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桂枝附子湯] [계지부자탕]
治傷寒發汗過多, 遂漏不止, 四肢拘急, 難以屈伸.
桂枝, 附子 炮 各三錢, 白芍藥 二錢, 甘草 灸 一錢.
右剉作一貼, 薑五片棗二枚, 水煎服之[入門].
상한에 땀을 지나치게 내서 땀이 줄줄 흘러 그치지 않고,
팔다리가 오그라들며 당기고 구부렸다 폈다 하기가 어려운 것을 치료한다.
계지, 부자(싸서 구운 것) 각 서 돈,
백작약 두
돈,
감초(구운 것) 한 돈.
위의 약들을 썰어 한 첩으로 하여,
생강 다섯 쪽과 대추 두 개를 물에 함께 달여 먹는다(입문)
[小建中湯][소건중탕]
治 虛勞 裏急腹中痛 夢寐失精 四肢痠
疼 手足煩熱 咽乾口燥
白芍藥20g, 桂枝12g(無則用薄桂), 甘草灸4g.
剉作一貼 入生薑五片 大棗四枚 水煎至半 去滓
下膠飴(卽黑糖), 半盞(卽40g). 再煎熔化之
허로로 뱃속이 켕기고 아프며 몽설하고 팔다리가 저리고
아프며 손발바닥에 번열이 나며 목구멍과 입이 마르는 것을 치료한다.
집함박꽃뿌리(백작약) 20g,
계지(계지가 없으면 박계를 대신 쓴다) 12g, 감초(닦은 것) 4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5쪽,
대추 4알과 함께 물에 넣고 달여 절반이 되면
짜서 찌꺼기를 버리고 검정엿 반잔(40g)을 넣고
다시 달여서 엿이 풀어지면 먹는다[중경].
芍藥 味酸於土中瀉木爲君 飴糖 甘草之溫 補脾養胃爲臣
水挾木勢 亦來侮土 故 脈弦而腹痛 肉桂 大辛熱佐 芍藥
以退寒水 薑棗 甘辛溫 發散陽氣 行於經絡 皮毛爲使
故 建中之名 始于此焉(東垣)
집함박꽃뿌리(백작약)는 맛이 신 약인데 비위에 들어가서
억제하는 간기(肝氣)를 사해주므로 주약으로 하였고
엿과 감초는 성질이 따뜻한 약인데 비위를 보하므로 신약(臣藥)으로 하였다.
수기가 간목의 힘과 어울려서 비토를 억누르기 때문에
맥이 현하면서 배가 아프게 된다.
그러므로 몹시 맵고 성질이 열한 육계로 집함박꽃뿌리(백작약)를
도와서 찬 수기를 없애야 하고 생강과 대추는 달고 맵고
성질이 따뜻한 약인데 땀을 내게 하여 양기가 경락과 피모로
잘 돌게 하므로 사약으로 하였다.
그러므로 건중(建中)이란 이름은 여기서부터 나온 것이다[동원].
治虛勞 氣虛自汗 本方 加 黃芪蜜炒4g 名曰 [黃芪建中湯]
허로로 기가 허하여 저절로 땀이 나는 것을 치료하는데
본 처방에 단너삼(황기, 꿀로 축여 볶은 것) 4g을 더 넣어쓴다.
이것을 황기건중탕(黃 建中湯)이라고 한다.
治虛勞 血虛自汗 本方 加 當歸4g
名曰 [當歸建中湯] 服法同上(仲景).
허로로 혈이 허하여 저절로 땀이 나는 것을 치료하는 데는
본 처방에 당귀 4g을 더 넣어 쓴다.
이것을 당귀건중탕(當歸建中湯)이라고 한다.
먹는 법은 위와 같다[중경].
治表虛自汗
[黃芪建中湯] 乃本方 加黃芪也 治虛勞自汗.
[當歸建中湯] 乃本方 加當歸37.5g也 治血虛自汗.
[桂枝附子湯] 乃本方 加桂枝18.75g 炮附子半箇也.
治自汗漏不止 每服26g 薑七片 棗二枚 水煎服(得效).
표허증(表虛證)으로 저절로 땀이 나는 것을 멎게 한다.
황기건중탕이란 바로 이 처방에 황기를 넣은 것인데
허로(虛勞)로 땀이 저절로 나는 것을 치료한다.
당귀건중탕이란 이 처방에 당귀 40g을 넣은 것인데
혈이 허하며 땀이 저절로 나는 것을 치료한다.
계지부자탕이란 이 처방에 계지 20g과 부자(싸서 구운 것)
반 개를 넣은 것인데 저절로 땀이 계속 나는 것을 치료한다.
한번에 28g씩 생강 7쪽, 대추 2알과 함께 물에 달여 먹는다[득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