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淸火補陰湯][청화보음탕]
治虛火上升 喉痛喉閉 或生瘡
玄參8g
熟地黃 白芍藥 各4g
當歸 川芎 黃栢童便炒 知母生 天花粉 甘草 各3g
剉作一貼 水煎 入竹瀝3匙 溫服(醫鑒).
喉乾燥痛 [四物湯] 加桔梗 荊芥 黃栢 知母煎服立已(正傳).
허화가 떠올라서 목 안이 아프거나 막힌 것과 헌데가 생긴 것을 치료한다.
현삼 8g,
집함박꽃뿌리(백작약), 숙지황 각각 4g,
당귀, 궁궁이(천궁), 황백(동변에 축여 볶은 것),
지모, 하늘타리뿌리(과루근), 감초 각각 2.8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인 다음
참대기름(죽력) 3숟가락을 넣어서 따뜻하게 하여 먹는다[의감].
후두가 마르고 아플 때에는 사물탕(四物湯)에
도라지(길경), 형개, 황백, 지모를 넣어서 달여 먹으면 곧 낫는다[정전].

[瀉陽補陰湯][사양보음탕]
治酒色過度 妄泄眞陰 以致陰虛火動.
黃栢塩水炒6g
天門冬 貝母 黃連薑汁炒各 4g
杏仁3g
知母 生地黃 紫菀 赤芍藥 天花粉 桔梗 片芩 當歸 白茯苓 各2g
白朮1g 五味子9枚
剉作一貼 入梅1個 燈心一撮 同煎服.
卽東實西虛 瀉南補北湯也(醫鑑).
지나친 주색으로 진음(眞陰)을 허투루 배설하여
음이 허해지고 화(火)가 동한 것을 치료한다.
황백(소금물로 축여 볶은 것) 6g,
천문동, 패모, 황련(생강즙으로 축여 볶은 것) 각각 4g,
살구씨(행인) 3g,
지모, 생지황 각각 2.8g,
개미취(자원), 함박꽃뿌리(적작약) 각각 2.4g,
하늘타리뿌리(천화분), 도라지(길경), 속썩은풀(편금),
당귀, 흰솔풍령(백복령) 각각 2g,
흰삽주(백출) 1g, 오미자 9알.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오매 1알,
골풀속살 한자밤과 함께 달여 먹는다.
이것은 즉 동실서허사남보북탕(東實西虛瀉南補北湯)이다[의감].

'[處方箋] > [處方湯]' 카테고리의 다른 글

[保精湯][보정탕]  (2) 2019.01.18
[補益養榮湯][보익양영탕]   (0) 2019.01.18
[補陰瀉火湯][보음사화탕]   (0) 2019.01.18
[黃芪湯][보원탕]  (0) 2019.01.18
[補榮湯][보영탕]  (0) 2019.01.18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