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桃花湯][도화탕]
治少陰病 下利便膿血
赤石脂20g(半生半炒) 乾薑8g 糯米1合
爲剉 水煎至半 去渣 別入赤石脂 細末3.75g 調服 日二(入門).
소음병 때 설사로 피고름[膿血]이 섞여 나오는 것을 치료한다.
적석지(절반은 닦은 것, 절반은 생것) 20g, 건강 8g, 찹쌀 1홉.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넣고 달이다가 절반이 되면 찌꺼기를 버린다.
다음 여기에 적석지가루 4g을 타서 먹는데 하루 두번 쓴다[입문].

'[處方箋] > [處方湯]' 카테고리의 다른 글

[獨活寄生湯][독활기생탕]  (0) 2019.01.16
[獨蔘湯][독삼탕]  (0) 2019.01.16
[導滯通經湯][도체통경탕]   (0) 2019.01.16
[導滯湯][도체탕]  (0) 2019.01.16
[導赤湯][도적탕]  (0) 2019.01.16

[導滯通經湯][도체통경탕]
治雨濕 腫滿者
赤茯苓 澤瀉 各8g
陳皮 桑白皮 白朮 木香 各4g
剉作一貼 水煎服.
許魯齊 因霖雨所傷 肢體浮腫 大便溏 腹脹腸鳴 時痛 飮食減少
脈弦細而緩 此脾胃虛弱 而濕氣盛也
先服[平胃散](蒼朮8g 陳皮6g 厚朴4g 甘草2g 剉作一貼 生薑三片大棗二枚.
水煎服 或爲末 取8g 薑棗湯 點服(入門))
加 白朮 赤茯苓 草豆蔲 諸證皆愈止 有四肢浮腫 用此藥全愈(寶鑑).
벌건솔풍령(적복령), 택사 각각 8g,
귤껍질(陳皮), 뽕나무뿌리껍질(상백피), 흰삽주(백출), 목향 각각 4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먹는다.
허로재(許魯齋)가 장마비에 상하여 팔다리와 몸이 붓고 설사를 하며
배가 불러 오르고 끓으면서 때로 아프고 음식을 적게 먹으며
맥은 현세(弦細)하고 완(緩)하였다.
이것은 비위가 허약하여 습기가 성했기 때문에 생긴 것이다.
그리하여 먼저 평위산에 흰삽주, 벌건솔풍령, 초두구를 넣어서 먹였는데
모두 증상이 다 나았다.
그러나 팔다리가 부은 것만은 그대로 있었다.
그리하여 이 약을 먹였는데 완전히 나았다[보감].

'[處方箋] > [處方湯]' 카테고리의 다른 글

[獨蔘湯][독삼탕]  (0) 2019.01.16
[桃花湯][도화탕]   (0) 2019.01.16
[導滯湯][도체탕]  (0) 2019.01.16
[導赤湯][도적탕]  (0) 2019.01.16
[導赤地楡湯][도적지유탕]  (0) 2019.01.16

[導滯湯][도체탕]
治下痢膿血, 裏急後重, 腹痛作渴, 日夜無度.
白芍藥 二錢,

當歸, 黃芩, 黃連 各一錢,
大黃 七分,
桂心, 木香, 檳榔, 甘草 各三分.
右剉作一貼, 空心水煎服[入門].
이질로 피고름이 나오고 뱃속이 당기듯이 아프면서 뒤가 무직하며,

배가 아프고 갈증이 나며 밤낮 없이 설사하는 것을 치료한다.
백작약 두 돈,
당귀, 황금, 황련 각 한 돈,
대황 일곱 푼,
계심, 목향, 빈랑, 감초 각 서 푼.
위의 약들을 썰어 한 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빈속에 먹는다(입문).

'[處方箋] > [處方湯]' 카테고리의 다른 글

[桃花湯][도화탕]   (0) 2019.01.16
[導滯通經湯][도체통경탕]   (0) 2019.01.16
[導赤湯][도적탕]  (0) 2019.01.16
[導赤地楡湯][도적지유탕]  (0) 2019.01.16
[桃仁湯][도인탕]   (0) 2019.01.16

[導赤湯][도적탕]
治尿如米泔色, 不過二服愈.
木通, 滑石, 黃柏, 赤茯苓, 生地黃, 梔子仁, 甘草梢 各一錢,
枳殼, 白朮 各五分.
右剉作一貼, 空心水煎服[回春].
오줌이 쌀뜨물 같은 것을 치료하는데, 2번만 복용하여도 낫는다.
목통, 활석, 황백, 적복령, 생지황, 치자인, 감초초 각 한 돈,
지각, 백출 각 다섯 푼.
위의 약들을 썰어 한 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빈속에 먹는다(회춘).

'[處方箋] > [處方湯]' 카테고리의 다른 글

[導滯通經湯][도체통경탕]   (0) 2019.01.16
[導滯湯][도체탕]  (0) 2019.01.16
[導赤地楡湯][도적지유탕]  (0) 2019.01.16
[桃仁湯][도인탕]   (0) 2019.01.16
[桃仁承氣湯][도인승기탕]   (0) 2019.01.16

[導赤地楡湯][도적지유탕]
治赤痢及血痢.
地楡, 當歸身 酒洗 各一錢半,
赤芍藥 炒, 黃蓮 酒炒, 黃芩 酒炒, 槐花 炒 各一錢,
阿膠珠, 荊芥穗 各八分,
甘草 灸 五分.
右剉作一貼, 空心水煎服[集畧].
적리와 혈리를 치료한다.
지유, 당귀신(술에 씻은 것) 각 한 돈 반,
적작약(볶은 것), 황련(술에 축여 볶은 것), 황금(술에 축여 볶은 것), 괴화(볶은 것) 각 한 돈,
아교주, 형개수 각 여덟 푼,
감초(구운 것) 다섯 푼.
위의 약들을 썰어 한 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빈속에 먹는다(『의방집략』).

[導赤地楡湯][도적지유탕]
治赤痢 及血痢
地楡 當歸身酒洗 各6g
赤芍藥炒 黃連酒炒 黃芩炒 槐花炒 各4g
阿膠珠 荊芥穗 各3g, 甘草灸2g
剉作一貼 空心水煎服(集略).
적리와 혈리를 치료한다.
오이풀뿌리(지유), 당귀(술에 씻은 것) 각각 6g,
함박꽃뿌리(작약, 닦은 것), 황련(술에 축여 볶은 것),
속썩은풀(황금, 술에 축여 볶은 것), 홰나무꽃(괴화, 닦은 것) 각각 4g,
아교주, 형개수 각각 3.2g, 감초(닦은 것) 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서 빈속에 먹는다[집략].

'[處方箋] > [處方湯]' 카테고리의 다른 글

[導滯湯][도체탕]  (0) 2019.01.16
[導赤湯][도적탕]  (0) 2019.01.16
[桃仁湯][도인탕]   (0) 2019.01.16
[桃仁承氣湯][도인승기탕]   (0) 2019.01.16
[陶氏黃龍湯][도씨황룡탕]   (0) 2019.01.16

[桃仁湯][도인탕]
治産後惡露方行 忽然斷絶 腰腹重痛 或流注腿股作痛
桃仁 蘇木 生地黃 各20g
蝱虫 水蛭並炒 各30枚
粗末 每12g 水1盞 煎至六分(60%)去滓溫服 惡血下卽止
如有大痛處 必作癰疽 宜取[五香連翹湯] 去大黃 水煎 入竹瀝 服之(良方).
해산 후에 오로(惡露)가 흐르다가 갑자기 멎으면서 허리와 배까지 아픈 것과
오로가 흐르면서 허벅다리가 아픈 것을 치료한다.
복숭아씨(도인), 소목, 생지황 각각 20g,
등에, 거머리(수질, 둘 다 닦은 것) 각각 30개.
위의 약들을 거칠게 가루내어 한번에 12g씩 물 1잔에 넣고 6분이 되게 달인 다음
찌꺼기를 버리고 따뜻하게 해서 먹되 궂은 피가 흐르면 약을 끊는다.
만일 몹시 아픈 곳이 있으면 그곳에 옹저(癰疽)가 생긴 것이므로
오향련교탕(五香連翹湯)에서 대황을 빼고 물에 달인 다음 참대기름을 타 먹는다[양방].

'[處方箋] > [處方湯]' 카테고리의 다른 글

[導赤湯][도적탕]  (0) 2019.01.16
[導赤地楡湯][도적지유탕]  (0) 2019.01.16
[桃仁承氣湯][도인승기탕]   (0) 2019.01.16
[陶氏黃龍湯][도씨황룡탕]   (0) 2019.01.16
[陶氏沖和湯][도씨충화탕]   (0) 2019.01.16

[桃仁承氣湯][도인승기탕]
治血結膀胱小腹結急便黑譫語潄水. 宜此攻之.
大黃12g
桂心 芒硝 各8g
甘草4g,  桃仁留尖10枚.
剉作一貼水煎入芒硝溫服以瘀血盡下爲度(丹心).
어혈(瘀血)이 방광(膀胱)에 뭉쳐서 아랫배가 몹시 켕기고[結急]
대변이 검으며 헛소리하고 물로 양치만 하고 넘기지 않는 데는
이 약으로 설사시키는 것이 좋다.
대황 12g, 계심, 망초 각각 8g, 감초 4g,
복숭아씨(도인, 끝을 그대로 둔 것) 10알.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인 다음
망초를 넣어 따뜻하게 하여 먹는다.
어혈을 다 설사 할 때까지 먹는다[단심].

'[處方箋] > [處方湯]' 카테고리의 다른 글

[導赤地楡湯][도적지유탕]  (0) 2019.01.16
[桃仁湯][도인탕]   (0) 2019.01.16
[陶氏黃龍湯][도씨황룡탕]   (0) 2019.01.16
[陶氏沖和湯][도씨충화탕]   (0) 2019.01.16
[陶氏茵陳湯][도씨인진탕]  (0) 2019.01.16

[陶氏黃龍湯][도씨황룡탕]
治熱邪傳裏胃中燥糞結實, 心下硬痛 純下淸水
大黃8g,
芒硝6g
枳實 厚朴 各4g
人蔘 當歸 甘草 各2g,
剉作一貼 入薑三片棗二枚 水煎溫服(入門).
열사(熱邪)가 속에 들어가서 뱃속에 마른 대변이 뭉쳐서
명치 아래가 뜬뜬하고 아프며 물 같은 것만 설사하는 것을 치료한다.
대황 8g,
망초 6g,
지실, 후박 각각 4g,
인삼, 당귀, 감초 각각 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3쪽,
대추 2알과 함께 물에 달여 먹는다[입문].

'[處方箋] > [處方湯]' 카테고리의 다른 글

[桃仁湯][도인탕]   (0) 2019.01.16
[桃仁承氣湯][도인승기탕]   (0) 2019.01.16
[陶氏沖和湯][도씨충화탕]   (0) 2019.01.16
[陶氏茵陳湯][도씨인진탕]  (0) 2019.01.16
[陶氏益元湯][도씨익원탕]   (0) 2019.01.16

[陶氏沖和湯][도씨충화탕]
治兩感傷寒 陰陽未分者 以此探之
羗活 蒼朮 防風 川芎 生地黃 黃芩 柴胡 乾葛 白芷 石膏 各4g
細辛 甘草 各1g
剉作一貼 入薑三片棗二枚 黑豆3~7粒 同煎腹(入門).
一名 [冲和靈寶飮] (必用).
양감상한(兩感傷寒)을 치료하는데 음증인지 양증인지를
갈라 볼 수 없을 때 써서 시험한다.
강호리(강활), 삽주(창출), 방풍, 궁궁이(천궁), 생지황,
속썩은풀(황금), 시호, 칡뿌리(갈근), 구릿대(백지), 석고 각각 4g,
족두리풀(세신), 감초 각각 1.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고 여기에
생강 3쪽, 대추 2알, 검정콩(흑두) 21알을 넣어서 달여 먹는다[입문].
일명 충화영보음( 和靈寶飮)이라고도 한다[필용].

[陶氏茵陳湯][도씨인진탕]
治黃疸熱盛 大便不利
茵陳8g
大黃 梔子仁 厚朴 枳實 黃芩 甘草 各4g
剉作一貼 薑二片 燈心一握 水煎服.
小便不利 合五苓散服(入門).
황달 때 열이 성하여 대변이 잘 나오지 않는 것을 치료한다.
더위지기(인진) 8g,
대황, 산치자, 후박, 지실, 속썩은풀(황금), 감초 각각 4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2쪽,
골풀속살(등심) 2g과 함께 물에 달여 먹는다.
오줌이 잘 나오지 않는 데는 오령산을 섞어서 쓴다[입문].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