01.13
[薑茶湯][강다탕]  (0) 2019.01.13
[甘草湯][감초탕]  (0) 2019.01.13
[甘草瀉心湯][감초사심탕]   (0) 2019.01.13
[甘草附子湯][감초부자탕]   (0) 2019.01.13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