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鹿茸大補湯][녹용대보탕]
治虛勞少氣一切虛損
肉蓯蓉 杜冲 各4g
白芍藥 白朮 附子炮 人參 肉桂 半夏 石斛 五味子 各3g
鹿茸 黃芪 當歸 白茯苓 熟地黃 各2g ,
甘草1g.
剉作一貼 薑三棗二 煎服(入門).
허로로 기운이 적은 것과 일체 허손증을 치료한다.
육종용, 두충 각각 4g,
집함박꽃뿌리(백작약), 흰삽주(백출), 부자(싸서 구운 것),
인삼, 육계, 끼무릇(반하), 석곡, 오미자 각각 2.8g,
녹용, 단너삼(황기), 당귀, 흰솔풍령(백복령), 찐지황(숙지황) 각각 2g,
감초 1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3쪽, 대추 2알과 함께 달여 먹는다[입문].

'[處方箋] > [處方湯]' 카테고리의 다른 글

[淡竹茹湯][담죽여탕]   (0) 2019.01.14
[單煮靑皮湯][단자청피탕]  (0) 2019.01.14
[露宿湯][노숙탕]  (0) 2019.01.14
[露薑養胃湯][노강양위탕]   (0) 2019.01.14
[冷附湯][냉부탕]   (0) 2019.01.14

[露宿湯][노숙탕]
治風痢 純下淸血
杏仁去皮尖7箇 苦木瘡(卽 樗根白皮)一掌大
烏梅1箇 草果1箇 酸石榴皮半箇 靑皮2箇 甘草1寸
剉作一貼 入薑三片 煎 露星一宿 次早 空心服(得效).
풍리로 멀건 피만 누는[純下淸血] 것을 치료한다.
살구씨(행인, 꺼풀과 끝(皮尖)을 버린 것) 7알,
고목창(즉 가죽나무뿌리껍질이다) 손바닥만한 것,
오매 1개, 초과 1개, 산석류피 반 개, 선귤껍질(청피) 2개, 감초 1치.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3쪽과 함께 달인 다음
하룻밤 이슬을 맞혀서 다음날 아침 빈속에 먹는다[득효].

'[處方箋] > [處方湯]' 카테고리의 다른 글

[單煮靑皮湯][단자청피탕]  (0) 2019.01.14
[鹿茸大補湯][녹용대보탕]   (0) 2019.01.14
[露薑養胃湯][노강양위탕]   (0) 2019.01.14
[冷附湯][냉부탕]   (0) 2019.01.14
[內托升麻湯][내탁승마탕]  (0) 2019.01.14

[露薑養胃湯][노강양위탕]
治久瘧 三五日一發者
先以生薑150g搗 取自然汁 露一宿 次早
將[人蔘養胃湯]一貼 入棗二 梅一 同煎去滓
和薑汁 空心溫服(醫鑒).
오랜 학질이 3-5일에 한번씩 발작하는 것을 치료한다.
생강 160g.
위의 약을 즙을 내어 하룻밤 이슬을 맞힌다.
그리고 다음날 아침에 인삼양위탕 1첩을 대추 2알,
오매 1알과 함께 달여서 찌꺼기를 버린다.
여기에 위의 약즙을 타서 빈속에 따뜻하게 먹는다[의감].

'[處方箋] > [處方湯]' 카테고리의 다른 글

[鹿茸大補湯][녹용대보탕]   (0) 2019.01.14
[露宿湯][노숙탕]  (0) 2019.01.14
[冷附湯][냉부탕]   (0) 2019.01.14
[內托升麻湯][내탁승마탕]  (0) 2019.01.14
[內托羌活湯][내탁강활탕]   (0) 2019.01.14

[冷附湯][냉부탕]
瘧疾無過 是痰實而脾胃弱 停于胸膈
所以五更 冷服 使藥下達 壯脾胃 去痰實也
大附子一箇炮去皮臍 左切片二貼
每一貼 入薑十片 水煎去滓 露一宿 五更初冷服(得效).
학질은 담이 성하고 비위가 허해져서 생긴다.
가슴에 담이 뭉쳐 있어서 생긴 학질에 이 약을 쓰는데
날샐 무렵에 차게 하여 먹는다.
약 기운이 아래로 내려가면 비위가 든든해지고 성하던 담도 삭는다.
부자(큰 것으로 싸서 구워 껍질과 배꼽을 버린 것) 1개.
위의 약을 쪽지게 썰어서 2첩으로 나눈다.
매 첩에 생강 10쪽을 넣어서 물에 달여 찌꺼기를 버린 다음
하룻밤 이슬을 맞혀 식혀서 날샐 무렵에 먹는다[득효].

'[處方箋] > [處方湯]' 카테고리의 다른 글

[露宿湯][노숙탕]  (0) 2019.01.14
[露薑養胃湯][노강양위탕]   (0) 2019.01.14
[內托升麻湯][내탁승마탕]  (0) 2019.01.14
[內托羌活湯][내탁강활탕]   (0) 2019.01.14
[內踈黃連湯][내소황련탕]   (0) 2019.01.14

[內托升麻湯][내탁승마탕]
治乳癰未潰, 及兩乳間黑陷惡瘡.
升麻, 乾葛, 連翹 各一錢半,
黃芪, 當歸, 甘草 灸 各一錢,
惡實 五分, 肉桂 三分,
黃柏 二分.
右剉作一貼, 水二盞酒一盞, 同煎服[東垣].
一名, [升麻托裏湯].
유옹이 아직 터지지 않은 것과 두 젖 사이의 까맣게 꺼지는 악창(惡瘡)을 치료한다.
승마, 갈근, 연교 각 한 돈 반,
황기, 당귀, 감초(구운 것) 각 한 돈,
우방자 닷 푼,
육계 서 푼,
황백 두 푼.
위의 약들을 썰어 한 첩으로 하여 물 두 잔과 술 한 잔을 넣고 같이 달여 먹는다(동원).
승마탁리탕이라고도 한다.

'[處方箋] > [處方湯]' 카테고리의 다른 글

[露薑養胃湯][노강양위탕]   (0) 2019.01.14
[冷附湯][냉부탕]   (0) 2019.01.14
[內托羌活湯][내탁강활탕]   (0) 2019.01.14
[內踈黃連湯][내소황련탕]   (0) 2019.01.14
[內消沃雪湯][내소옥설탕]   (0) 2019.01.14

[內托羌活湯][내탁강활탕]
治足太陽經分尻臀發癰疽堅硬腫痛
羌活 黃栢酒製 各二錢
黃妉一錢半
防風 藁本 當歸尾 各一錢
連翹 蒼朮 陳皮 甘草 各五分
肉桂三分右犫作一貼水二盞酒一盞同煎服[東垣]
족태양경 부위인 엉덩이에 옹저가 생겨서 뜬뜬하게 붓고 아픈 것을 치료한다.
강호리(강활), 황백(술에 법제한 것) 각각 8g,
단너삼(황기) 6g,
방풍, 고본, 당귀(잔뿌리) 각각 4g,
연교, 삽주(창출), 귤껍질(陳皮), 감초 각각 2g, 육계 1.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술 1잔과 함께 물 2잔에 넣어 달여 먹는다[동원].

'[處方箋] > [處方湯]' 카테고리의 다른 글

[冷附湯][냉부탕]   (0) 2019.01.14
[內托升麻湯][내탁승마탕]  (0) 2019.01.14
[內踈黃連湯][내소황련탕]   (0) 2019.01.14
[內消沃雪湯][내소옥설탕]   (0) 2019.01.14
[內消升麻湯][내소승마탕]   (0) 2019.01.14

[內踈黃連湯][내소황련탕]
治癰疽 脈洪(一作沈)實 發熱煩躁 藏府秘澁 當先通利 宜用此
大黃8g
連翹 赤芍藥 各6g
黃連 黃芩 梔子 檳榔 各4g
木香 薄荷 桔梗 甘草 各2g
剉作一貼 水煎服, 以通利爲度(丹心).
옹저 때 맥이 홍(洪, 침하다고 한 데도 있다)하면서 실(實)하고 열이 나며
번조(煩躁)하고 대변이 굳은 것을 치료할 때에는 이 약을 써서 먼저 설사시켜야 한다.
대황 8g,

연교, 함박꽃뿌리(적작약) 각각 6g,
황련, 속썩은풀(황금), 당귀, 산치자, 빈랑 각각 4g,
목향, 박하, 도라지(길경), 감초 각각 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먹는데 설사할 때까지 쓴다[단심].

[內消沃雪湯][내소옥설탕]
治胃脘癰 及肚癰 內疽 神效.
當歸身 白芍藥 甘草節 黃芪 射干 連翹 白芷 貝母
陳皮 皂角刺 天花粉 穿山甲 金銀花 木香 靑皮 乳香 沒藥 各 2g
大黃酒製6g.
爲剉作一貼 酒水相半煎服(醫鑒).
위완옹과 두옹( 癰), 내저를 치료하는데 효과가 좋다.
당귀, 집함박꽃뿌리(백작약), 감초마디, 단너삼(황기), 범부채(사간), 연교,
구릿대(백지), 패모, 귤껍질(陳皮), 주염나무가시(조각자), 하늘타리뿌리(과루근),
천산갑, 금은화, 목향, 선귤껍질(靑皮), 유향, 몰약 각각 2g,
대황(술로 법제한 것) 6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술과 물을 절반씩 섞은 데 넣어서 달여 먹는다[의감].

'[處方箋] > [處方湯]' 카테고리의 다른 글

[內托羌活湯][내탁강활탕]   (0) 2019.01.14
[內踈黃連湯][내소황련탕]   (0) 2019.01.14
[內消升麻湯][내소승마탕]   (0) 2019.01.14
[南極延生湯][남극연생탕]  (0) 2019.01.14
[桔梗湯][길경탕]  (0) 2019.01.14

[內消升麻湯][내소승마탕]
治附骨疽 踈下後服此
大黃 升麻 當歸 黃芩 赤芍藥 枳實 各6g, 

 甘草4g,
剉作一貼 水煎服(精義).
부골저를 치료하는데 설사시킨 다음에 먹어야 한다.
대황, 승마, 당귀, 속썩은풀(황금), 함박꽃뿌리(적작약), 지실 각각 6g,

감초 4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먹는다[정의].

'[處方箋] > [處方湯]' 카테고리의 다른 글

[內踈黃連湯][내소황련탕]   (0) 2019.01.14
[內消沃雪湯][내소옥설탕]   (0) 2019.01.14
[南極延生湯][남극연생탕]  (0) 2019.01.14
[桔梗湯][길경탕]  (0) 2019.01.14
[桔梗枳殼湯][길경지각탕]  (0) 2019.01.14

[牛黃瀉心湯][우황사심탕]
治 癲癎及心經 瀉熱狂亂 精神不爽
전간과 심경에 사열이 침범하여 미쳐서 정신이 똑똑하지 못한 것을 치료한다.
大黃生40g,

龍腦, 朱砂水飛, 牛黃.各4g,
爲末 每服12g 生薑汁 和蜜水 調下(丹心).
대황(생것) 40g,

용뇌, 주사(수비한 것), 우황 각각 4g.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한번에 12g씩 생강즙을 둔 꿀물에 타 먹는다[단심].
구仙 一名 [南極延生湯]
구선은 일명 남극연생탕(南極延生湯)이라고 하였다.

'[處方箋] > [處方湯]' 카테고리의 다른 글

[內消沃雪湯][내소옥설탕]   (0) 2019.01.14
[內消升麻湯][내소승마탕]   (0) 2019.01.14
[桔梗湯][길경탕]  (0) 2019.01.14
[桔梗枳殼湯][길경지각탕]  (0) 2019.01.14
[奇效四物湯][기효사물탕]  (0) 2019.01.14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