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四子調中湯][사자조중탕]
治反胃痰盛二便澁.
半夏8g, 桃仁6g
香附子 枳實 瓜蔞仁 蘇子炒 白芥子炒 各4g
黃連薑汁炒3g
靑皮 陳皮 沈香 白茯苓 木通 芒硝 各2g.
剉作一貼 水煎 入芒硝 攪勻 空心服(醫鑑).
반위로 담이 성하고 대소변이 잘 나오지 않는 것을 치료한다.
끼무릇(반하) 8g,
복숭아씨(도인) 6g,
향부자, 지실, 하늘타리씨(과루인),
차조기씨(자소자, 닦은 것), 흰겨자(닦은 것) 각각 4g,
황련(생강즙에 축여 볶은 것) 2.8g,
선귤껍질(청피), 귤껍질(陳皮), 침향,
흰솔풍령(백복령), 으름덩굴(목향), 망초 각각 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인 다음
망초를 고루 타서 빈속에 먹는다[의감].

'[處方箋] > [處方湯]' 카테고리의 다른 글

[瀉肺湯][사폐탕]   (0) 2019.01.19
[四七湯][사칠탕]   (0) 2019.01.19
[瀉胃湯][사위탕]  (0) 2019.01.19
[四逆湯][사역탕]  (0) 2019.01.19
[瀉陽補陰湯][사양보음탕]   (0) 2019.01.19

[瀉胃湯][사위탕]
治胃實熱, 唇口乾裂, 煩渴便秘.
大黃 二錢半,
葛根 一錢,
桔梗, 枳殼, 前胡, 杏仁 各五分.
右剉作一貼, 入生薑三片, 水煎服[入門].
위(胃)에 실열이 있어서 입술과 입이 마르고 갈라지며,

가슴이 답답하고 갈증이 나며 변비가 생긴 것을 치료한다.
대황 두 돈 반,
갈근 한 돈,
길경, 지각, 전호, 행인 각 닷 푼.
위의 약들을 썰어 한 첩으로 하여 생강 세 쪽을 넣고 물에 달여 먹는다(입문).

[瀉胃湯][사위탕]
治胃實熱 唇口乾裂 煩渴便秘
大黃10g, 葛根4g, 桔梗 枳殼 前胡 杏仁 各2g
剉作一貼 入生薑三片 水煎服(入門).
위에 실열(實熱)이 있어서 입술과 입 안이 말라 터지고
속이 답답하며 목이 마르고 뒤가 굳은 것[便秘]을 치료한다.
대황 10g, 칡뿌리(갈근) 4g,
도라지(길경), 지각, 전호, 살구씨(행인) 각각 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3쪽과 함께 물에 달여 먹는다[입문].

[瀉胃湯][사위탕]
治牙痛如神, 此胃熱也.
當歸, 川芎, 赤芍藥, 生地黃, 黃連, 牡丹皮, 梔子, 防風, 荊芥, 薄荷, 甘草 各一錢.
右剉作一貼, 水煎服[回春].
아통(牙痛)을 아주 잘 치료한다. 아통은 위(胃)의 열로 생기는 것이다.
당귀, 천궁, 적작약, 생지황, 황련, 목단피, 치자, 방풍, 형개, 박하, 감초 각 한 돈.
위의 약들을 썰어 한 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먹는다(회춘).  

'[處方箋] > [處方湯]' 카테고리의 다른 글

[四七湯][사칠탕]   (0) 2019.01.19
[四子調中湯][사자조중탕]   (0) 2019.01.19
[四逆湯][사역탕]  (0) 2019.01.19
[瀉陽補陰湯][사양보음탕]   (0) 2019.01.19
[瀉心湯][사심탕]  (0) 2019.01.19

[四逆湯][사역탕]
治 傷寒陰證, 要藥也, 凡三陰脈之身痛並用,
又治四肢逆冷
甘草灸24g, 乾薑炮20g, 附子生1枚,
左 分2貼, 水煎服(正傳)
상한음증(傷寒陰證) 치료에 중요한 약인데
대체로 3음맥이 지(遲)하고 몸이 아픈 것과 팔다리가 싸늘한 것을 치료한다.
감초(닦은 것) 24g, 건강(싸서 구운 것) 20g, 생부자 1개.
위의 약들을 썰어서 2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먹는다[정전].

'[處方箋] > [處方湯]' 카테고리의 다른 글

[四子調中湯][사자조중탕]   (0) 2019.01.19
[瀉胃湯][사위탕]  (0) 2019.01.19
[瀉陽補陰湯][사양보음탕]   (0) 2019.01.19
[瀉心湯][사심탕]  (0) 2019.01.19
[瀉腎湯][사신탕]  (0) 2019.01.19

[瀉陽補陰湯][사양보음탕]
治酒色過度 妄泄眞陰 以致陰虛火動.
黃栢塩水炒6g
天門冬 貝母 黃連薑汁炒各 4g
杏仁3g
知母 生地黃 紫菀 赤芍藥 天花粉 桔梗 片芩 當歸 白茯苓 各2g
白朮1g 五味子9枚
剉作一貼 入梅1個 燈心一撮 同煎服.
卽東實西虛 瀉南補北湯也(醫鑑).
지나친 주색으로 진음(眞陰)을 허투루 배설하여
음이 허해지고 화(火)가 동한 것을 치료한다.
황백(소금물로 축여 볶은 것) 6g,
천문동, 패모, 황련(생강즙으로 축여 볶은 것) 각각 4g,
살구씨(행인) 3g,
지모, 생지황 각각 2.8g,
개미취(자원), 함박꽃뿌리(적작약) 각각 2.4g,
하늘타리뿌리(천화분), 도라지(길경), 속썩은풀(편금),
당귀, 흰솔풍령(백복령) 각각 2g,
흰삽주(백출) 1g, 오미자 9알.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오매 1알,
골풀속살 한자밤과 함께 달여 먹는다.
이것은 즉 동실서허사남보북탕(東實西虛瀉南補北湯)이다[의감].

'[處方箋] > [處方湯]' 카테고리의 다른 글

[瀉胃湯][사위탕]  (0) 2019.01.19
[四逆湯][사역탕]  (0) 2019.01.19
[瀉心湯][사심탕]  (0) 2019.01.19
[瀉腎湯][사신탕]  (0) 2019.01.19
[瀉濕湯][사습탕]  (0) 2019.01.19

[瀉心湯][사심탕]
治心熱.
黃連 不拘多少, 爲極細末.
每服二分半或五分或一錢, 溫水調下[錢乙].
심의 열을 치료한다.
황련(양에 관계없이 아주 곱게 간다).
한 번에 두 푼 반 혹은 다섯 푼, 혹은 한 돈을 따뜻한 물에 타서 먹는다(전을).
一名 [黃連瀉心湯].
황련사심탕이라고도 한다.

[瀉心湯][사심탕]
治心癰及癰疽毒盛躁渴

大黃一錢 半

黃連 黃芩 山梔子 漏蘆 澤蘭 連翹 蘇木 各七分

右犫作一貼水煎服[入門]
심옹과 옹저로 독이 성(盛)하여 번조하고 갈증이 나는 것을 치료한다.
대황, 속썩은풀(황금), 산치자, 뻐꾹채(누로), 쉽싸리(택란), 연교, 소목 각각 2.8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먹는다[입문].

治 心火上炎
大黃 黃芩 黃蓮 各5.6g, 水煎服(仲景).

'[處方箋] > [處方湯]' 카테고리의 다른 글

[四逆湯][사역탕]  (0) 2019.01.19
[瀉陽補陰湯][사양보음탕]   (0) 2019.01.19
[瀉腎湯][사신탕]  (0) 2019.01.19
[瀉濕湯][사습탕]  (0) 2019.01.19
[四順湯][사순탕]   (0) 2019.01.19

[瀉腎湯][사신탕]
諸淋小腹脹急, 甚者宜用此.
大黃 二錢 剉, 密器水浸一宿,
磁石 碎 一錢六分,
石菖蒲, 生地黃 各一錢,
玄參, 細辛 各八分,
芒硝, 赤茯苓, 黃芩 各六分,
甘草 四分.
右剉, 水二盞煎藥至一盞半, 入大黃煎至七分, 去滓, 下芒硝攪勻, 空心服[入門].
여러 임병은 아랫배가 부르고 당긴다. 심하면 이 약을 써야 한다.
대황 두 돈(썰어 물에 담근 다음 밀봉하여 하룻밤 재워둔다),
자석(부순 것) 한 돈 여섯 푼,
석창포, 생지황 각 한 돈,
현삼, 세신 각 여덟 푼,
망초, 적복령, 황금 각 여섯 푼,
감초 너 푼.
위의 약들을 썰어 물 두 잔을 넣고 달여 약이 한 잔 반이 되게 한다.
다시 대황을 넣고 10분의 7이 되게 달인 다음 찌꺼기를 버린다.
다시 망초를 넣고 고르게 섞어서 빈속에 먹는다(입문).

'[處方箋] > [處方湯]' 카테고리의 다른 글

[瀉陽補陰湯][사양보음탕]   (0) 2019.01.19
[瀉心湯][사심탕]  (0) 2019.01.19
[瀉濕湯][사습탕]  (0) 2019.01.19
[四順湯][사순탕]   (0) 2019.01.19
[四順理中湯][사순이중탕]  (0) 2019.01.19

[瀉濕湯][사습탕]
治洞泄.
白朮 炒 三錢,

白芍藥 炒 二錢,
陳皮 炒 一錢半,
防風 一錢,
升麻 五分.
右剉作一貼, 水煎服之.
통설을 치료한다.
백출(볶은 것) 서 돈,

백작약(볶은 것) 두 돈,
진피(볶은 것) 한 돈 반,
방풍 한 돈,
승마 다섯 푼.
위의 약들을 썰어 한 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먹는다.
此劉草窓治洞泄要方也[丹心].
이것은 유부가 통설을 치료하는 데 쓴 중요한 처방이다(단심).

'[處方箋] > [處方湯]' 카테고리의 다른 글

[瀉心湯][사심탕]  (0) 2019.01.19
[瀉腎湯][사신탕]  (0) 2019.01.19
[四順湯][사순탕]   (0) 2019.01.19
[四順理中湯][사순이중탕]  (0) 2019.01.19
[四順附子湯][사순부자탕]  (0) 2019.01.19

[四順湯][사순탕]
治腹痛自利
卽[理中湯](人蔘 白朮 乾薑炮 各8g, 甘草灸4g) 倍 甘草一倍 是也
一名 [四順理中湯] (類聚).
배가 아프고 저절로 설사가 나는 것을 치료하는데
이중탕에 감초의 양을 곱으로 하여 넣은 것이다.
이것을 일명 사순이중탕(四順理中湯)이라고도 한다[유취].

'[處方箋] > [處方湯]' 카테고리의 다른 글

[瀉腎湯][사신탕]  (0) 2019.01.19
[瀉濕湯][사습탕]  (0) 2019.01.19
[四順理中湯][사순이중탕]  (0) 2019.01.19
[四順附子湯][사순부자탕]  (0) 2019.01.19
[瀉白湯][사백탕]  (0) 2019.01.19

[四順湯][사순탕]
治腹痛自利
卽 [理中湯](人蔘 白朮 乾薑炮 各8g,  甘草灸4g)  倍 甘草一倍 是也
一名 [四順理中湯] (類聚).
배가 아프고 저절로 설사가 나는 것을 치료하는데
이중탕에 감초의 양을 곱으로 하여 넣은 것이다.
이것을 일명 사순이중탕(四順理中湯)이라고도 한다[유취].

'[處方箋] > [處方湯]' 카테고리의 다른 글

[瀉濕湯][사습탕]  (0) 2019.01.19
[四順湯][사순탕]   (0) 2019.01.19
[四順附子湯][사순부자탕]  (0) 2019.01.19
[瀉白湯][사백탕]  (0) 2019.01.19
[四味湯][사미탕]  (0) 2019.01.19

[加味薑附湯][가미강부탕]
治霍亂 吐瀉過多手足逆冷氣少不語六脈沈伏.
附子炮 乾薑炮 人蔘 各6g
甘草灸 3g
剉作一貼 水煎服(得效).
一名 [四順附子湯] (直旨).
곽란으로 몹시 토하고 설사하여 손발이 싸늘하고
기운이 없어서 말을 잘하지 못하며 6맥(六脈)이 침복(沈伏)한 것을 치료한다.
부자(싸서 구운 것), 건강(싸서 구운 것), 인삼 각각 6g,
감초(닦은 것) 2.8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먹는다[득효].
일명 사순부자탕(四順附子湯)이라고도 한다[직지].

'[處方箋] > [處方湯]' 카테고리의 다른 글

[四順湯][사순탕]   (0) 2019.01.19
[四順理中湯][사순이중탕]  (0) 2019.01.19
[瀉白湯][사백탕]  (0) 2019.01.19
[四味湯][사미탕]  (0) 2019.01.19
[四味藿香湯][사미곽향탕]   (0) 2019.01.19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