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補中益氣湯][보중익기탕]
治勞役太甚或飮食失節身熱而煩自汗倦怠
黃妉一錢半人參白朮甘草 各一錢
當歸身陳皮各五分升麻柴胡 各三分
右犫作一貼水煎服[東垣]
힘든 일을 지나치게 하였거나 음식을 제때에 먹지 못하여
몸에 열이 나면서 답답하고 저절로 땀이 나며 나른한 것을 치료한다.
단너삼(황기) 6g, 인삼, 흰삽주(백출), 감초 각각 4g,
당귀, 귤껍질(陳皮) 각각 2g, 승마, 시호 각각 1.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먹는다[동원].
一方 黃妉一錢半 人參 白朮 陳皮 當歸 甘草 各一錢
升麻 柴胡 各五分 加 黃栢三分以滋腎水
紅花二分入心養血[醫鑑]
어떤 처방에는 단너삼(황기) 6g,
인삼, 흰삽주(백출), 귤껍질(陳皮), 당귀, 감초 각각 4g,
승마, 시호 각각 2g에 황백 1.2g을 더 넣어 신수(腎水)를 불쿠어 주며
잇꽃(홍화) 0.8g을 더 넣어 써서 심혈(心血)을 보하게 한다고 하였다[의감].
夫脾胃一虛肺氣先絶故用黃妉以益皮毛而閉独理不令自汗上喘氣短損其元氣用人參以補之心火乘脾用灸甘草之甘溫以瀉火熱而補胃中元氣若脾胃急痛腹中急縮者宜多用之此三味除濕熱煩熱之聖藥也白朮苦甘溫除胃中熱利腰臍間血升麻柴胡苦平味之薄者升胃中之淸氣又引黃妉甘草甘溫之氣味上升能補衛氣之散解而實其表又緩帶怴之縮急當歸以和血怴橘紅以理胸中之氣助陽氣上升以散滯氣此立方本旨也
비위(脾胃)가 허약하면 먼저 폐기(肺氣)가 끊어지므로
단너삼(황기)을 써서 피부를 보하고 주리( 理)를 막아서
저절로 땀이 나는 것을 멎게 해야 한다.
숨을 가쁘게 쉬는 것은 원기가 상한 것인데 이때는 인삼을 써서 보해야 한다.
그리고 심화(心火)가 비에 미칠 때에는 달고 성질이 따뜻한
감초(닦은 것)을 써서 화열(火熱)을 없애면서 위의 원기(元氣)를 보(補)해야 한다.
만일 비위가 심하게 아프고 배가 몹시 땅길 때에는 이 약을 많이 써야 한다.
이 3가지 약은 습열과 번열을 없애는 좋은 약이다.
흰삽주(백출)는 쓰고 달며 성질이 따뜻하여 위 속의 열을 없애며
허리와 배꼽 사이의 혈을 순조롭게 한다.
승마와 시호는 쓰고 성질이 평순하며 담박하여 위(胃) 속의
청기(淸氣)를 올라가게 하는 작용을 한다.
또한 단너삼(황기)과 감초는 달고 성질이 따뜻하여 청기를 위로 끌어올리고
흩어진 위기를 보하며 표(表)를 실하게 하고 늘어진 대맥(帶脈)을 줄어들게 한다.
당귀는 혈맥을 조화시키며 귤홍은 가슴속의 기를 고르게 하며
양기(陽氣)를 도와 위로 올라가게 하며 몰린 기를 헤친다.
이것이 이 처방의 약효이다.
凡脾胃不足之證須用升麻柴胡引脾胃中淸氣行於陽道及諸經生發陰陽之氣故凡治脾胃藥多以升陽補氣名之者此也[東垣]
대체로 비위의 기가 부족한 증에 반드시 승마와 시호를 쓰는 것은
비위 속의 청기(淸氣)를 이끌어 양의 부분에 가게 하고
모든 경맥에서 음양의 기를 생겨나게 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비위를 치료하는 약들은 흔히 승양보기(升陽補氣)라는 이름을 붙였다[동원].
'[處方箋] > [處方湯]' 카테고리의 다른 글
[補肺湯][보폐탕] (0) | 2019.01.18 |
---|---|
[保中湯][보중탕] (0) | 2019.01.18 |
[保精湯][보정탕] (2) | 2019.01.18 |
[補益養榮湯][보익양영탕] (0) | 2019.01.18 |
[補陰湯][보음탕] (0) | 2019.01.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