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大柴胡湯][대시호탕]
治傷寒病 少陽轉屬陽明 身熱 不惡寒 反惡熱 大便堅 小便赤
譫語 腹脹 潮熱. 柴胡, 黃芩, 白芍藥 各10g, 枳實6g, 半夏4g.
剉作一貼 入薑三片 棗二枚 水煎服(正傳).
상한 때 병이 소양경에서 양명경으로 옮아가면서 몸에 열이 나고
오한은 없으며 오히려 더운 것을 싫어하고 대변이 굳고 오줌이 벌거며
헛소리를 하고 배가 불러 오르고 조열(潮熱)이 나는 것을 치료한다.
시호 16g,
속썩은풀(황금), 집함박꽃뿌리(작약) 각각 10g,
대황 8g, 지실 6g, 끼무릇(반하) 4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3쪽,
대추 2알과 함께 물에 달여 먹는다[정전].
小柴胡 去 人參 甘草, 加 芍藥 大黃 枳實也以
芍藥下安太陰使邪氣不納以大黃去地道不通以
枳實去心下搽悶也[海藏]
소시호탕에서 인삼, 감초를 빼고
집함박꽃뿌리(작약), 대황, 지실을 넣은 것이다.
집함박꽃뿌리(작약)는 아래의 태음경(太陰經)을 편안하게 하여
사기가 들어오지 못하게 하며 대황은 대변이 막힌 것을 통하게 하며
지실은 명치 아래가 막혀서 답답한 것[ 悶]을 없앤다[해장].

'[處方箋] > [處方湯]' 카테고리의 다른 글

[大溫經湯][대온경탕]  (0) 2019.01.15
[大寧嗽湯][대영수탕]   (0) 2019.01.15
[大承氣湯][대승기탕]   (0) 2019.01.15
[大省風湯][대성풍탕]   (0) 2019.01.15
[大成湯][대성탕]  (0) 2019.01.15

[大承氣湯][대승기탕]
治傷寒裡證大熱 大實 大滿宜急下者用此
大黃15g
厚朴 枳實 芒硝 各7.5g.
剉作一貼 水二大盞 先煎枳實 厚朴至一盞 乃下
大黃煎至70%去渣 入芒硝 再一沸 溫服(入門).
상한이증(傷寒裏證) 때 열이 몹시 나고 대변이 막히며
배가 불러 오르고 그득한 것을 치료한다.
빨리 설사시켜야 할 때에 이 약을 쓴다.
대황 16g,
후박, 지실, 망초 각각 8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쓰는데 큰 잔으로 물 2잔에 먼저
지실과 후박을 넣고 절반이 되게 달인 다음 대황을 넣고
다시 7분이 되게 달여 찌꺼기를 버린다.
여기에 망초를 넣고 다시 한번 끓어오르게 달인 다음 따뜻하게 하여 먹는다[입문]

'[處方箋] > [處方湯]' 카테고리의 다른 글

[大寧嗽湯][대영수탕]   (0) 2019.01.15
[大柴胡湯][대시호탕]   (0) 2019.01.15
[大省風湯][대성풍탕]   (0) 2019.01.15
[大成湯][대성탕]  (0) 2019.01.15
[大防風湯][대방풍탕]  (0) 2019.01.15

[大省風湯][대성풍탕]
治中風痰盛 喎斜不遂
防風 半夏生 各8g
川烏生 南星生 白附子生 木香 甘草 各4g, 

全蝎1g
剉作一貼 入薑十片 水煎服(入門)
중풍으로 담이 성하여 입과 눈이 비뚤어지고
몸 한쪽을 쓰지 못하는 것을 치료한다.
방풍, 끼무릇(반하, 생것) 각각 8g,
오두(생것), 천남성(생것), 노랑돌쩌귀(백부자, 생것), 목향, 감초 각각 4g,
전갈 1.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10쪽과 함께 물에 달여 먹는다[입문].

'[處方箋] > [處方湯]' 카테고리의 다른 글

[大柴胡湯][대시호탕]   (0) 2019.01.15
[大承氣湯][대승기탕]   (0) 2019.01.15
[大成湯][대성탕]  (0) 2019.01.15
[大防風湯][대방풍탕]  (0) 2019.01.15
[大半夏湯][대반하탕]  (0) 2019.01.15

[通導散][통도산]
治傷損極重 大小便不通 心腹脹悶 宜用此下瘀血
大黃 芒硝 各8g
當歸 蘇木 紅花 桃仁 各4g
厚朴 陳皮 木通 枳殼 甘草 各2g
剉作一貼 水煎空心服(醫鑒).
一名, [大成湯] (醫林).
외상이 몹시 중(重)하여 대소변이 나오지 못하고 명치 밑이 불러 오르며
답답한 것을 치료하는데 설사로 어혈이 나가게 한다.
대황, 망초 각각 8g,
당귀, 소목, 잇꽃(홍화), 복숭아씨(도인) 각각 4g,
후박, 귤껍질(陳皮), 으름덩굴(목통), 지각, 감초 각각 2g.
위의 약들을 썰어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서 빈속에 먹는다[의감].
일명 대성탕(大成湯)이라고도 한다[의림].

'[處方箋] > [處方湯]' 카테고리의 다른 글

[大承氣湯][대승기탕]   (0) 2019.01.15
[大省風湯][대성풍탕]   (0) 2019.01.15
[大防風湯][대방풍탕]  (0) 2019.01.15
[大半夏湯][대반하탕]  (0) 2019.01.15
[大豆甘草湯][대두감초탕]   (0) 2019.01.15

[大防風湯][대방풍탕]
治鶴膝風.
熟地黃 一錢半,
白朮, 防風, 當歸, 白芍藥, 杜冲, 黃芪 各一錢,
附子, 川芎, 牛膝, 羌活, 人蔘, 甘草 各五分.
右剉作一貼, 薑五片棗二枚, 水煎服.

袪風順氣, 活血脈, 壯筋骨[正傳].
학슬풍을 치료한다.
숙지황 한 돈 반,
백출, 방풍, 당귀, 백작약, 두충, 황기 각 한 돈,
부자, 천궁, 우슬, 강활, 인삼, 감초 각 닷 푼.
위의 약들을 썰어 한 첩으로 하여 생강 다섯 쪽, 대추 두 개를 넣고 물에 달여 먹는다.
이 약은 풍을 몰아내고 기를 잘 돌게 하며

혈맥을 잘 통하게 하고 근과 뼈를 튼튼하게 한다(정전).

'[處方箋] > [處方湯]' 카테고리의 다른 글

[大省風湯][대성풍탕]   (0) 2019.01.15
[大成湯][대성탕]  (0) 2019.01.15
[大半夏湯][대반하탕]  (0) 2019.01.15
[大豆甘草湯][대두감초탕]   (0) 2019.01.15
[大橘皮湯][대귤피탕]   (0) 2019.01.15

[大半夏湯][대반하탕]
治同上.
半夏 製, 陳皮, 赤茯苓 各二錢半.
右剉作一貼, 薑五片, 水煎服[丹心].
위와 같은 병을 치료한다.
반하(법제한 것), 진피, 적복령 각 두 돈 반.
위의 약들을 썰어 한 첩으로 하여, 생강 다섯 쪽을 넣고 물에 달여 먹는다(단심).

'[處方箋] > [處方湯]' 카테고리의 다른 글

[大成湯][대성탕]  (0) 2019.01.15
[大防風湯][대방풍탕]  (0) 2019.01.15
[大豆甘草湯][대두감초탕]   (0) 2019.01.15
[大橘皮湯][대귤피탕]   (0) 2019.01.15
[大芎黃湯][대궁황탕]   (0) 2019.01.15

[大豆甘草湯][대두감초탕]
治陰蝕下疳瘡
甘草40g, 赤皮葱3莖 黑豆一合 槐條一握,
爲濃煎 取淸候溫 浸浴 日二(精義).
음식창, 하감창을 치료한다.
감초 40g, 껍질이 붉은 파 3대, 검정콩(흑두) 1홉, 홰나무가지(괴조) 1줌.
위의 약들을 진하게 달여서 가라앉힌 다음
윗물을 받아 따뜻하게 하여 하루 두번 목욕한다[정의].

'[處方箋] > [處方湯]' 카테고리의 다른 글

[大防風湯][대방풍탕]  (0) 2019.01.15
[大半夏湯][대반하탕]  (0) 2019.01.15
[大橘皮湯][대귤피탕]   (0) 2019.01.15
[大芎黃湯][대궁황탕]   (0) 2019.01.15
[大固陽湯][대고양탕]   (0) 2019.01.15

[大橘皮湯][대귤피탕]
治動氣 誤發汗 心煩 骨痛 目暈 吐食
陳皮12g, 靑竹茹8g, 人蔘 甘草 各4g
剉作一貼 入薑五片棗三枚 水煎服(仲景).
동기 때에 잘못 땀을 내어 가슴이 답답하고[煩悶]
뼈가 아프며 어지럽고 토하는 것을 치료한다.
귤껍질(陳皮) 12g, 청죽여 8g, 인삼, 감초 각각 4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5쪽,
대추 3알과 함께 물에 달여 먹는다[중경].

'[處方箋] > [處方湯]' 카테고리의 다른 글

[大半夏湯][대반하탕]  (0) 2019.01.15
[大豆甘草湯][대두감초탕]   (0) 2019.01.15
[大芎黃湯][대궁황탕]   (0) 2019.01.15
[大固陽湯][대고양탕]   (0) 2019.01.15
[大建中湯][대건중탕]   (0) 2019.01.15

[大芎黃湯][대궁황탕]
治破傷風 入裏 二便秘 小便赤 自汗不止
川芎4g
大黃 羗活 黃芩 各8g
爲剉作一貼 水煎服 以下之 微利爲度(入門).
파상풍이 이(裏)에 들어가서 대소변이 잘 나오지 않고
오줌이 벌거며 저절로 땀이 멎지 않고 나오는 것을 치료한다.
궁궁이(천궁) 4g,
대황, 강호리(강활), 속썩은풀(황금) 각각 8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먹는데
약간 설사가 날 때까지 쓴다[입문].

'[處方箋] > [處方湯]' 카테고리의 다른 글

[大豆甘草湯][대두감초탕]   (0) 2019.01.15
[大橘皮湯][대귤피탕]   (0) 2019.01.15
[大固陽湯][대고양탕]   (0) 2019.01.15
[大建中湯][대건중탕]   (0) 2019.01.15
[大羗活湯][대강활탕]   (0) 2019.01.15

[大固陽湯][대고양탕]
治脫陽
大附子一枚炮 切作8片
白朮 乾薑炮 各20g, 木香10g
剉作一貼水煎去滓 放冷 灌服, 須臾又進一服 神效(得效).
부자 1대(큰것을 싸서 구워 8쪽을 낸다),
흰삽주(백출), 건강(싸서 구운 것) 각각 20g, 목향 10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인 다음
찌꺼기를 버리고 식혀서 먹고 조금 있다가 또 한번 먹으면 잘 낫는다[득효].

'[處方箋] > [處方湯]' 카테고리의 다른 글

[大橘皮湯][대귤피탕]   (0) 2019.01.15
[大芎黃湯][대궁황탕]   (0) 2019.01.15
[大建中湯][대건중탕]   (0) 2019.01.15
[大羗活湯][대강활탕]   (0) 2019.01.15
[當歸湯][당귀탕]  (0) 2019.01.15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