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補陰瀉火湯][보음사화탕]
治陰虛火動 潮熱盜汗 痰嗽咯血 脈沈數 肌肉消瘦
白芍藥 當歸 白朮 各6g
川芎 熟地黃 知母蜜炒 天門冬 各4g
黃栢蜜炒 陳皮 各3g
生地黃酒洗 甘草灸 各2g, 乾薑炒紫色1g
剉作一貼 入薑三片 水煎服(明醫).
一方, 無白朮 名[補陰散] 朮雖云在血從血 在氣從氣,
其實 不可與腎經藥同用,
王節齊 以白朮 入補陰內用 恐高明者 亦未及悟也 宜去之(集略)
음이 허하여 화가 동한 데로부터 조열(潮熱)과 식은땀이 나며 가래가 끓고
기침하며 각혈( 血)하고 맥이 침삭(沈數)하며 살이 몹시 빠진 것을 치료한다.
집함박꽃뿌리(백작약), 당귀, 흰삽주(백출) 각각 5.2g,
궁궁이(천궁), 찐지황(숙지황), 지모(꿀을 발라 볶은 것), 천문동 각각 4g,
황백(꿀을 발라 볶은 것), 귤껍질(陳皮) 각각 2.8g,
생지황(술로 씻은 것), 감초(닦은 것) 각각 2g,
건강(자줏빛이 나게 닦은 것) 1.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3쪽과 함께 물에 넣고 달여 먹는다[명의].
어떤 책에는 흰삽주(백출)를 빼고 이름은 보음산(補陰散)이라 하였다.
흰삽주(백출)가 혈(血)에 가면 혈을 따르고 기(氣)에 가면 기를 따른다고 하나
사실은 신경약과는 같이 쓸 수 없다.
왕절재(王節齋)가 흰삽주(백출)를 보음약에 넣어 쓴 것은 고명한 사람이라도
잘 알지 못하고 한 것이므로 반드시 빼고 써야 할 것이다[집략].

'[處方箋] > [處方湯]' 카테고리의 다른 글

[補益養榮湯][보익양영탕]   (0) 2019.01.18
[補陰湯][보음탕]  (0) 2019.01.18
[黃芪湯][보원탕]  (0) 2019.01.18
[補榮湯][보영탕]  (0) 2019.01.18
[補陽湯][보양탕]  (0) 2019.01.18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