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半夏茯苓湯][반하복령탕]
治水停心下, 爲水結胸, 痞滿頭汗.
半夏, 赤茯苓 各二錢,

陳皮, 人蔘, 川芎, 白朮 各一錢.
右剉作一貼, 入薑五片, 水煎服.
一名, [赤茯苓湯][綱目].
수(水)가 명치에 머물러 수결흉이 되어 답답하고 그득하며 머리에서 땀이 나는 것을 치료한다.
반하, 적복령 각 두 돈,
진피, 인삼, 천궁, 백출 각 한 돈.
위의 약들을 썰어 한 첩으로 하여 생강 다섯 쪽을 넣고 물에 달여 먹는다.
적복령탕이라고도 한다(강목).

[半夏白朮天麻湯][반하백출천마탕]
治脾胃虛弱, 痰厥頭痛. 其證頭苦痛如裂,

身重如山, 四肢厥冷, 嘔吐眩暈, 目不敢開, 如在風雲中.
半夏 製, 陳皮, 麥芽 炒 各一錢半,
白朮, 神麴 炒 各一錢,
蒼朮, 人蔘, 黃芪, 天麻, 白茯苓, 澤瀉各五分,
乾薑 三分,
黃柏 酒洗 二分.
右剉作一貼, 薑五片, 水煎服[東垣].
비위가 허약하여 생긴 담궐두통을 치료한다. 증상은 머리가 터지는 것같이 몹시 아프고

몸이 산처럼 무거우며 사지가 싸늘하고, 토하며 어지럽고 마치 비바람 속에 있는 듯

눈을 뜨기 힘든 것을 치료한다.
반하(법제한 것), 진피, 맥아(볶은 것) 각 한 돈 반,
백출, 신곡(볶은 것) 각 한 돈,
창출, 인삼, 황기, 천마, 백복령, 택사 각 닷 푼,
건강 서 푼,
황백(술로 씻은 것) 두 푼.
위의 약들을 썰어 한 첩으로 하여 생강 다섯 쪽을 넣고 물에 달여 먹는다(동원).
頭痛苦甚, 謂之足太陰痰厥頭痛, 非半夏不能療.
眼黑頭旋, 風虛內作, 非天麻不能除. 黃芪甘溫, 瀉火補元氣, 實表虛, 止自汗.
人蔘甘溫, 瀉火補中益氣. 二朮俱苦甘溫, 除濕補中益氣.
澤瀉茯苓利小便導濕. 橘皮苦溫, 益氣調中.
神麴消食, 蕩胃中滯氣. 大麥蘖寬中助胃氣. 乾薑辛熱, 以滌中寒.
黃柏大苦寒, 酒洗以療冬天小火在泉發燥也6)[東垣].
머리가 매우 아픈 것을 족태음경의 담궐두통이라고 하는데, 반하가 아니면 치료할 수 없다.
눈이 캄캄하고 머리가 빙빙 도는 것은 풍이 허한 틈을 타 속에서 생긴 것인데,

천마가 아니면 없앨 수 없다.
황기는 달고 따뜻하여 화를 내리고 원기를 보하며

표가 허한 것을 실하게 하고 식은땀을 멎게 한다.
인삼은 달고 따뜻하여 화를 내리고 중초를 보하며 기운을 북돋운다.
창출과 백출은 모두 쓰면서 달며 따뜻하여 습을 없애고 중초를 보하며 기운을 북돋운다.
택사와 복령은 소변을 잘 보게 하고 습을 끌어낸다.

귤피는 쓰고 따뜻하여 기운을 북돋우고 중초를 고르게 한다.
신곡은 음식을 소화시키고 위 속에 막힌 기를 쓸어낸다.
맥아는 중초를 풀어주고 위기를 돕는다.
건강은 맵고 뜨거워 중초의 찬 기운을 몰아낸다. 황백은 아주 쓰고 찬데

술에 씻어서 쓰면 겨울에 소양(少陽) 상화(相火)가 재천(在泉)하여하초(下焦)의

신화(腎火) 때문에 건조해지는 것조증(躁症)이 생기는 것을 치료한다(동원). 


[半夏白朮天麻湯][반하백출천마탕]

治脾胃虛弱 痰厥頭痛 其證 頭苦痛如裂

身重如山 四肢闕冷 嘔吐 眩暈 目不敢開 如在風寒中

半夏製 陳皮 麥芽炒 各6g

白朮 神麴炒 各4g

蒼朮 黃芪 人蔘 天麻 白茯苓 澤瀉 各2g

乾薑 黃栢酒洗 各1g

剉作一貼 薑五片 水煎服(東垣).

비위(脾胃)가 허약하여 담궐두통이 생겨 머리가 터지는 것같이 심히 아프고

온몸이 몹시 무거우며 팔다리가 싸늘하고 토하며 어지럽고

눈을 뜰 수 없으며 마치 바람이 불고 구름이 낀 속에 있는 것 같은 것을 치료한다.

끼무릇(반하, 법제한것), 귤껍질(陳皮), 보리길금(맥아, 닦은 것) 각각 6g,

흰삽주(백출), 약누룩(신국, 닦은 것) 각각 4g,

삽주(창출), 인삼, 단너삼(황기), 천마, 흰솔풍령(백복령), 택사 각각 2g,

건강 1.2g,

황백(술에 씻은 것) 0.8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5쪽과 함께 물에 달여 먹는다[동원].


[半夏白朮天麻湯][반하백출천마탕]

頭痛 苦甚 謂之 足太陰 痰厥頭痛,

非半夏 不能療, 眼黑頭旋 風虛內作 非天麻不能除,

黃芪 甘溫 瀉火補元氣 實表虛 止自汗,

人蔘 甘溫瀉火 補中益氣, 二朮 俱苦甘溫 益氣 調中,

神麴 消食 蕩胃中滯氣, 大麥蘗 寬中助胃氣, 乾薑辛熱 以滌中寒,

黃栢 大苦寒酒洗 以療冬天 小火在泉 發燥也(東垣).

머리가 몹시 아픈 것은 족태음(足太陰)에 담궐(痰厥)이 있어서 생긴 통증이다.

이런 것은 끼무릇(반하)을 쓰지 않으면 치료할 수 없다.

그리고 눈 앞이 캄캄해지며 머리가 어지러운 것은

풍허증(風虛證)이 속에 생긴 것이므로 천마가 아니면 없앨 수 없다.

황기는 맛이 달고 성질이 따뜻하며 평()한데 화()를 사()하고

원기(元氣)를 보()하며 표()가 허()한 것을 실()하게 하고

저절로 땀나는 것을 멎게 한다.

인삼은 맛이 달고 성질이 따뜻하고 평한데 화를 사하고

중기()를 보하며 기운()을 도와준다[].

삽주(창출)와 희삽주(백출)는 모두 맛이 쓰면서 달고

성질이 따뜻하고 평한데 습()을 없애고 중초(中焦)를 보하며 기를 도와준다.

택사와 솔풍령(복령)은 오줌을 잘 나가게 하여 습을 없앤다.

귤껍질(陳皮)은 맛이 쓰고 성질이 따뜻하며 평한데 기를 보하고

중초를 고르롭게[調] 한다.

약누룩(신국)은 음식을 소화시켜 체한 것을 없애고

보리길금(麥蘖)은 속을 시원하게[寬中] 하며 위기(胃氣)를 돕는다.

건강은 맛이 맵고 성질이 덥기 때문에 속이 찬 것을 없앤다[滌中寒].

황백은 맛이 몹시 쓰고 성질이 찬데 이것을 술에 씻어서 쓰면

겨울에 소양상화(少陽相火)가 재천(在泉)이 되어 생긴 조증(燥證)을 낫게 한다[동원]  



'[處方箋] > [處方湯]' 카테고리의 다른 글

[半夏瀉心湯][반하사심탕]  (0) 2019.01.17
[半夏茯苓湯][반하복령탕]  (0) 2019.01.17
[半夏芩朮湯][반하금출탕]  (0) 2019.01.17
[半夏桂甘湯][반하계감탕]  (0) 2019.01.17
[半溫半熱湯][반온반열탕]   (0) 2019.01.17

[半夏芩朮湯][반하금출탕]
治痰飮臂痛不能擧.
半夏, 蒼朮 各一錢半,
片芩 酒炒, 白朮, 南星 炮, 香附子 各七分,
陳皮, 赤茯苓 各五分,
威靈仙, 甘草 各三分.
右剉作一貼, 薑五片, 水煎服[正傳].
담음으로 팔이 아파서 들지 못하는 것을 치료한다.
반하, 창출 각 한 돈 반,
황금(술에 축여 볶은 것), 백출, 남성(싸서 구운 것), 향부자 각 일곱 푼,
진피, 적복령 각 닷 푼,
위령선, 감초 각 서 푼.
위의 약들을 썰어 한 첩으로 하여 생강 다섯 쪽을 넣고 물에 달여 먹는다(정전).

[半夏桂甘湯][반하계감탕]
治腎傷寒咽痛.
半夏 薑製, 桂枝, 甘草 各二錢.
右剉作一貼, 入薑五片, 同煎, 候冷徐徐呷之[活人].
신상한으로 목구멍이 아픈 것을 치료한다.
반하(생강으로 법제한 것), 계지, 감초 각 두 돈.
위의 약들을 썰어 한 첩으로 하여 생강 다섯 쪽을 넣고 물에 달여 식혀서 천천히 먹는다(활인).

[半溫半熱湯][반온반열탕]
治酒疸
半夏 赤茯苓 白朮 各4g
前胡 枳殼 大戟 甘草 各3g
黃芩 當歸 茵陳 各2g.
剉作一貼 薑三片 水煎服(活人).
주달을 치료한다.
끼무릇(반하), 벌건솔풍령(적복령), 흰삽주(백출) 각각 4g,
전호, 지각, 버들옻(대극), 감초 각각 2.8g,
속썩은풀(황금), 당귀, 더위지기(인진) 각각 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3쪽과 함께 물에 달여 먹는다[활인].

'[處方箋] > [處方湯]' 카테고리의 다른 글

[半夏芩朮湯][반하금출탕]  (0) 2019.01.17
[半夏桂甘湯][반하계감탕]  (0) 2019.01.17
[半生半熱湯][반생반숙탕]   (0) 2019.01.17
[木香化滯湯][목향화체탕]   (0) 2019.01.17
[木香湯][목향탕]  (0) 2019.01.17

[半生半熱湯][반생반숙탕]

卽百沸湯 與新汲水各一椀 相和飮之 卽吐

名曰 [陰陽湯](本草).

이것은 펄펄 끓는 물과 새로 길어온 물을 절반씩 섞은 것인데

마시면 곧 토하게 된다.

이것을 음양탕(陰陽湯)이라고도 한다[본초].

'[處方箋] > [處方湯]' 카테고리의 다른 글

[半夏桂甘湯][반하계감탕]  (0) 2019.01.17
[半溫半熱湯][반온반열탕]   (0) 2019.01.17
[木香化滯湯][목향화체탕]   (0) 2019.01.17
[木香湯][목향탕]  (0) 2019.01.17
[木香導氣湯][목향도기탕]  (0) 2019.01.17

[木香化滯湯][목향화체탕]
治因憂食麪 心下痞滿 作痛.
半夏6g
草豆蔲 甘草 各4g
柴胡3g
陳皮 乾生薑 木香 當歸尾 枳實 各2g
酒紅花少許.
剉作一貼 薑五 水煎服(東垣).
근심하면서 국수를 먹은 탓으로 명치 밑이 트릿하고
그득하면서 아픈 것을 치료한다.
끼무릇(반하) 6g,
초두구, 감초 각각 4g,
시호 2.8g,
귤껍질(陳皮), 생강(말린 것), 목향 각각 2.4g,
당귀(잔뿌리), 지실 각각 1.6g,
잇꽃(홍화, 술로 법제한 것) 0.4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5쪽과 함께 물에 넣고 달여 먹는다[동원].

'[處方箋] > [處方湯]' 카테고리의 다른 글

[半溫半熱湯][반온반열탕]   (0) 2019.01.17
[半生半熱湯][반생반숙탕]   (0) 2019.01.17
[木香湯][목향탕]  (0) 2019.01.17
[木香導氣湯][목향도기탕]  (0) 2019.01.17
[木通湯][목통탕]  (0) 2019.01.17

[木香湯][목향탕]
治冷淋, 小便淋澁, 身體淸冷.
木通, 木香, 當歸, 白芍藥, 靑皮, 茴香, 檳榔, 澤瀉, 陳皮, 甘草 各七分,
肉桂 三分.
右剉作一貼, 入薑五片, 空心水煎服[直指].
냉림으로 오줌이 찔끔찔끔 나오면서 껄끄럽고 몸이 찬 것을 치료한다.
목통, 목향, 당귀, 백작약, 청피, 회향, 빈랑, 택사, 진피, 감초 각 일곱 푼,
육계 서 푼.
위의 약들을 썰어 한 첩으로 하여, 생강 다섯 쪽을 넣고 물에 달여 빈속에 먹는다(직지).

'[處方箋] > [處方湯]' 카테고리의 다른 글

[半生半熱湯][반생반숙탕]   (0) 2019.01.17
[木香化滯湯][목향화체탕]   (0) 2019.01.17
[木香導氣湯][목향도기탕]  (0) 2019.01.17
[木通湯][목통탕]  (0) 2019.01.17
[木萸湯][목유탕]  (0) 2019.01.17

[木香導氣湯][목향도기탕]
治痢初起腹痛, 裏急後重, 赤白相雜, 發熱噤口.
大黃 一錢半,
白芍藥, 朴硝, 黃連 各一錢二分,
厚朴, 檳榔 各一錢,
當歸尾, 赤茯苓 各八分.
右剉, 作一貼, 水煎服[醫鑑].
이질이 처음 생길 때 배가 아프고, 뱃속이 당기듯 아프고 뒤가 무직하며,

피고름이 섞여나오고 열이 나면서 이를 악다무는[噤口] 것을 치료한다.
대황 한 돈 반,
백작약, 박초, 황련 각 한 돈 두 푼,
후박, 빈랑 각 한 돈,
당귀미, 적복령 각 여덟 푼.
위의 약들을 썰어 한 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먹는다(의감).

'[處方箋] > [處方湯]' 카테고리의 다른 글

[木香化滯湯][목향화체탕]   (0) 2019.01.17
[木香湯][목향탕]  (0) 2019.01.17
[木通湯][목통탕]  (0) 2019.01.17
[木萸湯][목유탕]  (0) 2019.01.17
[牡丹皮湯][목단피탕]  (0) 2019.01.16

[神通飮][신통음]
治歷節風
木通80g
剉細 長流水 煎湯 頓服 空心(正傳).
一人 因風濕 得白虎歷節風 遍身疼痛 足不履地者 三年
百方不效 一日 夢與木通湯 愈遂 服此藥 服後 遍身痒甚
上體發紅丹 如小豆大 隨手沒去出汗 至腰而止 上體不痛矣
次日 又如前煎服 下體 又 發紅丹 汗出至足而無痛 後治數人 皆驗.
一名 [木通湯] (正傳).
역절풍(歷節風)을 치료한다.
으름덩굴(목통) 80g.
위의 약을 잘게 썰어서 강물에 달여 빈속에 단번에 먹는다[정전].
어떤 사람이 풍습(風濕)이 침범하여 백호역절풍(白虎歷節風)이 생겼다.
그리하여 여러가지 처방으로 치료하였으나 효과가 없었다.
어느 날 누가 목통탕을 주는 것을 먹고 병이 낫는 꿈을 꾸었다.
그 후에 이 약을 먹으니 온몸이 몹시 가렵고 몸 웃도리에 벌건 반진이 돋았다가
곧 없어지고 땀이 허리까지 나다가 멎었고 몸웃도리가 아프지 않았다.
다음날 다시 먼저 쓰던 방법대로 달여 먹었더니 몸아랫도리에
또 벌건 반진이 내돋고 땀이 발에까지 나고는 아프지 않았다.
후에 몇 사람을 치료하였는데 다 효과가 있었다.
일명 목통탕(木通湯)이라고도 한다[정전].

'[處方箋] > [處方湯]' 카테고리의 다른 글

[木香湯][목향탕]  (0) 2019.01.17
[木香導氣湯][목향도기탕]  (0) 2019.01.17
[木萸湯][목유탕]  (0) 2019.01.17
[牡丹皮湯][목단피탕]  (0) 2019.01.16
[茅根湯][모근탕]   (0) 2019.01.16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