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桔梗湯][길경탕]
治少陰寒熱 相搏咽痛
甘草14g, 桔梗6g
爲剉 水煎服(仲景).
소음병 때에 한열(寒熱)이 서로 부딪쳐 목구멍이 아픈 것을 치료한다.
감초 14g, 도라지(길경) 6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먹는다[중경].

[桔梗湯][길경탕]
治少陰客寒 咽痛
桔梗40g 甘草80g
爲剉20g 水煎 徐服之(海藏).
소음경에 한사가 침범해서 목구멍이 아픈 것을 치료한다.
도라지(길경) 40g, 감초 80g.
위의 약들을 썰어서 한번에 20g씩 물에 달여 앞의 약과 같은 방법으로 먹는다[해장].
이 2가지 약을 같은 양으로 한 것을 여성탕(如聖湯)이라고 한다[직지].

[桔梗湯][길경탕]
除痰 止咳嗽, 又治心咳.
桔梗 半夏製 陳皮去白 各40g, 枳實12g
爲粗末每12g 入薑五水煎服(局方).
담(痰)을 삭이고 기침을 멎게 하는데 심(心)과 관련되어 나는 기침을 치료한다.
도라지(길경), 끼무릇(반하, 법제한 것), 귤껍질(陳皮, 흰 속을 버린 것) 각각 40g,
지실 12g.
위의 약들을 거칠게 가루내어 한번에 12g씩 생강 5쪽과 함께 물에 달여 먹는다[국방].

[桔梗湯][길경탕]
治肺癰
桔梗 貝母 各5g
當歸 瓜蔞仁 薏苡仁 各4g
枳殼 桑白皮 防風 黃芪 各3g
杏仁 百合 甘草節 各2g.
剉作一貼 入薑五片 水煎服(正傳).
폐옹을 치료한다.
도라지(길경), 패모 각각 4.8g,
당귀, 하늘타리씨(과루인), 율무쌀(의이인) 각각 4g,
지각, 뽕나무뿌리껍질(상백피), 방풍, 단너삼(황기) 각각 2.8g,
살구씨(행인), 나리(百合), 감초마디 각각 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5쪽과 함께 물에 달여 먹는다[정전].

[桔梗湯][길경탕]
治咽喉腫痛 聲破難語
桔梗 甘草 各6g
當歸 馬勃 各4g, 麻黃2g
白薑蠶 黃芩 各1g
桂枝少許 剉作一貼 水煎服(東垣).
인후가 붓고 아프며 목소리가 갈려서 말하기가 힘든 것을 치료한다.
도라지(길경), 감초 각각 6g, 당귀, 마발 각각 4g,
마황 2g, 백강잠, 속썩은풀(황금) 각각 1.2g, 계지 적은 양.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먹는다[동원].

'[處方箋] > [處方湯]' 카테고리의 다른 글

[內消升麻湯][내소승마탕]   (0) 2019.01.14
[南極延生湯][남극연생탕]  (0) 2019.01.14
[桔梗枳殼湯][길경지각탕]  (0) 2019.01.14
[奇效四物湯][기효사물탕]  (0) 2019.01.14
[芪蔯湯][기진탕]   (0) 2019.01.14

[桔梗枳殼湯][길경지각탕]
治痞氣, 胸滿不利, 煩悶欲死, 不論寒熱通用.

又傷寒結胸, 胸滿欲死, 服之, 神效.
桔梗, 枳殼 各二錢,

甘草 一錢.
右剉作一貼, 薑五片, 煎服[直指].
비기(痞氣)로 가슴이 그득하며 숨쉬기가 불편하고 답답하여 죽을 것 같은 것을 치료한다.
한증과 열증을 가리지 않고 두루 쓴다.
또한 상한병에 결흉이 되어 가슴이 그득하여 죽을 것 같은 데 먹으면 효과가 매우 좋다.
길경, 지각 각 두 돈,
감초 한 돈.
위의 약들을 썰어 한 첩으로 하여 생강 다섯 쪽을 넣고 달여 먹는다(『인재직지』).
一名 [枳梗湯][入門].
지경탕이라고도 한다(입문).

'[處方箋] > [處方湯]' 카테고리의 다른 글

[南極延生湯][남극연생탕]  (0) 2019.01.14
[桔梗湯][길경탕]  (0) 2019.01.14
[奇效四物湯][기효사물탕]  (0) 2019.01.14
[芪蔯湯][기진탕]   (0) 2019.01.14
[旣濟解毒湯][기제해독탕]  (0) 2019.01.14

[奇效四物湯][기효사물탕]
治血崩神效.
四物湯, 加阿膠珠, 艾葉, 黃芩 共七錢.
右剉作一貼, 薑五片煎服[得效].
혈붕을 치료하는 데 효과가 매우 좋다.
당귀, 천궁, 백작약, 숙지황, 아교주, 애엽, 황금 합쳐서 일곱 돈.
위의 약들을 썰어 한 첩으로 하여, 생강 다섯 쪽을 넣고 달여 먹는다(득효).

'[處方箋] > [處方湯]' 카테고리의 다른 글

[桔梗湯][길경탕]  (0) 2019.01.14
[桔梗枳殼湯][길경지각탕]  (0) 2019.01.14
[芪蔯湯][기진탕]   (0) 2019.01.14
[旣濟解毒湯][기제해독탕]  (0) 2019.01.14
[旣濟湯][기제탕]   (0) 2019.01.14

[芪蔯湯][기진탕]
治 黃汗
石膏8g, 甘草2g
黃芪, 赤芍藥, 茵陳, 麥門冬, 豆豉 各4g
剉 作一貼 入薑五片 水煎服(入門).
一名, [黃芪散] (丹心).

[黃芪散][황기산]
治漏睛膿出.
黃芪, 防風, 子芩, 大黃 煨 各一錢,

地骨皮, 遠志, 人蔘, 赤茯苓, 漏蘆 各五分.
右剉作一貼, 水煎, 食後服, 朝夕[類聚].
누정농출을 치료한다.
황기, 방풍, 자금, 대황(잿불에 묻어 구운 것) 각 한 돈,

지골피, 원지, 인삼, 적복령, 누로 각 닷 푼.
위의 약들을 썰어 한 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아침저녁으로 식후에 먹는다(유취).

[黃芪散][황기산]
治淚睛膿出
黃芪 防風 子芩 大黃煨 各4g
地骨皮 遠志 人蔘 赤茯苓 漏蘆 各2g,
剉作一貼 水煎 食後朝夕(類聚)
누정농출을 치료한다.
황기, 방풍, 속썩은풀(황금), 대황(잿불에 묻어 구운 것) 각각 4g,
지골피, 원지, 인사, 벌건솔풍령(적복령), 뻐꾹채(누로) 각각 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서 아침 저녁 끼니 뒤에 먹는다[유취].

'[處方箋] > [處方湯]' 카테고리의 다른 글

[桔梗枳殼湯][길경지각탕]  (0) 2019.01.14
[奇效四物湯][기효사물탕]  (0) 2019.01.14
[旣濟解毒湯][기제해독탕]  (0) 2019.01.14
[旣濟湯][기제탕]   (0) 2019.01.14
[芪附湯][기부탕]   (0) 2019.01.14

[旣濟解毒湯][기제해독탕]
治天行大頭 面赤腫而痛
大黃酒煨 黃芩 黃連並酒炒 桔梗 甘草 各4g
升麻 柴胡 連翹 當歸身 各2g
剉作一貼 水煎服(丹心).
돌림병인 대두온(大頭瘟)으로 머리와 얼굴이 벌겋게 부으면서 아픈 것을 치료한다.
대황(술에 축여 잿불에 묻어 구운 것), 속썩은풀(황금, 술에 축여 볶은 것),
황련(술에 축여 볶은 것), 도라지(길경), 감초 각각 4g,
승마, 시호, 연교, 당귀 각각 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먹는다[단심].

'[處方箋] > [處方湯]' 카테고리의 다른 글

[奇效四物湯][기효사물탕]  (0) 2019.01.14
[芪蔯湯][기진탕]   (0) 2019.01.14
[旣濟湯][기제탕]   (0) 2019.01.14
[芪附湯][기부탕]   (0) 2019.01.14
[金黃湯][금황탕]  (0) 2019.01.14

[旣濟湯][기제탕]
治霍亂後虛煩 自利手足冷
卽竹葉石膏湯去石膏 加炮附子8g.
剉作一貼 入竹葉7片 粳米100粒 水煎 入薑汁2匙 服(入門).
곽란( 亂) 뒤에 허번증(虛煩證)이 있으면서 절로 설사하고 손발이 찬 것을 치료한다.
죽엽석고탕에서 석고를 빼고 부자(싸서 구운 것) 8g을 넣는다[입문].

'[處方箋] > [處方湯]' 카테고리의 다른 글

[芪蔯湯][기진탕]   (0) 2019.01.14
[旣濟解毒湯][기제해독탕]  (0) 2019.01.14
[芪附湯][기부탕]   (0) 2019.01.14
[金黃湯][금황탕]  (0) 2019.01.14
[芩朮湯][금출탕]   (0) 2019.01.14

[芪附湯][기부탕]
治氣虛自汗.
黃芪 蜜炒, 附子 炮 各二錢半.
右剉作一貼, 薑三片, 水煎服[濟生].
기허로 생긴 자한을 치료한다.
황기(꿀물에 축여 볶은 것), 부자(싸서 구운 것) 각 두 돈 반.
위의 약들을 썰어 한 첩으로 하여, 생강 세 쪽을 넣고 물에 달여 먹는다(제생).

'[處方箋] > [處方湯]' 카테고리의 다른 글

[旣濟解毒湯][기제해독탕]  (0) 2019.01.14
[旣濟湯][기제탕]   (0) 2019.01.14
[金黃湯][금황탕]  (0) 2019.01.14
[芩朮湯][금출탕]   (0) 2019.01.14
[芩連芍藥湯][금련작약탕]  (0) 2019.01.14

[金黃湯][금황탕]
治小便出血, 水道澁痛.
鬱金, 瞿麥, 生乾地黃, 車前子, 滑石, 芒硝 各五錢.
右爲末, 每取五錢, 空心水煎服[類聚].
오줌에 피가 섞여나오면서 요도[水道]가 껄끄럽고 아픈 것을 치료한다.
울금, 구맥, 생건지황, 차전자, 활석, 망초 각 다섯 돈.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다섯 돈씩 끓인 물로 빈속에 먹는다(유취).

'[處方箋] > [處方湯]' 카테고리의 다른 글

[旣濟湯][기제탕]   (0) 2019.01.14
[芪附湯][기부탕]   (0) 2019.01.14
[芩朮湯][금출탕]   (0) 2019.01.14
[芩連芍藥湯][금련작약탕]  (0) 2019.01.14
[芩連四物湯][금련사물탕]   (0) 2019.01.14

[芩朮湯][금출탕]
治懷孕 四五月 常墮不安者 內熱甚故也
子芩12g 白朮6g, 剉作一貼 水煎服.
芩朮湯 乃安胎之 聖藥也 凡卒有所下 急則一日三五服
緩則五日十日一服 安胎易産所生之兒
又無胎毒, 盖姙孕 脾土運化遲滯 則生濕 濕則生熱
故以黃芩 淸熱 以養血,
白朮 健脾 以燥濕 安胎丸 金櫃當歸散 皆此方而推之也(入門).
임신 4-5개월에 늘 태동(胎動)으로 불안한 것을 치료한다.
그것은 속에 열이 심하기 때문이다.
속썩은풀(황금) 12g, 흰삽주(백출) 6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먹는다.
금출탕(芩朮湯)은 곧 안태시키는 좋은 약이다.
대개 갑자기 유산하려는 증상이 있어서 급할 때에는 하루 3-5첩을 먹고
그 증상이 완만할 때에는 5-10일에 1첩씩 먹으면 안태되고
쉽게 해산할 뿐 아니라 갓난아이에게 태독도 없게 된다.
대개 임신하면 비위(脾胃)에서의 소화작용이 떠지면서 습이 생길 수 있다.
이 습은 열이 생기기 때문에 속썩은풀(황금)로 열을 내리면서
혈을 보해야 하고 흰삽주(백출)로 비위를 든든하게 하고 습을 말리는 것이다.
안태환(安胎丸), 금궤당귀산(金 當歸散) 등은 다 이 처방에서 나온 것이다[입문].

'[處方箋] > [處方湯]' 카테고리의 다른 글

[芪附湯][기부탕]   (0) 2019.01.14
[金黃湯][금황탕]  (0) 2019.01.14
[芩連芍藥湯][금련작약탕]  (0) 2019.01.14
[芩連四物湯][금련사물탕]   (0) 2019.01.14
[芩連半夏湯][금련반하탕]   (0) 2019.01.14

[寧胃散][영위산]
治赤白熱痢
白芍藥8g,
黃芩 黃連 木香 枳殼 各6g
陳皮4g, 甘草灸2g
剉作一貼水煎服.
一名, [芩連芍藥湯](必用).
피곱이 나오는 열리를 치료한다.
집함박꽃뿌리(백작약) 8g,
속썩은풀(황금), 황련, 목향, 지각 각각 6g,
귤껍질(陳皮) 4g, 감초(닦은 것) 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먹는다.
일명 금련작약탕(芩連芍藥湯)이라고도 한다[필용].

'[處方箋] > [處方湯]' 카테고리의 다른 글

[金黃湯][금황탕]  (0) 2019.01.14
[芩朮湯][금출탕]   (0) 2019.01.14
[芩連四物湯][금련사물탕]   (0) 2019.01.14
[芩連半夏湯][금련반하탕]   (0) 2019.01.14
[橘皮湯][귤피탕]   (0) 2019.01.14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