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芎歸補中湯][궁귀보중탕]
治懷孕 氣血虛弱 不能營養 以致胎漏 每數月而墮
黃芪 當歸 白朮 杜冲 白芍藥 各4g
乾薑 阿膠珠 川芎 五味子 木香 人參 甘草 各2g
剉作一貼 水煎服(入門).
一方 無木香(正傳).
임신부가 기혈이 허약해서 태아를 잘 영양하지 못하여
태루가 생겨 매번 임신 후 2-3달이 되면 유산하는 것을 치료한다.
단너삼(황기), 당귀, 흰삽주(백출), 두충, 집함박꽃뿌리(백작약) 각각 4g,
건강, 아교주, 궁궁이(천궁), 오미자, 목향, 인삼, 감초 각각 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먹는다[입문].
어떤 처방에는 목향이 없다[정전].

'[處方箋] > [處方湯]' 카테고리의 다른 글

[芎辛導痰湯][궁신도담탕]  (0) 2019.01.14
[芎歸湯][궁귀탕]  (0) 2019.01.14
[芎葛湯][궁갈탕]  (0) 2019.01.14
[驅邪湯][구사탕]   (0) 2019.01.14
[九味理中湯][구미이중탕]   (0) 2019.01.14

[芎葛湯][궁갈탕]
治風寒脇痛.
川芎, 乾葛, 桂枝, 細辛, 枳殼, 人蔘, 芍藥, 麻黃, 防風 各一錢,
甘草 五分.
右剉作一貼, 入薑三片, 水煎服[本事].
풍한으로 생긴 협통을 치료한다.
천궁, 갈근, 계지, 세신, 지각, 인삼, 작약, 마황, 방풍 각 한 돈,
감초 닷 푼.
위의 약들을 썰어 한 첩으로 하여 생강 세 쪽을 넣고 물에 달여 먹는다(본사).

'[處方箋] > [處方湯]' 카테고리의 다른 글

[芎歸湯][궁귀탕]  (0) 2019.01.14
[芎歸補中湯][궁귀보중탕]   (0) 2019.01.14
[驅邪湯][구사탕]   (0) 2019.01.14
[九味理中湯][구미이중탕]   (0) 2019.01.14
[九味羗活湯][구미강활탕]   (0) 2019.01.14

[驅邪湯][구사탕]
治姙娠感冷發瘧
良薑 白朮 草果 橘紅 藿香 縮砂 白茯苓 各4g
甘草2g,
剉作一貼 入薑五片棗二枚 水煎服(丹心).
임신 때 찬 기운에 감촉되어 생긴 학질을 치료한다.
양강, 흰삽주(백출), 초과, 귤홍, 곽향, 사인, 흰솔풍령(백복령) 각각 4g,
감초 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5쪽,
대추 2알과 함께 물에 넣고 달여 먹는다[단심].

'[處方箋] > [處方湯]' 카테고리의 다른 글

[芎歸補中湯][궁귀보중탕]   (0) 2019.01.14
[芎葛湯][궁갈탕]  (0) 2019.01.14
[九味理中湯][구미이중탕]   (0) 2019.01.14
[九味羗活湯][구미강활탕]   (0) 2019.01.14
[狗膽丸][구담환]  (0) 2019.01.14

[九味理中湯][구미이중탕]
治寒喘寒喘者手足冷怴沈細也
縮砂硏 乾薑 礐蘇子厚朴 桂皮 陳皮 甘草 灸 各一錢
沈香 木香 各五分拄水磨取汁右犫
作一貼薑三水煎入沈香木香汁調服[回春]
한천(寒喘)을 치료한다.
한천이라는 것은 손발이 차고 맥이 침세(沈細)한 것이다.
사인(간 것), 건강(싸서 구운 것), 차조기씨(자소자), 후박, 계피,
귤껍질(陳皮), 감초(닦은 것) 각각 4g,
침향, 목향 각각 2g(이 2가지 약은 다 물에 갈아 즙을 낸다).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3쪽과 함께 물에 달인 다음 즙을 짠다.
여기에 침향즙과 목향즙을 타서 먹는다[회춘].

'[處方箋] > [處方湯]' 카테고리의 다른 글

[芎葛湯][궁갈탕]  (0) 2019.01.14
[驅邪湯][구사탕]   (0) 2019.01.14
[九味羗活湯][구미강활탕]   (0) 2019.01.14
[狗膽丸][구담환]  (0) 2019.01.14
[救苦湯][구고탕]  (0) 2019.01.14

[九味羗活湯][구미강활탕]
不問四時 但有頭痛 骨節痛 發熱惡寒 無汗 脈浮緊.
宜用此 代麻黃爲穩當(節庵)
4철에 관계없이 머리가 아프고 뼈마디가 아프며 열이 나고
오한이 나면서 땀이 나지 않고 맥이 부긴(浮緊)한 데는
마황탕 대신에 이 약을 쓴다[절암].
有汗不得服麻黃無汗不得服桂枝若誤服則其變不可勝言
故立此法使不犯三陽禁忌乃解表神方羌活防風各一錢半
蒼朮川芎白芷黃芩生地黃各一錢二分細辛甘草各五分
右犫作一貼入生薑三片大棗二枚瘳白二莖水煎服[入門]
땀이 나는 데는 마황탕을 쓰지 못하고 땀이 나지 않는 데는
계지탕을 쓰지 못하는데 만약 잘못하여 먹으면 해가 많다.
그러므로 이 처방으로 3양의 꺼림증[禁忌]을 피하게 하였는데
해표(解表)시키는 데는 참으로 좋은 처방이다.
강호리(강활), 방풍 각각 6g,
삽주(창출), 궁궁이(천궁), 구릿대(백지), 속썩은풀(황금), 생지황 각각 4.8g,
족두리풀(세신), 감초 각각 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고 여기에
생강 3쪽, 대추 2알, 파밑(총백) 2대를 넣어서 물에 달여 먹는다[입문].
羌活治太陽肢節痛乃撥亂反正之主也
防風治一身盡痛聽軍將命令而行
蒼朮雄壯上行之氣能除濕氣下安太陰
甘草緩裏急和諸藥 川芎治厥陰頭痛在腦
生地黃治少陰心熱在內黃芩治太陰肺熱在胸
白芷治陽明頭痛在額細辛治少陰腎經苦頭痛[正傳]
강호리(강활)는 태양병으로 뼈마디가 아픈 것을 치료하고
방풍은 온몸이 다 아픈 것을 치료하며
삽주(창출)의 약 기운은 위로 올라가는 것이 많으므로
습기(濕氣)를 잘 없애며 비위(脾胃)를 든든하게 한다.
감초는 뱃속이 켕기는 것을 늦추어 주고 여러 가지 약을 조화시킨다.
궁궁이(천궁)는 궐음두통(厥陰頭痛)으로 머리 속이 아픈 것을 치료하며 생
지황은 속에 있는 소음심경의 열[少陰心熱]을 내린다.
그리고 속썩은풀(황금)은 가슴에 있는 태음폐경의 열[太陰肺熱]을 치료하고
구릿대(백지)는 양명두통으로 이마가 아픈 것을 치료하며 족
두리풀(세신)은 소음두통으로 몹시 아픈 것을 치료한다[정전].

[羗活冲和湯][강활충화탕]
治春夏秋感冒風寒 發熱惡寒 頭痛項强 或無汗
或有寒 以代桂枝 麻黃 靑龍各半湯 治太陽經 表熱之神藥也(丹心).
봄과 여름, 가을에 풍한감모(風寒感冒)로 열이 나고 오한이 있으며
머리가 아프고 목덜미가 뻣뻣하며 혹 땀이 나지 않거나 땀이 나는 것을 치료한다.
이 약은 계지마황청룡각반탕을 대신하며
태양경 표열(表熱)을 치료하는 좋은 약이다[단심].
此藥 非獨治四時風寒 春可治溫 夏可治熱 秋可治濕
治雜病亦有神也方見上 傷寒六經用藥.
一名 [九味羗活湯] 已下 傷寒六經用藥 轉載
이 약은 다만 4계절의 풍한증을 치료할 뿐 아니라 봄에는 온병,
여름에는 열병(熱病), 가을에는 습병(濕病)을 치료한다.
또한 잡병(雜病)을 치료하는 데도 좋은 약이다(처방은 위에 있다).
일명 구미강활탕(九味羌活湯)이라고도 한다.

'[處方箋] > [處方湯]' 카테고리의 다른 글

[驅邪湯][구사탕]   (0) 2019.01.14
[九味理中湯][구미이중탕]   (0) 2019.01.14
[狗膽丸][구담환]  (0) 2019.01.14
[救苦湯][구고탕]  (0) 2019.01.14
[灸甘草湯][구감초탕]  (0) 2019.01.14

[狗膽丸][구담환]
治連日吐血不止.
五靈脂爲末, 狗膽汁和丸芡實大.

每一丸, 薑酒化下, 不得漱口, 急進白粥, 不可太多[入門].
날마다 피를 토하여 그치지 않는 것을 치료한다.
오령지를 가루내어 개의 쓸개즙으로 감실대의 알약을 만들어, 한 알씩 생강술에 녹여 먹는다.
약을 먹은 뒤 입을 헹구지 말고 바로 이어서 흰죽을 먹는데, 너무 많이 먹으면 안 된다(입문).

'[處方箋] > [處方湯]' 카테고리의 다른 글

[九味理中湯][구미이중탕]   (0) 2019.01.14
[九味羗活湯][구미강활탕]   (0) 2019.01.14
[救苦湯][구고탕]  (0) 2019.01.14
[灸甘草湯][구감초탕]  (0) 2019.01.14
[橘皮半夏生薑湯][교피반하생강탕]   (0) 2019.01.14

[救苦湯][구고탕]
治眼暴赤腫, 苦痛不可忍.
蒼朮, 草龍膽 各一錢四分,
當歸, 甘草 各一錢,
川芎 六分,
生地黃, 黃柏, 黃芩, 知母 各五分,
羌活, 升麻, 柴胡, 防風, 藁本, 黃連 各三分,
桔梗, 連翹, 細辛, 紅花 各二分.
右剉作一貼, 水煎, 食後服[正傳].
눈이 갑자기 빨갛게 되면서 붓고 참을 수 없이 아픈 것을 치료한다.
창출, 용담초 각 한 돈 너 푼,
당귀, 감초 각 한 돈,
천궁 여섯 푼,
생지황, 황백, 황금, 지모 각 닷 푼,
강활, 승마, 시호, 방풍, 고본, 황련 각 서 푼,
길경, 연교, 세신, 홍화 각 두 푼.
위의 약들을 썰어 한 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식후에 먹는다(정전).

[救苦湯][구고탕]
治眼暴赤腫, 苦痛不可忍 方見上.
눈이 갑자기 빨갛게 부으며 참을 수 없이 아픈 것을 치료한다(처방은 앞에 있다).

'[處方箋] > [處方湯]' 카테고리의 다른 글

[九味羗活湯][구미강활탕]   (0) 2019.01.14
[狗膽丸][구담환]  (0) 2019.01.14
[灸甘草湯][구감초탕]  (0) 2019.01.14
[橘皮半夏生薑湯][교피반하생강탕]   (0) 2019.01.14
[膠艾湯][교애탕]   (0) 2019.01.14

[灸甘草湯][구감초탕]
治傷寒脈結代, 心動悸. 凡見代脈, 卽宜服之.
甘草 灸 二錢,
生乾地黃 酒炒, 桂枝, 麻仁, 麥門冬 各一錢半,
人蔘, 阿膠珠 各一錢.
右剉作一貼, 入薑五片大棗三枚, 水二分酒一分, 同煎至半.

去滓入阿膠, 再一沸溫服 日三[綱目].
상한으로 맥이 결하거나 대하고, 가슴이 두근거리는 것을 치료한다.

대맥이 나타나면 바로 이 처방을 쓴다.
감초(구운 것) 두 돈,

건지황(술에 축여 볶은 것), 계지, 마자인, 맥문동 각 한 돈 반,

인삼, 아교주 각 한 돈.
위의 약들을 썰어 한 첩으로 하여 생강 다섯 쪽, 대추 세 개를 더 넣고

아교를 뺀 나머지 약들을 물과 술을 2대 1의 비율로 섞은 것을 반이 될 때까지 달인다.

찌꺼기를 버리고 아교를 넣은 후 다시 한 번 끓어오르게 달여

따뜻할 때 하루 세 번 먹는다(강목).
一名, 復脈湯. 脈結代者, 血氣虛弱不能相續也.

心動悸者, 眞氣虛也. 成無己云, 補可去弱, 人蔘大棗之甘,

以補不足之氣, 桂枝生薑之辛, 以益正氣. 五藏痿弱, 榮衛涸流, 濕劑所以潤之.

故用麻仁阿膠麥門冬地黃之甘, 潤經益血, 復脈通心, 是也[東垣].
복맥탕이라고도 한다. 맥이 결(結)하거나 대(代)한 것은

혈기가 허약해서 맥이 이어지지 못하는 것이다.

가슴이 두근거리는 것은 진기(眞氣)가 허해진 것이다.

성무기는 "보하면 약한 것을 없앨 수 있다"고 하였는데,

인삼과 대추의 단맛[甘]으로 부족한 기를 보하고,

계지와 생강의 매운맛[辛]으로 정기를 북돋운다.

오장이 매우 약하여 영혈과 위기가 말랐기 때문에 습한 약으로 축여주는[潤] 것이다.

그래서 마자인, 아교주, 맥문동, 건지황의 단맛으로 경맥을 축여주고 피를 보해주면

맥이 다시 뛰기 시작하면서 심(心)으로 통하게 된다(본초). 

'[處方箋] > [處方湯]' 카테고리의 다른 글

[狗膽丸][구담환]  (0) 2019.01.14
[救苦湯][구고탕]  (0) 2019.01.14
[橘皮半夏生薑湯][교피반하생강탕]   (0) 2019.01.14
[膠艾湯][교애탕]   (0) 2019.01.14
[膠艾四物湯][교애사물탕]   (0) 2019.01.14

[橘皮半夏生薑湯][교피반하생강탕]
治胃寒咳逆
陳皮 半夏 各8g
乾生薑 人參 通草 各4g
剉作一貼 水煎服之(正傳).
위가 차서 생기는 딸꾹질을 치료한다.
귤껍질(橘皮), 끼무릇(반하) 각각 8g,
생강(말린 것), 인삼, 통초 각각 4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먹는다[정전].

'[處方箋] > [處方湯]' 카테고리의 다른 글

[救苦湯][구고탕]  (0) 2019.01.14
[灸甘草湯][구감초탕]  (0) 2019.01.14
[膠艾湯][교애탕]   (0) 2019.01.14
[膠艾四物湯][교애사물탕]   (0) 2019.01.14
[膠艾芎歸湯][교애궁귀탕]  (0) 2019.01.14

[膠艾湯][교애탕]
治胎漏安胎極妙
熟地黃, 艾葉, 當歸, 川芎, 阿膠珠, 甘草灸, 黃妉 各一錢
右犫作一貼水煎服日二次[正傳]
局方 無黃妉, 有白芍藥
태루를 치료하며 안태시키는 데 아주 좋다.
찐지황(숙지황), 약쑥(애엽), 당귀, 궁궁이(천궁),
아교주, 감초(닦은 것), 단너삼(황기) 각각 4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하루에 두번씩 먹는다[정전].
국방에는 단너삼(황기)이 없고 집함박꽃뿌리(백작약)가 있다.

'[處方箋] > [處方湯]' 카테고리의 다른 글

[灸甘草湯][구감초탕]  (0) 2019.01.14
[橘皮半夏生薑湯][교피반하생강탕]   (0) 2019.01.14
[膠艾四物湯][교애사물탕]   (0) 2019.01.14
[膠艾芎歸湯][교애궁귀탕]  (0) 2019.01.14
[膠蜜湯][교밀탕]  (0) 2019.01.14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