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當歸羊肉湯][당귀양육탕]
治蓐勞
肥羊肉160g
當歸 川芎 黃芪 各50g, 生薑60g,
爲剉 水9盞 煎至3盞 分三服(良方).
一方 無羊肉 代 以猪脂內腎(入門).
로( 勞)를 치료한다
살찐 양의 고기 160g,
당귀, 궁궁이(천궁), 단너삼(황기) 각각 50g, 생강 60g.
위의 약들을 썰어서 물 9잔에 달여 3잔이 되면 짜서 세번에 나누어 먹는다[양방].
어떤 처방에는 양고기가 없으면 돼지콩팥 1쌍을 대용으로 쓴다고 하였다[입문].

[當歸承氣湯][당귀승기탕]
治陽狂, 奔走罵詈.
當歸, 大黃 各一兩,
芒硝 七錢,
甘草 五錢.
右剉. 每一兩, 薑五片棗十枚, 水一椀煎至半, 去渣溫服.
硝黃去胃中實熱, 當歸補血, 甘草緩中.

加薑棗者, 引入胃中也[保命].
양광으로 분주히 돌아다니며 욕하는 것을 치료한다.
당귀, 대황 각 한 냥,
망초 일곱 돈,
감초 다섯 돈.
위의 약들을 썰어 한 번에 한 냥씩 생강 다섯 쪽과 대추 열 개를 넣고

물 한 사발로 달이는데, 반이 되도록 달여서 찌꺼기를 버리고 따뜻할 때 먹는다.
망초와 대황은 위(胃) 속의 실열(實熱)을 없애고, 당귀는 혈을 보하며,

감초는 속을 느긋하게 하고, 더 넣은 생강과 대추는 약을 위(胃)로 끌어들인다(보명).

[當歸承氣湯][당귀승기탕]
治實熱便血.
當歸 二錢, 厚朴, 枳實, 大黃 各八分, 芒硝 七分.
右剉, 水煎服[丹心].
실열로 인한 변혈을 치료한다.
당귀 두 돈,
후박, 지실, 대황 각 여덟 푼,
망초 일곱 푼.
위의 약들을 썰어 물에 달여 먹는다(단심).

[當歸四逆湯][당귀사역탕]
治寒疝, 臍下冷痛.
當歸 一錢二分,
附子, 肉桂, 茴香 各一錢,
白芍藥, 柴胡 各九分,
玄胡索, 川練子, 茯苓 各七分,
澤瀉 五分.
右剉作一貼, 水煎, 空心服[綱目].
한산으로 배꼽 아래가 차며 아픈 것을 치료한다.
당귀 한 돈 두 푼,
부자, 육계, 회향 각 한 돈,
백작약, 시호 각 아홉 푼,
현호색, 천련자, 복령 각 일곱 푼,
택사 닷 푼.
위의 약들을 썰어 한 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빈속에 먹는다(강목).

[當歸補血湯][당귀보혈탕]
治血虛頭痛.
生乾地黃 酒炒, 白芍藥, 川芎, 當歸, 片芩 酒炒 各二錢,
防風, 柴胡, 蔓荊子 各五分,
荊芥, 藁本各四分.
右剉作一貼, 水煎服[醫鑑].
혈허두통을 치료한다.
건지황(술에 축여 볶은 것), 백작약, 천궁, 당귀, 황금(술에 축여 볶은 것) 각 한 돈,
방풍, 시호, 만형자 각 닷 푼,
형개, 고본 각 너 푼.
위의 약들을 썰어 한 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먹는다(의감).

[當歸補血湯][당귀보혈탕]
治心血少而嘈兼治驚悸 怔忡.
白芍藥 當歸 生地黃 熟地黃 各4g
白茯苓 麥門冬 梔子炒 陳皮 各3g
人蔘2g, 甘草1g.
剉作一貼 入炒米100粒 棗二枚 梅1箇 水煎去滓
入辰砂水飛末1g 調服(回春).

[當歸補血湯][당귀보혈탕]
因飢困勞役 致面紅目赤 身熱引飮 其脈洪大 而虛重按全無
此血虛發熱證 似白虎 惟脈不長 實爲辨耳 誤服白虎湯 必死
宜服此藥
黃芪20g, 當歸酒洗8g.
剉作一貼水煎服(東垣).

[當歸白朮湯][당귀백출탕]
治酒疸 有飮癖心胸堅滿 不進飮食 小便黃赤
赤茯苓6g
蒼朮 枳實 杏仁 前胡 葛根 甘草各4g

半夏2.8g
當歸 黃芩 茵蔯各2g
上剉作一貼 薑三 水煎服(三因).
주달과 음벽(飮癖)이 있어서 가슴이 몹시 그득하여
음식을 먹지 못하고 오줌이 누러면서 벌건 것을 치료한다.
벌건솔풍령(적복령) 6g,
삽주(창출), 지실, 살구씨(행인), 전호, 칡뿌리(갈근), 감초 각각 4g,
끼무릇(반하) 3g,

당귀, 속썩은풀(황금), 더위지기(인진) 각각 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3쪽과 함께 물에 달여 먹는다[삼인].

[當歸寄生湯][당귀기생탕]
治胎漏下血
人參 桑寄生 熟地黃 續斷 各6g
當歸 川芎 白朮 艾葉 各3g,
剉作一貼 水煎服(得效).
태루로 피가 나오는 것을 치료한다.
인삼, 뽕나무겨우살이(상기생), 찐지황(숙지황), 속단 각각 6g,
당귀, 궁궁이(천궁), 흰삽주(백출), 약쑥(애엽) 각각 3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먹는다[득효].

'[處方箋] > [處方湯]' 카테고리의 다른 글

[當歸補血湯][당귀보혈탕]  (0) 2019.01.14
[當歸白朮湯][당귀백출탕]   (0) 2019.01.14
[當歸建中湯][당귀건중탕]  (0) 2019.01.14
[當歸羗活湯][당귀강활탕]   (0) 2019.01.14
[淡竹茹湯][담죽여탕]   (0) 2019.01.14

[小建中湯][소건중탕]
治 虛勞 裏急腹中痛 夢寐失精 四肢痠
疼 手足煩熱 咽乾口燥
白芍藥20g, 桂枝12g(無則用薄桂), 甘草灸4g.
剉作一貼 入生薑五片 大棗四枚 水煎至半 去滓
下膠飴(卽黑糖), 半盞(卽40g). 再煎熔化之
허로로 뱃속이 켕기고 아프며 몽설하고 팔다리가 저리고
아프며 손발바닥에 번열이 나며 목구멍과 입이 마르는 것을 치료한다.
집함박꽃뿌리(백작약) 20g,
계지(계지가 없으면 박계를 대신 쓴다) 12g, 감초(닦은 것) 4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5쪽,
대추 4알과 함께 물에 넣고 달여 절반이 되면
짜서 찌꺼기를 버리고 검정엿 반잔(40g)을 넣고
다시 달여서 엿이 풀어지면 먹는다[중경].
芍藥 味酸於土中瀉木爲君 飴糖 甘草之溫 補脾養胃爲臣
水挾木勢 亦來侮土 故 脈弦而腹痛 肉桂 大辛熱佐 芍藥
以退寒水 薑棗 甘辛溫 發散陽氣 行於經絡 皮毛爲使
故 建中之名 始于此焉(東垣)
집함박꽃뿌리(백작약)는 맛이 신 약인데 비위에 들어가서
억제하는 간기(肝氣)를 사해주므로 주약으로 하였고
엿과 감초는 성질이 따뜻한 약인데 비위를 보하므로 신약(臣藥)으로 하였다.
수기가 간목의 힘과 어울려서 비토를 억누르기 때문에
맥이 현하면서 배가 아프게 된다.
그러므로 몹시 맵고 성질이 열한 육계로 집함박꽃뿌리(백작약)를
도와서 찬 수기를 없애야 하고 생강과 대추는 달고 맵고
성질이 따뜻한 약인데 땀을 내게 하여 양기가 경락과 피모로
잘 돌게 하므로 사약으로 하였다.
그러므로 건중(建中)이란 이름은 여기서부터 나온 것이다[동원].
治虛勞 氣虛自汗 本方 加 黃芪蜜炒4g 名曰 [黃芪建中湯]
허로로 기가 허하여 저절로 땀이 나는 것을 치료하는데
본 처방에 단너삼(황기, 꿀로 축여 볶은 것) 4g을 더 넣어쓴다.
이것을 황기건중탕(黃 建中湯)이라고 한다.
治虛勞 血虛自汗 本方 加 當歸4g
名曰 [當歸建中湯] 服法同上(仲景).
허로로 혈이 허하여 저절로 땀이 나는 것을 치료하는 데는
본 처방에 당귀 4g을 더 넣어 쓴다.
이것을 당귀건중탕(當歸建中湯)이라고 한다.
먹는 법은 위와 같다[중경].
治表虛自汗
[黃芪建中湯] 乃本方 加黃芪也 治虛勞自汗.
[當歸建中湯] 乃本方 加當歸37.5g也 治血虛自汗.
[桂枝附子湯] 乃本方 加桂枝18.75g 炮附子半箇也.
治自汗漏不止 每服26g 薑七片 棗二枚 水煎服(得效).
표허증(表虛證)으로 저절로 땀이 나는 것을 멎게 한다.
황기건중탕이란 바로 이 처방에 황기를 넣은 것인데
허로(虛勞)로 땀이 저절로 나는 것을 치료한다.
당귀건중탕이란 이 처방에 당귀 40g을 넣은 것인데
혈이 허하며 땀이 저절로 나는 것을 치료한다.
계지부자탕이란 이 처방에 계지 20g과 부자(싸서 구운 것)
반 개를 넣은 것인데 저절로 땀이 계속 나는 것을 치료한다.
한번에 28g씩 생강 7쪽, 대추 2알과 함께 물에 달여 먹는다[득효].

'[處方箋] > [處方湯]' 카테고리의 다른 글

[當歸白朮湯][당귀백출탕]   (0) 2019.01.14
[當歸寄生湯][당귀기생탕]   (0) 2019.01.14
[當歸羗活湯][당귀강활탕]   (0) 2019.01.14
[淡竹茹湯][담죽여탕]   (0) 2019.01.14
[單煮靑皮湯][단자청피탕]  (0) 2019.01.14

[當歸羗活湯][당귀강활탕]
治五發 癰疽 膏粱鬱者最宜
當歸 黃芩 黃連並酒製 各6g
酒黃栢 連翹 防風 羗活 甘草 各3g
獨活 藁本 各2g,  澤瀉1g
剉作一貼 水浸半日 入酒一匙煎 熱服,
日2次 三日盡6服 却將藥淸汁調下 木香檳榔末 各4g(入門).
기름진 음식을 많이 먹어서 열이 몰려 생긴 5발이나 옹저를 치료한다.
당귀, 속썩은풀(황금), 황련(다 술에 씻은 것) 각각 6g,
황백(술에 법제한 것), 연교, 방풍, 강호리(강활), 산치자, 감초 각각 2.8g,
따두릅(독활), 고본 각각 2g, 택사 1.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한나절 동안 담가두었다가
술 1숟가락을 넣고 달여서 하루 2번 뜨겁게 하여 먹는다.
3일 동안에 6번을 먹은 다음에는 이 약물에 목향, 빈랑가루
각각 4g씩을 타서 먹어야 한다[입문].

'[處方箋] > [處方湯]' 카테고리의 다른 글

[當歸寄生湯][당귀기생탕]   (0) 2019.01.14
[當歸建中湯][당귀건중탕]  (0) 2019.01.14
[淡竹茹湯][담죽여탕]   (0) 2019.01.14
[單煮靑皮湯][단자청피탕]  (0) 2019.01.14
[鹿茸大補湯][녹용대보탕]   (0) 2019.01.14

[淡竹茹湯][담죽여탕]
治心虛 煩悶
麥門冬 小麥 各8
半夏6g
人蔘 白茯苓 各4g
甘草2g
剉作一貼 入薑五片棗二枚 靑竹茹一塊 煎服(三因).
심(心)이 허(虛)하여 안타깝게 답답한 것을 치료한다.
맥문동, 밀(소맥) 각각 8g,
끼무릇(반하) 6g,
인삼, 흰솔풍령(백복령) 각각 4g, 감초 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5쪽,
대추 2알, 청죽여 한 덩어리와 함께 물에 넣고 달여 먹는다[삼인].

'[處方箋] > [處方湯]' 카테고리의 다른 글

[當歸建中湯][당귀건중탕]  (0) 2019.01.14
[當歸羗活湯][당귀강활탕]   (0) 2019.01.14
[單煮靑皮湯][단자청피탕]  (0) 2019.01.14
[鹿茸大補湯][녹용대보탕]   (0) 2019.01.14
[露宿湯][노숙탕]  (0) 2019.01.14

[單煮靑皮湯][단자청피탕]
治婦人百不如意, 久積憂鬱, 乳房結核.
靑皮 四錢.
剉水煎, 日三服[正傳].
부인이 모든 일이 여의치 않아 근심과 걱정이 오래 쌓여 젖에 멍울이 생긴 것을 치료한다.
청피 너 돈.
위의 약을 썰어 물에 달여 하루 세 번씩 먹는다(정전).

'[處方箋] > [處方湯]' 카테고리의 다른 글

[當歸羗活湯][당귀강활탕]   (0) 2019.01.14
[淡竹茹湯][담죽여탕]   (0) 2019.01.14
[鹿茸大補湯][녹용대보탕]   (0) 2019.01.14
[露宿湯][노숙탕]  (0) 2019.01.14
[露薑養胃湯][노강양위탕]   (0) 2019.01.14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