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乾艾湯][건애탕]
癰疽瘡口 久不合 肉白而膿血少 乃氣血不潮于瘡 冷滯而然.
陳艾葉
濃煎 取湯 逐日溫洗 仍以白膠香 所烟熏之,
[神異膏]方見雜方 貼之(精要).
옹저 때 헌데 구멍이 오랫동안 아물지 않고 살이 허옇게 되며
피고름이 약간 생기는 것은 기혈이 헌데가 생긴 곳으로 잘 돌지 못하고
차져서 뭉치기 때문이다.
묵은 약쑥잎(陳艾葉).
위의 약을 진하게 달여서 따뜻하게 하여 매일 씻은 다음
즉시 백교향을 태우면서 연기를 쏘여야 한다.
그 다음 신이고(神異膏, 처방은 잡방에 있다)를 붙여야 한다[정요].

'[處方箋] > [處方湯]' 카테고리의 다른 글

[桂苓湯][계령탕]   (0) 2019.01.13
[蠲痺湯][견비탕]   (0) 2019.01.13
[乾薑湯][건강탕]   (0) 2019.01.13
[乾葛湯][건갈탕]  (0) 2019.01.13
[袪風除濕湯][거풍제습탕]   (0) 2019.01.13

[乾薑湯][건강탕]
治陰陽易病 速當汗之 滿4日 不可療
乾薑12g
剉水煎服 得汗出 手足伸卽愈(得效).
一方 乾薑爲末37.5g 溫湯調服 覆衣取汗得解(古方).
음양역병(陰陽易病)을 치료한다.
빨리 땀을 낼 것이며 4일이 지나면 치료하지 못한다.
건강 12g.
위의 한 가지 약을 썰어서 달여 먹고 땀을 내면 손발이 펴지면서 낫는다[득효].
어떤 처방에는 건강가루 40g을 따뜻한 물에 타 먹고
이불을 덮고 땀을 내면 풀린다고 하였다[고방].

'[處方箋] > [處方湯]' 카테고리의 다른 글

[蠲痺湯][견비탕]   (0) 2019.01.13
[乾艾湯][건애탕]   (0) 2019.01.13
[乾葛湯][건갈탕]  (0) 2019.01.13
[袪風除濕湯][거풍제습탕]   (0) 2019.01.13
[祛風導痰湯][거풍도담탕]  (0) 2019.01.13

[乾葛湯][건갈탕]
治酒痔.
乾葛, 枳殼, 半夏, 赤茯苓, 生地黃, 杏仁 各一錢,
條芩, 甘草 各五分.
右剉作一貼, 黑豆百粒, 薑三片, 白梅一箇, 同煎服[入門].
주치를 치료한다.
갈근, 지각, 반하, 적복령, 생지황, 행인 각 한 돈,
황금, 감초 각 닷 푼.
위의 약들을 썰어 한 첩으로 하여

검은콩 백 알, 생강 세 쪽, 흰 매실 한 개를 넣고 같이 달여 먹는다(입문).

'[處方箋] > [處方湯]' 카테고리의 다른 글

[乾艾湯][건애탕]   (0) 2019.01.13
[乾薑湯][건강탕]   (0) 2019.01.13
[袪風除濕湯][거풍제습탕]   (0) 2019.01.13
[祛風導痰湯][거풍도담탕]  (0) 2019.01.13
[拒勝湯][거승탕]  (0) 2019.01.13

[袪風除濕湯][거풍제습탕]
治右半身不遂 屬氣虛與濕痰
白朮5g
白茯苓 當歸酒洗 陳皮 赤芍藥 半夏 蒼朮
烏藥 枳殼 羗活 黃芩 黃連並酒炒 各4g
人蔘 川芎 桔梗 防風 白芷 各3g
甘草灸2g
剉分二貼 入薑五片 水煎服(回春).
기(氣)가 허(虛)하거나 습담(濕痰)으로 몸 오른쪽을 쓰지 못하는 것을 치료한다.
흰삽주(백출) 4.8g,
흰솔풍령(백복령), 당귀(술에 씻은 것), 귤껍질(陳皮), 함박꽃뿌리(적작약),
끼무릇(반하), 삽주(창출), 오약, 지각, 강호리(강활), 황련(술에 축여 볶은 것),
속썩은풀(황금, 술에 축여 볶은 것) 각각 4g,
인삼, 궁궁이(천궁), 도라지(길경), 방풍 각각 3.2g,
구릿대(백지) 2.8g,
감초(닦은 것) 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2첩으로 하여 생강 5쪽과 함께 물에 달여 먹는다[회춘].

'[處方箋] > [處方湯]' 카테고리의 다른 글

[乾薑湯][건강탕]   (0) 2019.01.13
[乾葛湯][건갈탕]  (0) 2019.01.13
[祛風導痰湯][거풍도담탕]  (0) 2019.01.13
[拒勝湯][거승탕]  (0) 2019.01.13
[開鬱四物湯][개울사물탕]  (0) 2019.01.13

[導痰湯][도담탕]
治風痰.
半夏 薑製 二錢, 南星 炮, 橘紅, 枳殼, 赤茯苓, 甘草 各一錢.
右剉作一貼. 薑五片, 水煎服[得效].
풍담을 치료한다.
반하(생강에 법제한 것) 두 돈, 남성(싸서 구운 것), 귤홍, 지각, 적복령, 감초 각 한 돈.
위의 약들을 썰어 한 첩으로 하여, 생강 다섯 쪽을 넣고 물에 달여 먹는다(득효).

[導痰湯][도담탕]
治 中風痰盛 語澁眩暈.
半夏, 薑制8g,

南星.炮, 橘紅, 枳殼, 赤茯苓 各4g,
右剉 作一貼 薑五片 水煎服(得效).
중풍으로 담(痰)이 성(盛)해서 말이 잘 되지 않고 어지러운 것을 치료한다.
끼무릇(반하, 생강즙에 법제한 것) 8g,
천남성(싸서 구운 것), 귤홍, 지각, 벌건솔풍령(적복령), 감초 각각 4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5쪽과 함께 물에 달여 먹는다[득효].
加 香附子, 烏藥, 沈香, 木香 各2g, 名曰 [順氣導痰湯],
加 黃芩, 黃連 各2g, 名曰 [淸熱導痰湯],
加 羗活, 白朮 各2g, 名曰 [袪風導痰湯],
加 遠志, 菖蒲, 芩連, 朱砂 各2g, 名曰 [寧神導痰湯](入門).
이 처방에 향부자, 오약, 침향, 목향을 넣으면 순기도담탕(順氣導痰湯)이 된다.
이 처방에 속썩은풀(황금), 황련을 넣으면 청열도담탕(淸熱導痰湯)이 된다.
이 처방에 강호리(강활), 흰삽주(백출)를 넣으면 거풍도담탕(祛風導痰湯)이 된다.
이 처방에 원지, 석창포, 속썩은풀(황금), 황련, 주사를 넣으면
영신도담탕(寧神導痰湯)이 된다[입문].

'[處方箋] > [處方湯]' 카테고리의 다른 글

[乾葛湯][건갈탕]  (0) 2019.01.13
[袪風除濕湯][거풍제습탕]   (0) 2019.01.13
[拒勝湯][거승탕]  (0) 2019.01.13
[開鬱四物湯][개울사물탕]  (0) 2019.01.13
[開鬱導氣湯][개울도기탕]  (0) 2019.01.13

[抵聖湯][저성탕]
治産後 嘔逆惡心 不能飮食
赤芍藥 半夏 澤蘭 人參 陳皮 各6g
甘草2g
剉作一貼 入薑七片 水煎服(濟生).
해산 후에 구역이 나고 메슥메슥하여 음식을 먹지 못하는 것을 치료한다.
함박꽃뿌리(작약), 끼무릇(반하), 쉽싸리잎(택란엽), 인삼, 귤껍질(陳皮) 각각 6g,
감초 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7쪽과 함께 물에 넣고 달여 먹는다[제생].
일명 거승탕(拒勝湯)이라고도 한다[정전].

'[處方箋] > [處方湯]' 카테고리의 다른 글

[袪風除濕湯][거풍제습탕]   (0) 2019.01.13
[祛風導痰湯][거풍도담탕]  (0) 2019.01.13
[開鬱四物湯][개울사물탕]  (0) 2019.01.13
[開鬱導氣湯][개울도기탕]  (0) 2019.01.13
[開氣消痰湯][개기소담탕]  (0) 2019.01.13

[開鬱四物湯][개울사물탕]
治崩漏.
多因心氣所使而下, 故貴奪勢, 先富後貧, 皆是也.
香附米 炒, 當歸身, 白芍藥 酒炒, 熟地黃, 白朮 各一錢,
川芎, 黃芪, 蒲黃 炒, 地楡, 人蔘 各五分,
升麻 三分.
右剉作一貼, 煎服[正傳].
붕루를 치료한다.
대개 마음을 많이 쓰면 하혈을 하게 되는데,

높은 지위에 있다가 세력을 잃거나 부자였다가 가난해지는 것이 모두 이런 경우이다.
향부자(볶은 것), 당귀신, 백작약(술에 축여 볶은 것), 숙지황, 백출 각 한 돈,
천궁, 황기, 포황(볶은 것), 지유, 인삼 각 다섯 푼,
승마 서 푼.
위의 약들을 썰어 한 첩으로 하여 달여 먹는다(정전).

'[處方箋] > [處方湯]' 카테고리의 다른 글

[祛風導痰湯][거풍도담탕]  (0) 2019.01.13
[拒勝湯][거승탕]  (0) 2019.01.13
[開鬱導氣湯][개울도기탕]  (0) 2019.01.13
[開氣消痰湯][개기소담탕]  (0) 2019.01.13
[開噤湯][개금탕]  (0) 2019.01.13

[開鬱導氣湯][개울도기탕]
治諸般腹痛, 一服立止.
蒼朮, 香附 便炒, 白芷, 川芎, 赤茯苓, 滑石, 梔子 炒, 神麴 炒 各一錢,
乾薑 炮, 陳皮 各五分,
甘草 灸 三分.
右剉作一貼, 水煎服[醫鑑].
여러 가지 배가 아픈 것을 치료하는데, 한 번만 먹어도 바로 낫는다.
창출, 향부자(동변에 축여 볶은 것),

백지, 천궁, 적복령, 활석, 치자(볶은 것), 신곡(볶은 것) 각 한 돈,
건강(싸서 구운 것), 진피 각 닷 푼,
감초(구운 것) 서 푼.
위의 약들을 썰어 한 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먹는다(의감).

'[處方箋] > [處方湯]' 카테고리의 다른 글

[拒勝湯][거승탕]  (0) 2019.01.13
[開鬱四物湯][개울사물탕]  (0) 2019.01.13
[開氣消痰湯][개기소담탕]  (0) 2019.01.13
[開噤湯][개금탕]  (0) 2019.01.13
[開結舒經湯][개결서경탕]  (0) 2019.01.13

[開氣消痰湯][개기소담탕]
治胸中胃脘至咽門, 窄狹如線, 疼痛及手足俱有核如胡桃者.
桔梗, 便香附子, 白殭蠶 炒 各一錢,
陳皮, 片芩, 枳殼 各七分,
前胡, 半夏, 枳實, 羌活, 荊芥, 檳榔, 射干, 威靈仙 各五分,
木香, 甘草 各三分.
右剉作一貼, 薑三片, 水煎服[醫鑑].
가슴의 위완에서 목구멍까지 가는 줄같이 오그라들고 아프면서,

팔다리에 모두 호도와 같은 덩어리가 있는 것을 치료한다.
길경, 향부자(동변으로 법제한 것), 백강잠(볶은 것) 각 한 돈,
진피, 황금, 지각 각 일곱 푼,
전호, 반하, 지실, 강활, 형개, 빈랑, 사간, 위령선 각 다섯 푼,
목향, 감초 각 서 푼.
위의 약들을 썰어 한 첩으로 하여, 생강 세 쪽을 넣고 물에 달여 먹는다(의감).

'[處方箋] > [處方湯]' 카테고리의 다른 글

[開鬱四物湯][개울사물탕]  (0) 2019.01.13
[開鬱導氣湯][개울도기탕]  (0) 2019.01.13
[開噤湯][개금탕]  (0) 2019.01.13
[開結舒經湯][개결서경탕]  (0) 2019.01.13
[羌活退瞖湯][강활퇴예탕]  (0) 2019.01.13

[開噤湯][개금탕]
治噤口痢.
砂糖 七錢,
細茶 五錢,
縮砂 硏 一錢,
生薑 五片.
右剉作一貼, 水煎露一宿, 次早面北溫服.
外用木鱉子去殼三錢, 麝香二分, 共擣罨臍中, 卽思食[回春].
금구리를 치료한다.
사탕 일곱 돈,
세다 다섯 돈,
축사인(간 것) 한 돈,
생강 다섯 쪽.
위의 약들을 썰어 한 첩으로 하여 물에 달인 다음 하룻밤 이슬을 맞힌 뒤,
다음날 아침 일찍 북쪽을 바라보고 따뜻하게 하여서 먹는다.
외용(外用)으로 목별자(껍질을 버린 것) 서 돈,
사향 두 푼을 함께 짓찧어 배꼽 가운데에 붙이고 싸매면 바로 밥맛이 난다(회춘).

'[處方箋] > [處方湯]' 카테고리의 다른 글

[開鬱導氣湯][개울도기탕]  (0) 2019.01.13
[開氣消痰湯][개기소담탕]  (0) 2019.01.13
[開結舒經湯][개결서경탕]  (0) 2019.01.13
[羌活退瞖湯][강활퇴예탕]  (0) 2019.01.13
[羗活冲和湯][강활충화탕]   (0) 2019.01.13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