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麻黃附子甘草湯][마황부자감초탕]
治少陰病 無吐利厥逆 宜用此 微發汗也(仲景).
卽 [麻黃附子細辛湯](麻黃 細辛各8g 附子炮4g) 去細辛 加甘草8g 也.
卽麻黃附子細辛湯去細辛加甘草二錢也[入門]
소음병(少陰病) 때에 토하지도 설사도 하지 않으며
궐역(厥逆)이 되지 않은 것을 치료하는데 이 약을 쓰고 땀을 약간 내야 한다[중경].
이 처방은 마황부자세신탕에서 족두리풀(세신)을 빼고 감초 8g을 넣은 것이다[입문].

[麻黃白朮湯][마황백출탕]
治風瘧
麻黃 桂皮 靑皮 陳皮 川芎 白芷 半夏麴
紫蘇葉 赤茯苓 白朮 桔梗 細辛 檳榔 甘草 各3g
剉作一貼 入薑三棗二 水煎服(直指).
풍학(風 )을 치료한다.
마황, 계피, 선귤껍질(靑皮), 귤껍질(陳皮), 궁궁이(천궁),
구릿대(백지), 반하국, 차조기잎(자소엽), 벌건솔풍령(적복령),
흰삽주(백출), 도라지(길경), 족두리풀(세신), 빈랑, 감초 각각 2.8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3쪽,
대추 2알과 함께 물에 달여 먹는다[직지].

[麻黃桂枝湯][마황계지탕]
治外因寒冷, 心痛, 惡寒發熱, 內攻五藏, 拘急不得轉側.
麻黃, 桂枝, 芍藥, 細辛, 乾薑, 甘草 各一錢,
香附子, 半夏 各七分.
右剉作一貼, 薑五片, 水煎服[三因].
외부의 찬 기운으로 심통이 생겨 오한이 나고 열이 나며 찬 기운이 안으로

오장에 침입하여 몸이 오그라들어 몸을 뒤척이지 못하는 것을 치료한다.
마황, 계지, 작약, 세신, 건강, 감초 각 한 돈,
향부자, 반하 각 일곱 푼.
위의 약들을 썰어 한 첩으로 하여 생강 다섯 쪽을 넣고 물에 달여 먹는다(삼인).

[麻黃桂枝湯][마황계지탕]
治傷寒不得汗作衄. 又治感寒衄吐血.
麻黃, 白芍藥, 黃芪, 甘草 灸 各一錢,

桂枝, 當歸 各五分,

麥門冬, 人蔘 各三分,

五味子 五粒.
右剉作一貼, 水煎服[東垣].
상한에 땀이 나지 않아서 피가 나오는 것을 치료한다.

또 찬 기운을 받아 코피가 나거나 피를 토하는 것을 치료한다.
마황, 백작약, 황기, 감초(구운 것) 각 한 돈,
계지, 당귀 각 다섯 푼,
맥문동, 인삼 각 서 푼, 오미자 다섯 알.
위의 약들을 썰어 한 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먹는다(동원).

[麻黃羗活湯][마황강활탕]
治太陽瘧 無汗
卽前方(桂枝 羗活 防風 甘草 各6g  爲剉作 一貼 水煎服)

去桂枝 加麻黃也 劑法 服法同上(綱目).
태양학 때에 땀이 나지 않는 것을 치료한다.
이것은 위의 처방에서 계지를 빼고 마황을 넣은 것이다.
약을 만드는 방법과 먹는 방법은 위의 처방과 같다[강목].

[麻黃甘草湯][마황감초탕]
治腰上浮腫
麻黃12g, 甘草8g
剉作一貼 水煎服 溫覆 令出汗 不汗再服(仲景).
有人患 氣促 積久不差 遂成水腫 服此湯 卽效(得效).
허리 위가 부은 것을 치료한다.
마황 12g, 감초 8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달여서 먹은 다음
이불을 따뜻하게 덮고 땀을 내야 하는데
땀이 나지 않으면 다시 먹어야 한다[중경].
어떤 사람이 숨찬 것이 오랫동안 낫지 않다가 수종이 생겼을 때
이 약을 먹고 곧 효과를 보았다고 한다[득효].

'[處方箋] > [處方湯]' 카테고리의 다른 글

[麻黃桂枝湯][마황계지탕]  (0) 2019.01.16
[麻黃羗活湯][마황강활탕]   (0) 2019.01.16
[麻杏薏甘湯][마행의감탕]   (0) 2019.01.16
[東垣鼠粘子湯][동원서점자탕]  (0) 2019.01.16
[獨活湯][독활탕]  (0) 2019.01.16

[麻杏薏甘湯][마행의감탕]
治風濕身疼 不能轉側 日晡加劇.
麻黃 薏苡仁 各8g
杏仁 甘草 各4g.
剉作一貼 水煎服(入門).
풍습으로 몸이 아파서 옆으로 돌리지도 못하고 해질 무렵에 더 심한 것을 치료한다.
마황, 율무쌀(의이인) 각각 8g,

살구씨(행인), 감초 각각 4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먹는다[입문].

'[處方箋] > [處方湯]' 카테고리의 다른 글

[麻黃羗活湯][마황강활탕]   (0) 2019.01.16
[麻黃甘草湯][마황감초탕]  (0) 2019.01.16
[東垣鼠粘子湯][동원서점자탕]  (0) 2019.01.16
[獨活湯][독활탕]  (0) 2019.01.16
[獨活寄生湯][독활기생탕]  (0) 2019.01.16

[東垣鼠粘子湯][동원서점자탕]
治耳內痛生瘡.
桔梗 一錢半,
黃芪, 柴胡 各七分,
鼠粘子, 連翹, 生乾地黃 酒炒, 當歸尾, 黃芩, 生甘草, 灸甘草 各五分,
昆布, 蘇木, 黃連, 蒲黃, 草龍膽 各三分,
桃仁 三箇,
紅花 一分.
右剉作一貼, 水煎食後服[東垣].
귓속이 아프고 헌 것을 치료한다.
길경 한 돈 반,
황기,시호 각 일곱 푼,
우방자, 연교, 건지황(술에 축여 볶은 것), 당귀미, 황금, 생감초, 감초(구운 것) 각 닷 푼,
곤포, 소목, 황련, 포황, 용담초 각 서 푼,
도인 세 개,
홍화 한 푼.
위의 약들을 썰어 한 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식후에 먹는다(동원).

'[處方箋] > [處方湯]' 카테고리의 다른 글

[麻黃甘草湯][마황감초탕]  (0) 2019.01.16
[麻杏薏甘湯][마행의감탕]   (0) 2019.01.16
[獨活湯][독활탕]  (0) 2019.01.16
[獨活寄生湯][독활기생탕]  (0) 2019.01.16
[獨蔘湯][독삼탕]  (0) 2019.01.16

[獨活湯][독활탕]
治勞役腰痛如折.
當歸, 連翹 各一錢半,
羌活, 獨活, 防風, 澤瀉, 肉桂 各一錢,
防己, 黃柏, 大黃, 甘草 各五分,
桃仁 留尖 九粒.
右剉作一貼, 酒水各半煎, 空心服[東垣].
지나치게 일을 하여 허리가 끊어질 것처럼 아픈 것을 치료한다.
당귀, 연교 각 한 돈 반,
강활, 독활, 방풍, 택사, 육계 각 한 돈,
방기, 황백, 대황, 감초 각 닷 푼,
도인(끝이 있는 것) 아홉 개.
위의 약들을 썰어 한 첩으로 하여 술과 물을 반반씩 넣고 달여 빈속에 먹는다(동원).

[獨活湯][독활탕]
治同上.
獨活, 羌活, 人蔘, 前胡, 細辛, 半夏, 沙參, 五味子, 白茯苓, 酸棗仁 炒, 甘草 各七分.
右剉作一貼, 薑三片烏梅一箇, 水煎服[本事].
진주모환과 같은 증상을 치료한다.
독활, 강활, 인삼, 전호, 세신, 반하, 사삼, 오미자, 백복령, 산조인(볶은 것), 감초 각 일곱 푼.
위의 약들을 썰어 한 첩으로 하여, 생강 세 쪽과 오매 한 개를 넣고 물에 달여 먹는다(본사).

'[處方箋] > [處方湯]' 카테고리의 다른 글

[麻杏薏甘湯][마행의감탕]   (0) 2019.01.16
[東垣鼠粘子湯][동원서점자탕]  (0) 2019.01.16
[獨活寄生湯][독활기생탕]  (0) 2019.01.16
[獨蔘湯][독삼탕]  (0) 2019.01.16
[桃花湯][도화탕]   (0) 2019.01.16

[獨活寄生湯][독활기생탕]
治肝腎虛弱, 筋攣骨痛, 脚膝偏枯, 緩弱冷庳.
獨活, 當歸, 白芍藥, 桑寄生 各七分,
熟地黃, 川芎, 人蔘, 白茯苓, 牛膝, 杜冲, 秦艽, 細辛, 防風, 肉桂 各五分,
甘草 三分.
右剉作一貼, 薑三片水煎空心服[回春].
간과 신이 허약하여 근이 떨리고 뼈가 아프며,

다리와 무릎 한쪽이 마르고 늘어지며 약하고 시리면서 저린 것을 치료한다.
독활, 당귀, 백작약, 상기생 각 일곱 푼,
숙지황, 천궁, 인삼, 백복령, 우슬, 두충, 진교, 세신, 방풍, 육계 각 닷 푼,
감초 서 푼.
위의 약들을 썰어 한 첩으로 하여 생강 세 쪽과 함께 물에 달여 빈속에 먹는다(회춘).

'[處方箋] > [處方湯]' 카테고리의 다른 글

[東垣鼠粘子湯][동원서점자탕]  (0) 2019.01.16
[獨活湯][독활탕]  (0) 2019.01.16
[獨蔘湯][독삼탕]  (0) 2019.01.16
[桃花湯][도화탕]   (0) 2019.01.16
[導滯通經湯][도체통경탕]   (0) 2019.01.16

[獨蔘湯][독삼탕]
單用人蔘, 濃煎服[醫說].
인삼 한 가지를 진하게 달여서 먹는다(의설).

'[處方箋] > [處方湯]' 카테고리의 다른 글

[獨活湯][독활탕]  (0) 2019.01.16
[獨活寄生湯][독활기생탕]  (0) 2019.01.16
[桃花湯][도화탕]   (0) 2019.01.16
[導滯通經湯][도체통경탕]   (0) 2019.01.16
[導滯湯][도체탕]  (0) 2019.01.16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