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膠艾四物湯][교애사물탕]
治胎漏腹痛
熟地黃 白芍藥 川芎 當歸 阿膠珠 條芩 白朮 縮砂 艾葉 香附子炒 各4g
剉作一貼 入糯米一撮 水煎空心服(回春).
태루가 있으면서 배가 아픈 것을 치료한다.
찐지황(숙지황), 당귀, 궁궁이(천궁), 집함박꽃뿌리(백작약), 아교주,
속썩은풀(황금), 흰삽주(백출), 사인, 약쑥(애엽), 향부자(닦은 것) 각각 4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찹쌀 한 자밤과 함께
물에 넣고 달여 빈속에 먹는다[회춘].

'[處方箋] > [處方湯]' 카테고리의 다른 글

[橘皮半夏生薑湯][교피반하생강탕]   (0) 2019.01.14
[膠艾湯][교애탕]   (0) 2019.01.14
[膠艾芎歸湯][교애궁귀탕]  (0) 2019.01.14
[膠蜜湯][교밀탕]  (0) 2019.01.14
[槐黃湯][괴황탕]  (0) 2019.01.14

[膠艾芎歸湯][교애궁귀탕]
治胎動下血 在八九月內者 及治半産後 因續下血不絶者
阿膠珠 艾葉 川芎 當歸 各8g, 

 甘草灸4g,
剉作一貼 水煎服.
胎動腹痛 或下黃汁 如漆 如豆汁者, 野苧根 金銀花根 各20g
酒水相半煎(入門).
임신 8-9달에 태동으로 피가 나오는 것과
유산한 뒤에 계속 피가 나오는 것을 치료한다.
아교주, 약쑥(애엽), 궁궁이(천궁), 당귀 각각 8g,
감초(닦은 것) 4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먹는다.
태동으로 배가 아프거나 누런 물이나 옻 같은 것이나
콩물 같은 것이 흐르는 데는 모시풀뿌리(야저근), 금은화뿌리 각각 20g을
물 절반, 술 절반과 함께 달여 먹는다[입문].

'[處方箋] > [處方湯]' 카테고리의 다른 글

[膠艾湯][교애탕]   (0) 2019.01.14
[膠艾四物湯][교애사물탕]   (0) 2019.01.14
[膠蜜湯][교밀탕]  (0) 2019.01.14
[槐黃湯][괴황탕]  (0) 2019.01.14
[廣朮潰堅湯][광출궤견탕]   (0) 2019.01.13

[膠蜜湯][교밀탕]
治老人虛人大便秘澁.
連根大葱白三莖, 新水一盞, 煎葱爛熟去之,

入明阿膠珠二錢, 蜜二匙, 攪令熔化, 空心服[直指].
노인과 허한 사람의 변비를 치료한다.
총백(뿌리가 달린 채로 큰 것) 세 개를 새로 길어온 물 한 잔에

총백이 흐무러지도록 푹 달인 다음, 총백을 버리고 투명한 아교주 두 돈과

꿀 두 숟가락을 넣고 저어 녹여서 빈속에 먹는다(직지).

'[處方箋] > [處方湯]' 카테고리의 다른 글

[膠艾四物湯][교애사물탕]   (0) 2019.01.14
[膠艾芎歸湯][교애궁귀탕]  (0) 2019.01.14
[槐黃湯][괴황탕]  (0) 2019.01.14
[廣朮潰堅湯][광출궤견탕]   (0) 2019.01.13
[廣大重明湯][광대중명탕]  (0) 2019.01.13

[槐黃湯][괴황탕]
治腸風藏毒.
槐花 炒, 生地黃, 樗根白皮 炒 各一錢,
防風, 當歸, 白芍藥, 荊芥穗, 川芎, 黃連, 枳殼 各八分,
地楡, 烏梅, 甘草 各五分.
右剉作一貼, 水煎, 空心服[必用].
장풍과 장독을 치료한다.
괴화(볶은 것), 생지황, 저근백피(볶은 것) 각 한 돈,
방풍, 당귀, 백작약, 형개수, 천궁, 황련, 지각 각 여덟 푼,
지유, 오매, 감초 각 닷 푼.
위의 약들을 썰어 한 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빈속에 먹는다(필용).

'[處方箋] > [處方湯]' 카테고리의 다른 글

[膠艾芎歸湯][교애궁귀탕]  (0) 2019.01.14
[膠蜜湯][교밀탕]  (0) 2019.01.14
[廣朮潰堅湯][광출궤견탕]   (0) 2019.01.13
[廣大重明湯][광대중명탕]  (0) 2019.01.13
[瓜竹湯][과죽탕]  (0) 2019.01.13

[廣朮潰堅湯][광출궤견탕]
治中滿 腹脹內有積聚 堅硬如石 大小便澁滯
半夏6g
黃連 厚朴 黃芩 益智仁 草豆蔲 當歸 各4g
陳皮 靑皮 神麴 澤瀉 柴胡 甘草 各2g
蓬朮 升麻 吳茱萸 各1g

紅花0.8g.
剉作一貼入薑三水煎服.
服此藥 中滿減半止 有積塊 乃服 半夏厚朴湯(東垣).
속이 그득하고 배가 불러 오르며 뱃속에 적취가 있어
돌같이 뜬뜬하고 대소변이 잘 나오지 않는 것을 치료한다.
끼무릇(반하) 6g,
황련, 후박, 속썩은풀(황금), 익지인, 초두구, 당귀 각각 2.8g,
귤껍질(陳皮), 선귤껍질(靑皮), 약누룩(신국), 택사, 시호, 감초 각각 2g,
봉출, 승마, 오수유 각각 1.2g, 

잇꽃(홍화) 0.8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3쪽과 함께 물에 달여 먹는다.
이 약을 먹어서 속이 그득하던 것은 절반 정도 덜렸으나 적 덩어리가
그대로 있을 때에는 반하후박탕을 쓴다[동원].

'[處方箋] > [處方湯]' 카테고리의 다른 글

[膠蜜湯][교밀탕]  (0) 2019.01.14
[槐黃湯][괴황탕]  (0) 2019.01.14
[廣大重明湯][광대중명탕]  (0) 2019.01.13
[瓜竹湯][과죽탕]  (0) 2019.01.13
[果附湯][과부탕]   (0) 2019.01.13

[廣大重明湯][광대중명탕]
治兩瞼赤爛腫痛, 爬痒生瘡, 隱澁難開.
草龍膽, 甘草 生不剉, 防風, 細辛 各一錢.
右剉, 水一大椀半, 先煎龍膽至一半, 乃入三味煎至小半椀, 去渣帶熱洗, 一日五七次[東垣].
양쪽 눈꺼풀이 붉게 짓무르고 부으면서 아픈데,

가려워서 긁으면 종기가 생기고 깔깔하여 눈을 뜰 수 없는 것을 치료한다.
용담초, 감초(썰지 않은 날것), 방풍, 세신 각 한 돈.
위의 약들을 썰어 큰 사발 반 잔의 물에 먼저 용담초를 넣고 반이 될 때까지 달이고,

나머지 세 가지 약재를 넣고 작은 사발의 반이 될 때까지 달인 다음 찌꺼기를 버리고

뜨거울 때 하루 다섯에서 일곱 번 눈꺼풀을 씻는다(동원).

'[處方箋] > [處方湯]' 카테고리의 다른 글

[槐黃湯][괴황탕]  (0) 2019.01.14
[廣朮潰堅湯][광출궤견탕]   (0) 2019.01.13
[瓜竹湯][과죽탕]  (0) 2019.01.13
[果附湯][과부탕]   (0) 2019.01.13
[瓜蔞湯][과루탕]   (0) 2019.01.13

[靑竹茹湯][청죽여탕]
治勞復及陰陽易病
瓜蔞根20g 靑竹茹8g
剉作一貼 水煎服(入門).
一名 [瓜竹湯] 治法 服法同
노복증(勞復證)과 음양역병을 치료한다.
하늘타리뿌리(과루인) 20g, 청죽여 8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먹는다[입문].
일명 과죽탕(瓜竹湯)이라고도 한다.
치료법과 먹는 법은 같다.

'[處方箋] > [處方湯]' 카테고리의 다른 글

[廣朮潰堅湯][광출궤견탕]   (0) 2019.01.13
[廣大重明湯][광대중명탕]  (0) 2019.01.13
[果附湯][과부탕]   (0) 2019.01.13
[瓜蔞湯][과루탕]   (0) 2019.01.13
[瓜蔞枳實湯][과루지실탕]  (0) 2019.01.13

[果附湯][과부탕]
治脾寒瘧 面靑振寒
草果 附子炮各10g
剉作 一貼 入薑七棗二 水煎服(入門).
비(脾)가 차서 생긴 학질로 얼굴이 퍼렇게 되고 추워서 떨리는 것을 치료한다.
초과, 부자(싸서 구운 것) 각각 10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7쪽,
대추 2알과 함께 물에 달여 먹는다[입문].

'[處方箋] > [處方湯]' 카테고리의 다른 글

[廣大重明湯][광대중명탕]  (0) 2019.01.13
[瓜竹湯][과죽탕]  (0) 2019.01.13
[瓜蔞湯][과루탕]   (0) 2019.01.13
[瓜蔞枳實湯][과루지실탕]  (0) 2019.01.13
[瓜蔞枳殼湯][과루지각탕]   (0) 2019.01.13

[瓜蔞湯][과루탕]
治 慢驚之脈有力者
瓜蔞8g, 白甘遂末4g,
同於慢火上 炒焦黃 硏勻
每服一字 麝香 薄荷湯 調服(錢乙).

'[處方箋] > [處方湯]' 카테고리의 다른 글

[瓜竹湯][과죽탕]  (0) 2019.01.13
[果附湯][과부탕]   (0) 2019.01.13
[瓜蔞枳實湯][과루지실탕]  (0) 2019.01.13
[瓜蔞枳殼湯][과루지각탕]   (0) 2019.01.13
[穀神湯][곡신탕]   (0) 2019.01.13

[瓜蔞枳實湯][과루지실탕]
治痰結, 喀吐不出, 胸膈作痛, 不能轉側, 或痰結, 胸滿氣急, 或痰迷心竅, 不能言.
瓜蔞仁, 枳實, 桔梗, 赤茯苓, 貝母 炒, 陳皮, 片芩, 梔子 各一錢,

當歸 六分, 縮砂, 木香 各五分,

甘草 三分.
右剉作一貼, 水煎入竹瀝五匙薑汁半匙和服[回春].
담이 뭉쳐 뱉거나 토하려 하여도 나오지 않고 가슴이 아파서 돌아눕지도 못하거나,

담이 뭉쳐 가슴이 그득하고 숨이 찬 것과,

담이 심규(心竅)를 어지러이 막아 말을 하지 못하는 것을 치료한다.
과루인, 지실, 길경, 적복령, 패모(볶은 것), 진피, 황금, 치자 각 한 돈,

당귀 여섯 푼,

축사인, 목향 각 다섯 푼,

감초 서 푼.
위의 약들을 썰어 한 첩으로 하여,

물에 달인 후 죽력 다섯 숟가락, 생강즙 반 숟가락을 타서 먹는다(회춘).

'[處方箋] > [處方湯]' 카테고리의 다른 글

[果附湯][과부탕]   (0) 2019.01.13
[瓜蔞湯][과루탕]   (0) 2019.01.13
[瓜蔞枳殼湯][과루지각탕]   (0) 2019.01.13
[穀神湯][곡신탕]   (0) 2019.01.13
[藁蒼湯][고창탕]  (0) 2019.01.13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