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補益養榮湯][보익양영탕]
治虛勞 氣血俱損 及五勞七傷.
熟地黃6g
當歸身 白芍藥 白茯苓 白朮 陳皮 各4g
川芎 人參 知母 黃栢 甘草2g  五味子9粒.
剉作一貼 入薑三片 水煎服(集略).
허로로 기혈이 다 허손된 것과 5로 7상(五勞七傷)을 치료한다.
찐지황(숙지황) 6g, 당귀 4.8g,
집함박꽃뿌리(백작약), 흰솔풍령(백복령), 흰삽주(백출), 귤껍질(陳皮) 각각 4g,
궁궁이(천궁), 인삼, 지모 각각 3.2g, 황백 2.8g, 감초 2g, 오미자 9알.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3쪽과 함께 물에 달여 먹는다[집략].

'[處方箋] > [處方湯]' 카테고리의 다른 글

[補中益氣湯][보중익기탕]  (0) 2019.01.18
[保精湯][보정탕]  (2) 2019.01.18
[補陰湯][보음탕]  (0) 2019.01.18
[補陰瀉火湯][보음사화탕]   (0) 2019.01.18
[黃芪湯][보원탕]  (0) 2019.01.18

[淸火補陰湯][청화보음탕]
治虛火上升 喉痛喉閉 或生瘡
玄參8g
熟地黃 白芍藥 各4g
當歸 川芎 黃栢童便炒 知母生 天花粉 甘草 各3g
剉作一貼 水煎 入竹瀝3匙 溫服(醫鑒).
喉乾燥痛 [四物湯] 加桔梗 荊芥 黃栢 知母煎服立已(正傳).
허화가 떠올라서 목 안이 아프거나 막힌 것과 헌데가 생긴 것을 치료한다.
현삼 8g,
집함박꽃뿌리(백작약), 숙지황 각각 4g,
당귀, 궁궁이(천궁), 황백(동변에 축여 볶은 것),
지모, 하늘타리뿌리(과루근), 감초 각각 2.8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인 다음
참대기름(죽력) 3숟가락을 넣어서 따뜻하게 하여 먹는다[의감].
후두가 마르고 아플 때에는 사물탕(四物湯)에
도라지(길경), 형개, 황백, 지모를 넣어서 달여 먹으면 곧 낫는다[정전].

[瀉陽補陰湯][사양보음탕]
治酒色過度 妄泄眞陰 以致陰虛火動.
黃栢塩水炒6g
天門冬 貝母 黃連薑汁炒各 4g
杏仁3g
知母 生地黃 紫菀 赤芍藥 天花粉 桔梗 片芩 當歸 白茯苓 各2g
白朮1g 五味子9枚
剉作一貼 入梅1個 燈心一撮 同煎服.
卽東實西虛 瀉南補北湯也(醫鑑).
지나친 주색으로 진음(眞陰)을 허투루 배설하여
음이 허해지고 화(火)가 동한 것을 치료한다.
황백(소금물로 축여 볶은 것) 6g,
천문동, 패모, 황련(생강즙으로 축여 볶은 것) 각각 4g,
살구씨(행인) 3g,
지모, 생지황 각각 2.8g,
개미취(자원), 함박꽃뿌리(적작약) 각각 2.4g,
하늘타리뿌리(천화분), 도라지(길경), 속썩은풀(편금),
당귀, 흰솔풍령(백복령) 각각 2g,
흰삽주(백출) 1g, 오미자 9알.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오매 1알,
골풀속살 한자밤과 함께 달여 먹는다.
이것은 즉 동실서허사남보북탕(東實西虛瀉南補北湯)이다[의감].

'[處方箋] > [處方湯]' 카테고리의 다른 글

[保精湯][보정탕]  (2) 2019.01.18
[補益養榮湯][보익양영탕]   (0) 2019.01.18
[補陰瀉火湯][보음사화탕]   (0) 2019.01.18
[黃芪湯][보원탕]  (0) 2019.01.18
[補榮湯][보영탕]  (0) 2019.01.18

[補陰瀉火湯][보음사화탕]
治陰虛火動 潮熱盜汗 痰嗽咯血 脈沈數 肌肉消瘦
白芍藥 當歸 白朮 各6g
川芎 熟地黃 知母蜜炒 天門冬 各4g
黃栢蜜炒 陳皮 各3g
生地黃酒洗 甘草灸 各2g, 乾薑炒紫色1g
剉作一貼 入薑三片 水煎服(明醫).
一方, 無白朮 名[補陰散] 朮雖云在血從血 在氣從氣,
其實 不可與腎經藥同用,
王節齊 以白朮 入補陰內用 恐高明者 亦未及悟也 宜去之(集略)
음이 허하여 화가 동한 데로부터 조열(潮熱)과 식은땀이 나며 가래가 끓고
기침하며 각혈( 血)하고 맥이 침삭(沈數)하며 살이 몹시 빠진 것을 치료한다.
집함박꽃뿌리(백작약), 당귀, 흰삽주(백출) 각각 5.2g,
궁궁이(천궁), 찐지황(숙지황), 지모(꿀을 발라 볶은 것), 천문동 각각 4g,
황백(꿀을 발라 볶은 것), 귤껍질(陳皮) 각각 2.8g,
생지황(술로 씻은 것), 감초(닦은 것) 각각 2g,
건강(자줏빛이 나게 닦은 것) 1.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3쪽과 함께 물에 넣고 달여 먹는다[명의].
어떤 책에는 흰삽주(백출)를 빼고 이름은 보음산(補陰散)이라 하였다.
흰삽주(백출)가 혈(血)에 가면 혈을 따르고 기(氣)에 가면 기를 따른다고 하나
사실은 신경약과는 같이 쓸 수 없다.
왕절재(王節齋)가 흰삽주(백출)를 보음약에 넣어 쓴 것은 고명한 사람이라도
잘 알지 못하고 한 것이므로 반드시 빼고 써야 할 것이다[집략].

'[處方箋] > [處方湯]' 카테고리의 다른 글

[補益養榮湯][보익양영탕]   (0) 2019.01.18
[補陰湯][보음탕]  (0) 2019.01.18
[黃芪湯][보원탕]  (0) 2019.01.18
[補榮湯][보영탕]  (0) 2019.01.18
[補陽湯][보양탕]  (0) 2019.01.18

[黃芪湯][보원탕]
治慢驚風大便泄靑色
黃芪二錢, 人參一錢, 甘草灸五分
右作一貼 水煎服 加 白芍藥一錢 尤妙
此證 風木 旺必剋 脾土 宜先實其土後瀉其木是爲神治之法
一名 [保元湯] [東垣]
만경풍으로 푸른 빛의 설사를 하는 것을 치료한다.
단너삼(황기) 8g, 인삼 4g, 감초(닦은 것) 2g.
위의 약들을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먹인다.
집함박꽃뿌리(백작약) 4g을 넣어 쓰면 더욱 좋다.
이 증에 풍목(風木)이 왕성하면 반드시 비토(脾土)를 억누르므로 먼저
그 비토를 실하게 하고 그 다음 간목(肝木)을 사하여야 한다.
이것이 좋은 치료법이다.
일명 보원탕(保元湯)이라고도 한다[동원].

'[處方箋] > [處方湯]' 카테고리의 다른 글

[補陰湯][보음탕]  (0) 2019.01.18
[補陰瀉火湯][보음사화탕]   (0) 2019.01.18
[補榮湯][보영탕]  (0) 2019.01.18
[補陽湯][보양탕]  (0) 2019.01.18
[補腎湯][보신탕]  (0) 2019.01.18

[補榮湯][보영탕]
通治諸失血.
當歸, 白芍藥, 生地黃, 熟地黃, 赤茯苓, 梔子仁, 麥門冬, 陳皮 各一錢,
人蔘, 甘草 各五分.
右剉作一貼, 棗二枚烏梅一箇, 水煎服[回春].
여러 가지 출혈을 두루 치료한다.
당귀, 백작약, 생지황, 숙지황, 적복령, 치자인, 맥문동, 진피 각 한 돈,
인삼, 감초 각 다섯 푼.
위의 약들을 썰어 한 첩으로 하여, 대추 두 개와 오매 한 개를 넣고 물에 달여 먹는다(회춘).

'[處方箋] > [處方湯]' 카테고리의 다른 글

[補陰瀉火湯][보음사화탕]   (0) 2019.01.18
[黃芪湯][보원탕]  (0) 2019.01.18
[補陽湯][보양탕]  (0) 2019.01.18
[補腎湯][보신탕]  (0) 2019.01.18
[保生湯][보생탕]   (0) 2019.01.18

[補陽湯][보양탕]
治膀胱肝腎經鬱遏, 不通於目, 靑白瞖見大眥.
柴胡 一錢半,
羌活, 獨活, 人蔘, 甘草, 熟地黃, 白朮, 黃芪 各五分,
澤瀉, 陳皮, 防風, 白芍藥, 生地黃, 白茯苓, 知母, 當歸 各三分,
肉桂 一分.
右剉作一貼, 空心, 水煎服.

淸晨服補陽湯, 臨臥服連柏益陰丸[東垣].
방광과 간, 신경(腎經)이 막혀 눈으로 통하지 못하여

푸르면서 흰빛을 띤 예막이 눈 안초리에 나타나는 것을 치료한다.
시호 한 돈 반,
강활, 독활, 인삼, 감초, 숙지황, 백출, 황기 각 닷 푼,
택사, 진피, 방풍, 백작약, 생지황, 백복령, 지모, 당귀 각 서 푼,
육계 한 푼.
위의 약들을 썰어 한 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빈속에 먹는다.
새벽에는 보양탕을 먹고, 저녁에는 연백익음환을 먹는다(동원).

'[處方箋] > [處方湯]' 카테고리의 다른 글

[黃芪湯][보원탕]  (0) 2019.01.18
[補榮湯][보영탕]  (0) 2019.01.18
[補腎湯][보신탕]  (0) 2019.01.18
[保生湯][보생탕]   (0) 2019.01.18
[補脾湯][보비탕]  (0) 2019.01.18

[補腎湯][보신탕]
治腎虛腰痛.
破故紙 炒, 茴香 鹽酒炒, 玄胡索, 牛膝 酒洗, 當歸 酒洗, 杜冲 酒炒, 黃柏, 知母 並鹽酒炒 各一錢.
右剉作一貼, 薑三片, 水煎, 空心服[醫鑑].
신이 허하여 허리가 아픈 것을 치료한다.
파고지(볶은 것), 회향(소금을 탄 술에 축여 볶은 것), 현호색, 우슬(술로 씻은 것),

당귀(술로 씻은 것), 두충(술에 축여 볶은 것), 황백,

지모(둘 다 소금을 탄 술에 축여 볶은 것) 각 한 돈.
위의 약들을 썰어 한 첩으로 하여 생강 세 쪽을 넣고 물에 달여 빈속에 먹는다(의감).

'[處方箋] > [處方湯]' 카테고리의 다른 글

[補榮湯][보영탕]  (0) 2019.01.18
[補陽湯][보양탕]  (0) 2019.01.18
[保生湯][보생탕]   (0) 2019.01.18
[補脾湯][보비탕]  (0) 2019.01.18
[補脾益眞湯][보비익진탕]   (0) 2019.01.18

[保生湯][보생탕]
治婦人 月經不行 身無病似病 脈滑大而 六脈俱勻 乃孕婦之脈也.
精神如故 惡聞食氣 或但嗜一物 或大吐 或時吐淸水 此名惡阻 宜服此,
白朮 香附子 烏藥 橘紅 各8g
人參 甘草 各4g
剉作一貼 薑三 煎服(良方).
월경이 끊어지고 몸에 병이 없는데 병맥(病脈)과 비슷한 맥이 나타나고
활대(滑大)하면서 6맥이 다 고르면 이것은 임신이 된 맥이다.
정신은 여전한데 밥냄새를 싫어한다.
혹 한 가지 음식만 좋아하거나 몹시 토하거나
때로 멀건 물을 토하는 것을 오조(惡阻)라고 하는데 이 약을 먹는 것이 좋다.
흰삽주(백출), 향부자, 오약, 귤홍 각각 8g, 인삼, 감초 각각 4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3쪽과 함께 달여 먹는다[양방].

'[處方箋] > [處方湯]' 카테고리의 다른 글

[補陽湯][보양탕]  (0) 2019.01.18
[補腎湯][보신탕]  (0) 2019.01.18
[補脾湯][보비탕]  (0) 2019.01.18
[補脾益眞湯][보비익진탕]   (0) 2019.01.18
[補氣湯][보기탕]  (0) 2019.01.18

[補脾湯][보비탕]
治脾藏虛冷, 嘔吐泄瀉, 飮食不消.
麥芽 炒, 甘草 灸 各一兩半,
人蔘, 白茯苓, 草果, 乾薑 炮 各一兩,
厚朴, 陳皮, 白朮 各七錢半.
右剉, 五錢水煎服[三因方].
비장이 허하고 차서 토하고 설사하며 음식이 소화되지 않는 것을 치료한다.
맥아(볶은 것), 감초(구운 것) 각 한 냥 반,
인삼, 백복령, 초과, 건강(싸서 구운 것) 각 한 냥,
후박, 진피, 백출 각 일곱 돈 반.
위의 약들을 썰어 다섯 돈씩 물에 달여 먹는다(삼인방).

[補脾湯][보비탕]
治脾臟虛冷 嘔吐 泄瀉 飮食不消
麥芽炒 甘草灸 各60g
人蔘 白茯苓 草果 乾薑炮 各40g
厚朴 陳皮 白朮 各30g
剉作20g 水煎服(三因方).
비장이 허랭하여 토[嘔吐]하고 설사하며 음식이 소화되지 않는 것을 치료한다.
보리길금(맥아, 닦은 것[炒]), 감초(닦은 것) 각각 60g,
인삼, 흰솔풍령(백복령), 초과, 건강(싸서 구운 것) 각각 40g,
후박, 귤껍질(橘皮), 흰삽주(백출) 각각 30g.
위의 약들을 썰어서 한번에 20g씩 물에 달여 먹는다[삼인방].

'[處方箋] > [處方湯]' 카테고리의 다른 글

[補腎湯][보신탕]  (0) 2019.01.18
[保生湯][보생탕]   (0) 2019.01.18
[補脾益眞湯][보비익진탕]   (0) 2019.01.18
[補氣湯][보기탕]  (0) 2019.01.18
[補氣養血湯][보기양혈탕]   (0) 2019.01.18

[補脾益眞湯][보비익진탕]
治慢脾風
丁香 木香 訶子皮 陳皮 厚朴 草果 肉荳蔲
白茯苓 人參 白朮 桂枝 半夏 附子炮 甘草灸各1g
全蝎炒一枚 爲剉 入薑二棗一 水煎灌服 服訖令揉心下以助藥力(綱目).
만비풍을 치료한다.
정향, 목향, 가자피(訶子皮), 귤껍질(陳皮), 후박, 초과, 육두구,
흰솔풍령(백복령), 인삼, 흰삽주(백출), 계지, 끼무릇(반하),
부자(싸서 구운 것), 감초(닦은 것) 각각 0.8g, 전갈(닦은 것) 1개.
위의 약들을 썰어서 생강 2쪽과 대추 1알과 함께 물에 넣고 달여 떠먹인다.
다 먹인 다음 명치 아래를 주물러서 약 기운을 도와준다[강목].

'[處方箋] > [處方湯]' 카테고리의 다른 글

[保生湯][보생탕]   (0) 2019.01.18
[補脾湯][보비탕]  (0) 2019.01.18
[補氣湯][보기탕]  (0) 2019.01.18
[補氣養血湯][보기양혈탕]   (0) 2019.01.18
[補氣生血湯][보기생혈탕]   (0) 2019.01.18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