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白芷升麻湯][백지승마탕]
治臂癰
黃芪 酒芩 各16g
生黃芩12g 白芷6g
升麻 桔梗 連翹 各4g
酒紅花 甘草 各2g
剉分二貼 每取一貼 酒水各半 煎服(東垣).
비옹을 치료한다.
단너삼(황기), 속썩은풀(황금, 술로 법제한 것) 각각 16g,
속썩은풀(황금, 생것) 12g, 구릿대(백지) 6g,
승마, 도라지(길경), 연교 각각 4g,
잇꽃(홍화, 술로 법제한 것), 감초 각각 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2첩으로 나눈다.
한번에 1첩씩 술과 물을 절반씩 섞은 데 넣고 달여 먹는다[동원].

'[處方箋] > [處方湯]' 카테고리의 다른 글

[白朮防風湯][백출방풍탕]   (0) 2019.01.17
[白芷湯][백지탕]  (0) 2019.01.17
[柏葉湯][백엽탕]  (0) 2019.01.17
[白薇湯][백미탕]   (0) 2019.01.17
[白茅湯][백모탕]  (0) 2019.01.17

[柏葉湯][백엽탕]
治腸風.
側柏葉, 當歸, 生乾地黃, 黃連, 荊芥穗, 枳殼, 槐花 炒, 地楡 各一錢,
甘草 灸 五分.
右剉作一貼, 薑三片烏梅一箇, 同煎服[回春].
장풍을 치료한다.
측백엽, 당귀, 건지황, 황련, 형개수, 지각, 괴화(볶은 것), 지유 각 한 돈,
감초(구운 것) 닷 푼.
위의 약들을 썰어 한 첩으로 하여 생강 세 쪽, 오매 한 개를 넣고 같이 달여 먹는다(회춘).

'[處方箋] > [處方湯]' 카테고리의 다른 글

[白芷湯][백지탕]  (0) 2019.01.17
[白芷升麻湯][백지승마탕]   (0) 2019.01.17
[白薇湯][백미탕]   (0) 2019.01.17
[白茅湯][백모탕]  (0) 2019.01.17
[白頭翁湯][백두옹탕]   (0) 2019.01.17

[白薇湯][백미탕]
治鬱冒
白薇 當歸 各40g
人參20g 

甘草10g,
爲粗末 每20g水煎 溫服(本事).
백미, 당귀 각각 40g,

인삼 20g,

감초 10g.
위의 약들을 거칠게 가루내어 한번에 20g씩
물에 달여 따뜻하게 해서 먹는다[본사].

'[處方箋] > [處方湯]' 카테고리의 다른 글

[白芷升麻湯][백지승마탕]   (0) 2019.01.17
[柏葉湯][백엽탕]  (0) 2019.01.17
[白茅湯][백모탕]  (0) 2019.01.17
[白頭翁湯][백두옹탕]   (0) 2019.01.17
[防風湯][방풍탕]  (0) 2019.01.17

[白茅湯][백모탕]
治婦人産後諸淋. 無問膏石冷熱, 皆治之.
白茅根 五錢,

瞿麥, 白茯苓 各二錢半,
葵子, 人蔘 各一錢二分半,
蒲黃, 桃膠, 滑石 各七分,
甘草 五分,
紫貝 二箇煅,
石首魚頭中骨 四箇 煅.
右剉分二貼, 入薑三片燈心二十莖, 空心水煎服[入門].
출산 후에 생기는 부인의 여러 임병을 치료하는데,

고림, 석림, 냉림, 열림을 가리지 않고 모두 치료한다.
백모근 다섯 돈,
구맥, 백복령 각 두 돈 반,
규자, 인삼 각 한 돈 두 푼 반,
포황, 도교, 활석 각 일곱 푼,
감초 다섯 푼,
자패 두 개(불에 달군다),
조기 머리뼈 네 개(불에 달군다).
위의 약들을 썰어 두 첩으로 나누고,

생강 세 쪽과 등심 스무 뿌리를 넣어 물에 달여 빈속에 먹는다(입문).
或爲末, 每二錢, 木通湯調下.
가루로 만들어 두 돈씩 목통 달인 물에 타서 먹기도 한다.

'[處方箋] > [處方湯]' 카테고리의 다른 글

[柏葉湯][백엽탕]  (0) 2019.01.17
[白薇湯][백미탕]   (0) 2019.01.17
[白頭翁湯][백두옹탕]   (0) 2019.01.17
[防風湯][방풍탕]  (0) 2019.01.17
[防風沖和湯][방풍충화탕]   (0) 2019.01.17

[白頭翁湯][백두옹탕]
治少陰病 下利 欲飮水 以有熱 故也 宜用此
白頭翁 黃栢 秦皮 黃連 各6g
剉作一貼 水煎服 且治挾熱下利 後重而渴(入門).
소음병으로 설사가 나고 물만 마시려고 하는 것을 치료한다.
이것은 열이 있기 때문이다.
할미꽃뿌리(백두옹), 황백, 물푸레껍질(秦皮), 황련 각각 6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먹는다.
그리고 열을 껴서[挾] 설사가 나고 뒤가 무직하며
갈증이 나는 것도 치료한다[입문].

'[處方箋] > [處方湯]' 카테고리의 다른 글

[白薇湯][백미탕]   (0) 2019.01.17
[白茅湯][백모탕]  (0) 2019.01.17
[防風湯][방풍탕]  (0) 2019.01.17
[防風沖和湯][방풍충화탕]   (0) 2019.01.17
[防風芍藥湯][방풍작약탕]   (0) 2019.01.17

[防風湯][방풍탕]
治鼻淵, 濁涕下不止.
防風 二兩,
酒炒片芩, 人蔘, 川芎, 麥門冬, 甘草 灸 各一兩.
右細末, 每二錢, 沸湯, 點服食後日三.

或剉取七錢, 水煎服, 亦可[河間].
비연증으로 누런 콧물이 그치지 않고 흐르는 것을 치료한다.
방풍 두 냥,
황금(술에 축여 볶은 것), 인삼, 천궁, 맥문동, 감초(구운 것) 각 한 냥.
위의 약들을 곱게 가루내어 하루 세 번 식후에 두 돈씩 끓인 물로 먹는다.
또는 썰어서 일곱 돈씩 물에 달여 먹어도 좋다(하문).

[防風湯][방풍탕]
治 鼻淵 濁涕下不止
防風80g,
酒炒片芩, 人參, 川芎, 麥門冬, 甘草灸 各40g
細末 每8g沸湯點服 食後日三 或剉取28g 水煎服亦可(河間).
비연증(鼻淵證)으로 탁한 콧물이 계속 나오는 것을 치료한다.
방풍 80g,
속썩은풀(황금, 술에 축여 볶은 것),
인삼, 궁궁이(천궁), 맥문동, 감초(닦은 것) 각각 40g.
위의 약들을 보드랍게 가루를 내어 한번에 8g을 끼니 뒤에
끓인 물로 먹는데 조금씩 여러 번 나누어 먹는다.
하루 세번 쓴다.
또한 썰어서 28g씩 물에 달여 먹어도 좋다[하간].

'[處方箋] > [處方湯]' 카테고리의 다른 글

[白茅湯][백모탕]  (0) 2019.01.17
[白頭翁湯][백두옹탕]   (0) 2019.01.17
[防風沖和湯][방풍충화탕]   (0) 2019.01.17
[防風芍藥湯][방풍작약탕]   (0) 2019.01.17
[防風溫膽湯][방풍온담탕]   (0) 2019.01.17

[防風沖和湯][방풍충화탕]
治春夏秋 感冒風寒 頭痛 身熱 自汗 惡寒 脈浮緩
羗活 防風 各6g
白朮 川芎 白芷 生地黃 黃芩 各4g
細辛 甘草 各2g
剉作 入薑三葱三.煎服.
一名 [加減冲和湯]
봄과 여름, 가을에 풍한감모(風寒感冒)로 머리가 아프고 몸에서 열이 나며
저절로 땀이 나고 오한이 나며 맥이 부완(浮緩)한 것을 치료한다.
강호리(강활), 방풍 각각 6g,
흰삽주(백출), 궁궁이(천궁), 구릿대(백지), 생지황, 속썩은풀(황금) 각각 4g,
족두리풀(세신), 감초 각각 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생강 3쪽, 파밑(총백) 3대와 함께 물에 넣고 달여 먹는다.
일명 가감충화탕(加減 和湯)이라고도 한다.

'[處方箋] > [處方湯]' 카테고리의 다른 글

[白頭翁湯][백두옹탕]   (0) 2019.01.17
[防風湯][방풍탕]  (0) 2019.01.17
[防風芍藥湯][방풍작약탕]   (0) 2019.01.17
[防風溫膽湯][방풍온담탕]   (0) 2019.01.17
[防風白朮牡蠣湯][방풍백출모려탕]   (0) 2019.01.17

[防風芍藥湯][방풍작약탕]
治飱泄, 身熱脈弦, 腹痛而渴.
防風, 白芍藥 各二錢,
黃芩 一錢.
右剉, 水煎服[東垣].
손설이 있으면서 열이 나고 맥이 현(弦)하며, 배가 아프면서 갈증이 나는 것을 치료한다.
방풍, 백작약 각 두 돈,
황금 한 돈.
위의 약들을 썰어 물에 달여 먹는다(동원).

[防風芍藥湯][방풍작약탕]
治飱泄 身熱 脈弦 腹痛而渴
防風 白芍藥 各80g,
黃芩4g
爲剉 水煎服(東垣).
손설이 있으면서 몸에 열이 나고 맥이 현(弦)하며
배가 아프고 목이 마른 것을 치료한다.
방풍, 집함박꽃뿌리(백작약) 각각 8g,
속썩은풀(황금) 4g.
위의 약들을 썰어서 물에 달여 먹는다[동원].

[防風溫膽湯][방풍온담탕]
治驚風消痰 踈風順氣
半夏 枳殼 赤茯苓 各2g
陳皮 防風 人參 各1.5g 

甘草1g
爲剉作一貼 入生薑一片 紫蘇2葉 煎水調下 [大驚元] [小驚元] 服之(得效).
경풍을 치료하는데 담을 삭히고 풍을 없애며 기를 잘 돌게 한다.
끼무릇(반하), 지각, 벌건솔풍령(적복령) 각각 2g,
귤껍질(陳皮), 방풍, 인삼 1.5g,

감초 1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1쪽,
차조기잎(자소엽) 2잎과 함께 달인 물에

대경원(大驚元)이나 소경원(小驚元)을 풀어 먹인다[득효].

[防風白朮牡蠣湯][방풍백출모려탕]
治動氣 誤發汗 筋惕肉瞤
防風 牡蠣粉 白朮 各等分
爲末 每8g 酒或米飮調下 日2~3(仲景).
동기(動氣) 때에 잘못 땀을 내어 힘살이 푸들거리는 것을 치료한다.
방풍, 굴조개껍질(모려), 흰삽주(백출) 각각 같은 양.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한번에 8g씩 술
또는 미음에 타서 하루에 두세번 먹는다[중경].

'[處方箋] > [處方湯]' 카테고리의 다른 글

[防風芍藥湯][방풍작약탕]   (0) 2019.01.17
[防風溫膽湯][방풍온담탕]   (0) 2019.01.17
[防己黃芪湯][방기황기탕]  (0) 2019.01.17
[防己湯][방기탕]   (0) 2019.01.17
[防己茯苓湯][방기복령탕]  (0) 2019.01.17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