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敷和湯][부화탕]
半夏 五味子 枳實 白茯苓
訶子 乾薑炮 陳皮 甘草灸 各4g
剉作一貼 入棗二枚 水煎服(三因).
끼무릇(반하), 오미자, 지실, 흰솔풍령(백복령),
가자, 건강(싸서 구운 것), 귤껍질(陳皮), 감초(닦은 것) 각각 4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대추 2알과 함께 물에 달여 먹는다[삼인].

'[處方箋] > [處方湯]' 카테고리의 다른 글

[秘方養臟湯][비방양장탕]   (0) 2019.01.18
[奔豚湯][분돈탕]   (0) 2019.01.18
[附子湯][부자탕]   (0) 2019.01.18
[附子溫中湯][부자온중탕]  (0) 2019.01.18
[附子續命湯][부자속명탕]  (0) 2019.01.18

[附子湯][부자탕]
治風寒濕 合而爲痺 骨節疼痛 皮膚不仁 肌肉重着 四肢緩縱
附子生 白芍藥 桂皮 人蔘 白茯苓 甘草 各4g, 

白朮6g
剉作一貼 入薑7片 水煎服(三因).
풍, 한, 습의 사기로 생긴 비증으로 뼈마디가 아프고
피부에 감각이 없으며 몸이 무겁고 팔다리가 늘어지는 것을 치료한다.
부자(생것), 집함박꽃뿌리(백작약), 계피, 인삼, 흰솔풍령(백복령), 감초 각각 4g,
흰삽주(백출) 6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7쪽과 함께 물에 달여 먹는다[삼인].

[附子湯][부자탕]
治少陰病 脈沈 手足寒 骨節痛,
又治 口中和 背惡寒
白朮16g,
茯苓 芍藥 各12g,
附子炮 人蔘各8g,
爲剉, 分2貼 水煎溫服(入門).
소음병 때에 맥이 침(沈)하고 손발이 차며 뼈마디가 아픈 것과
입 안은 상하지 않고 잔등이 오싹오싹한 것을 치료한다.
흰삽주(백출) 16g, 흰솔풍령(백복령), 집함박꽃뿌리(작약) 각각 12g,
부자(싸서 구운 것), 인삼 각각 8g.
위의 약들을 썰어서 2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서 따뜻하게 하여 먹는다[입문].

'[處方箋] > [處方湯]' 카테고리의 다른 글

[奔豚湯][분돈탕]   (0) 2019.01.18
[敷和湯][부화탕]   (0) 2019.01.18
[附子溫中湯][부자온중탕]  (0) 2019.01.18
[附子續命湯][부자속명탕]  (0) 2019.01.18
[附子山茱萸湯][부자산수유탕]   (0) 2019.01.18

[附子溫中湯][부자온중탕]
治中寒腹痛泄瀉, 水穀不化.
附子 炮, 乾薑 炮 各一錢半,
人蔘, 白朮, 白茯苓, 白芍藥, 甘草 灸 各一錢,
厚朴, 草豆蔲 煨, 陳皮 各六分.
右剉作一貼, 水煎, 空心服[綱目].
속이 차서 배가 아프고 설사가 나며, 소화되지 않은 변이 나오는 것을 치료한다.
부자(싸서 구운 것), 건강(싸서 구운 것) 각 한 돈 반,
인삼, 백출, 백복령, 백작약, 감초(구운 것) 각 한 돈,
후박, 초두구(잿불에 묻어 구운 것), 진피 각 여섯 푼.
위의 약들을 썰어 한 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빈속에 먹는다(강목).

[附子溫中湯][부자온중탕]
治中寒腹痛 泄瀉 水穀不化
附子炮 乾薑炮 各6g,
人參 白朮 白茯苓 白芍藥 甘草灸 各4g
厚朴 草豆蔲煨 陳皮 各3g
剉作一貼 水煎 空心服(綱目).
속이 차서[中寒] 배가 아프고 설사가 나며
음식이 소화되지 않는 것을 치료한다.
부자(싸서 구운 것), 건강(싸서 구운 것) 6g,
인삼, 흰삽주(백출), 흰솔풍령(백복령), 집함박꽃뿌리(백작약),
감초(닦은 것) 각각 4g,
후박, 초두구(잿불에 묻어 구운 것), 귤껍질(陳皮) 각각 2.4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빈속에 물에 달여 먹는다[강목].

'[處方箋] > [處方湯]' 카테고리의 다른 글

[敷和湯][부화탕]   (0) 2019.01.18
[附子湯][부자탕]   (0) 2019.01.18
[附子續命湯][부자속명탕]  (0) 2019.01.18
[附子山茱萸湯][부자산수유탕]   (0) 2019.01.18
[附子瀉心湯][부자사심탕]   (0) 2019.01.18

[加減續命湯][가감속명탕]
治風中府今人不分表裏虛實故張易老授東垣以六經加減之法
풍(風)이 6부에 침범한 것을 치료한다.
지금 의사들이 표리(表裏)와 허실(虛實)을 잘 가리지 못하기 때문에
장역로(張易老)가 동원(東垣)에게 6경의 가감법[六經加減法]을 알려주었다.
太陽中風無汗惡寒[麻黃續命湯]主之本方倍麻黃防風杏仁
有汗惡風[桂枝續命湯]主之本方 倍 桂枝 芍藥 杏仁
태양중풍증(太陽中風證) 때 오한이 나면서 땀이 나지 않는 데는
마황속명탕을 주로 쓰는데 본방에 마황, 방풍, 살구씨(행인)를 곱으로 넣어 쓴다.
땀이 나면서 바람을 싫어하는 데는 계지속명탕을 주로 쓰는데
본방에 계지, 집함박꽃뿌리(작약), 살구씨(행인)를 곱으로 넣어 쓴다.
陽明中風無汗身熱不惡寒[白虎續命湯]主之
本方倍桂枝黃芩加葛根一錢四分
양명중풍증(陽明中風證) 때 몸에 열이 나고 땀이 나지 않으며
오한이 없으면 백호속명탕을 주로 쓰는데
본방에 계지, 속썩은풀(황금)을 곱으로 하고 칡뿌리(갈근) 5.6g을 넣어 쓴다.
太陰中風無汗身崣 [附子續命湯] 主之附子加一倍
甘草加二錢一分乾薑加七分
태음중풍증(太陰中風證)때 땀이 나지 않고 몸이 서늘하면
부자속명탕을 주로 쓰는데 부자는 곱으로 하고
감초는 8.4g, 건강은 2.8g을 넣는다.
少陰中風有汗無熱 [桂枝續命] 主之本方 倍 桂枝 附子 甘草
소음중풍증(少陰中風證) 때 땀이 나고 열이 없으면
계지속명탕을 주로 쓰는데 본방에 계지, 부자, 감초를 곱으로 넣는다.
六經混淆繫之於少陽厥陰或肢節攣痛或麻木不仁
宜 [羌活連翹續命] 主之本方一兩 加 羌活一錢 連翹一錢半[正傳]
6경이 혼란되어 소양병(少陽病)과 궐음병(厥陰病)이 얽혀서
혹 팔다리 뼈마디가 켕기면서[攣] 아프거나 감각이 둔해지면서 잘 쓰지 못하면
강활연교속명탕을 주로 쓰는데
본 처방 약재 40g에 강호리(강활) 8g, 연교 6g을 넣어 쓴다[정전].

'[處方箋] > [處方湯]' 카테고리의 다른 글

[附子湯][부자탕]   (0) 2019.01.18
[附子溫中湯][부자온중탕]  (0) 2019.01.18
[附子山茱萸湯][부자산수유탕]   (0) 2019.01.18
[附子瀉心湯][부자사심탕]   (0) 2019.01.18
[扶陽助胃湯][부양조위탕]  (0) 2019.01.18

[附子山茱萸湯][부자산수유탕]
民病腹痛 淸厥意不樂 肌肉痿 足痿 脚下痛 中滿食減 四肢不擧
附子炮 山茱萸 各6g,
半夏 肉豆久 各5g,
木瓜 烏梅 各4g,
丁香 藿香 各3g
剉作一貼 入薑七片 棗二枚 水煎服(三因).
부자(싸서 구운 것), 산수유 각각 6g,

끼무릇(반하), 육두구 각각 5g,
모과, 오매 각각 4g,

정향, 곽향 각각 3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7쪽,
대추 2알과 함께 물에 달여 먹는다[삼인].

'[處方箋] > [處方湯]' 카테고리의 다른 글

[附子溫中湯][부자온중탕]  (0) 2019.01.18
[附子續命湯][부자속명탕]  (0) 2019.01.18
[附子瀉心湯][부자사심탕]   (0) 2019.01.18
[扶陽助胃湯][부양조위탕]  (0) 2019.01.18
[復聰湯][복총탕]  (0) 2019.01.18

[附子瀉心湯][부자사심탕]
治 傷寒痞氣
大黃, 黃芩, 黃連.各8g,
附子炮8g, 別煮作汁,
爲 取百沸湯一盞入三味漬之,
良久去滓 納附子汁, 分溫再服(仲景)
대황, 황련, 속썩은풀(황금) 각각(썬 것) 8g,
부자(싸서 구운 것, 따로 달여 짜서 즙을 낸다) 8g.
끓는 물 1잔에 위의 3가지 약을 담근 다음 한참 있다가 짜서
찌꺼기를 버리고 부자 달인 물에 타서 두번에 나누어 따뜻하게 하여 먹는다[중경].

'[處方箋] > [處方湯]' 카테고리의 다른 글

[附子續命湯][부자속명탕]  (0) 2019.01.18
[附子山茱萸湯][부자산수유탕]   (0) 2019.01.18
[扶陽助胃湯][부양조위탕]  (0) 2019.01.18
[復聰湯][복총탕]  (0) 2019.01.18
[復元活血湯][복원활혈탕]   (0) 2019.01.18

[扶陽助胃湯][부양조위탕]
治胃脘當心而痛. 經曰, 寒氣客於腸胃之間, 則卒然痛, 得熱則已. 此藥主之.
附子 炮 二錢,

乾薑 炮 一錢半,

草豆蔲, 益智仁, 白芍藥 酒炒, 人蔘, 甘草 灸, 官桂 各一錢,

吳茱萸, 白朮, 陳皮 各五分.
右剉作一貼, 薑三片棗二枚, 水煎服[丹心].
위완(胃脘) 부위가 아픈 것을 치료한다.
내경에서는 "찬 기운이 장과 위 사이에 침입하여 들어가 있으면 갑자기 아프게 되는데,
따뜻하게 하면 낫는다"고 하였는데, 이런 병에는 이 약이 주치한다.
부자(싸서 구운 것) 두 돈,
건강(싸서 구운 것) 한 돈 반,
초두구, 익지인, 백작약(술에 축여 볶은 것), 인삼, 감초(구운 것), 육계 각 한 돈,
오수유, 백출, 진피 각 닷 푼.
위의 약들을 썰어 한 첩으로 하여 생강 세 쪽, 대추 두 개를 넣고 물에 달여 먹는다(단심).

[扶陽助胃湯][부양조위탕]
治 胃脘當心而痛
經曰“寒氣客於腸胃之間 則卒然痛 得熱則已”
此藥主之
附子炮8g,
乾薑炮6g,
吳茱萸 白朮 各2g.
草豆蔲 益智仁 白芍藥酒炒 人蔘 甘草灸 官桂 各4g
剉作一貼 薑三片棗二枚 水煎服(丹心).
가슴이 아픈 것처럼 위가 아픈 것을 치료한다.
내경에는 “찬 기운이 장위(腸胃)에 침범하면 갑자기 아프다”고 씌어 있다.
이러한 때 몸을 덥혀 주면 나으므로 주로 다음과 같은 약을 쓴다.
부자(싸서 구운 것) 8g,
오수유, 흰삽주(백출), 귤껍질(陳皮) 각각 2g.
건강(싸서 구운 것) 6g,
초두구, 익지인, 집함박꽃뿌리(백작약, 술로 축여 볶은 것),
인삼, 감초(닦은 것), 육계 각각 4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3쪽,
대추 2알과 함께 물에 넣고 달여 먹는다[단심].

'[處方箋] > [處方湯]' 카테고리의 다른 글

[附子山茱萸湯][부자산수유탕]   (0) 2019.01.18
[附子瀉心湯][부자사심탕]   (0) 2019.01.18
[復聰湯][복총탕]  (0) 2019.01.18
[復元活血湯][복원활혈탕]   (0) 2019.01.18
[茯神黃芪湯][복신황기탕]   (0) 2019.01.18

[復聰湯][복총탕]
治痰火上攻, 耳鳴耳聾.
半夏, 赤茯苓, 陳皮, 甘草, 萹蓄, 木通, 瞿麥, 黃柏 鹽炒 各一錢.
右剉作一貼, 入薑三片, 水煎服[丹心].
담화가 위로 치받아 귀가 울고 귀먹은 것을 치료한다.
반하, 적복령, 진피, 감초, 편축, 목통, 구맥, 황백(소금물에 축여 볶은 것) 각 한 돈.
위의 약들을 썰어 한 첩으로 하여 생강 세 쪽을 넣고 물에 달여 먹는다(단심).

'[處方箋] > [處方湯]' 카테고리의 다른 글

[附子瀉心湯][부자사심탕]   (0) 2019.01.18
[扶陽助胃湯][부양조위탕]  (0) 2019.01.18
[復元活血湯][복원활혈탕]   (0) 2019.01.18
[茯神黃芪湯][복신황기탕]   (0) 2019.01.18
[茯神湯][복신탕]  (0) 2019.01.18

[復元活血湯][복원활혈탕]
治傷損墮落 惡血流於脇下痛楚 不能轉側
大黃10g, 當歸7g, 柴胡6g
穿山甲炒硏 瓜蔞根 甘草 各4g
桃仁10箇爲泥 紅花2g
剉作一貼 酒水相半 煎服
위와 같은 증상을 치료한다.
대황 10g, 당귀 6.8g, 시호 6g,
천산갑(닦아 간 것), 하늘타리뿌리(과루근), 감초 각각 4g,
복숭아씨(도인) 10알(풀지게 짓찧는다), 잇꽃(홍화) 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술과 물을 절반씩 섞은데 넣고 달여 먹는다[보감].

'[處方箋] > [處方湯]' 카테고리의 다른 글

[扶陽助胃湯][부양조위탕]  (0) 2019.01.18
[復聰湯][복총탕]  (0) 2019.01.18
[茯神黃芪湯][복신황기탕]   (0) 2019.01.18
[茯神湯][복신탕]  (0) 2019.01.18
[茯苓湯][복령탕]  (0) 2019.01.18

[茯神黃芪湯][복신황기탕]
茯神, 羌活, 蔓荊子, 防風, 薏苡仁, 黃芪, 五味子, 麥門冬, 石菖蒲, 黃芩 各一錢,

甘草五分
右犫作一貼 水煎服[入門]
복신, 강호리(강활), 순비기열매(만형자), 방풍, 율무쌀(의이인),
단너삼(황기), 오미자, 맥문동, 석창포, 속썩은풀(황금) 각각 4g,

감초 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먹는다[입문].

'[處方箋] > [處方湯]' 카테고리의 다른 글

[復聰湯][복총탕]  (0) 2019.01.18
[復元活血湯][복원활혈탕]   (0) 2019.01.18
[茯神湯][복신탕]  (0) 2019.01.18
[茯苓湯][복령탕]  (0) 2019.01.18
[茯苓調血湯][복령조혈탕]  (0) 2019.01.18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