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保和湯][보화탕]
治虛勞 勞嗽肺痿 唾膿血.
知母 貝母 天門冬 款冬花 各4g
麥門冬 天花粉 薏苡仁 杏仁 五味子 各3g
馬兜鈴 紫菀 百合 桔梗 阿膠 當歸 生乾地黃酒炒 各2g
紫蘇葉 薄荷 甘草 各1g.
剉作一貼 薑三片 煎至半 去滓 入飴糖一大匙 攪熔化 食後服 日三次.
허로와 허로로 나는 기침, 폐위로 피고름을 뱉는 것을 치료한다.
지모, 패모, 천문동, 관동화 각각 4g,
맥문동, 하늘타리뿌리(천화분), 율무쌀(의이인), 살구씨(행인), 오미자 각각 2.8g,
쥐방울(마두령), 개미취(자원), 나리(백합), 도라지(길경), 갖풀(아교),
당귀, 생건지황(술로 축여 볶은 것), 감초(닦은 것) 각각 1.4g,
차조기잎(자소엽), 박하 각각 0.8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3쪽과 함께 물에 넣고 달여
절반이 되면 짜서 엿 1숟가락을 넣고 녹여 하루에 두번씩 끼니 뒤에 먹는다.
血盛 加蒲黃 茜根 藕節,
혈이 많은 데는 부들꽃가루(포황), 꼭두서니(천초), 연뿌리(연근)를 더 넣는다.
痰盛 加南星 半夏 陳皮 枳殼 瓜蔞仁,
담이 성한 데는 천남성, 끼무릇(반하), 귤껍질(陳皮),
지각, 하늘타리씨(과루인)를 더 넣는다.
喘急 加桑白皮 葶藶子 陳皮
숨이 몹시 찰 때는 뽕나무뿌리껍질(상백피),
꽃다지씨(정력자), 귤껍질(陳皮)을 더 넣는다.
熱盛 加梔子 片芩 連翹,
열이 심한 데는 산치자, 속썩은풀(황금), 연교를 더 넣는다.
風盛 加荊芥 防風 金沸草,
풍이 성한 데는 방풍, 형개, 금비초를 더 넣는다.
寒盛 加人參 桂皮(新書).
한이 성한 데는 인삼, 계피를 더 넣는다[신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