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瀉白湯][사백탕]
治大腸實熱, 臍腹痛, 腹脹不通.
生地黃 二錢,
赤茯苓, 芒硝 各一錢,
陳皮, 竹茹, 黃芩, 梔子, 黃柏 各五分.
右剉作一貼, 薑三片棗二枚, 水煎服[入門].
대장에 실열(實熱)이 있어 배꼽 주위의 배가 아프고,

배가 부어오르고 대변이 통하지 않는 것을 치료한다.
생지황 두 돈,
적복령,망초 각 한 돈,
진피, 죽여, 황금, 치자, 황백 각 다섯 푼.
위의 약들을 썰어 한 첩으로 하여, 생강 세 쪽과 대추 두 개를 넣고 물에 달여 먹는다(입문).

'[處方箋] > [處方湯]' 카테고리의 다른 글

[四順理中湯][사순이중탕]  (0) 2019.01.19
[四順附子湯][사순부자탕]  (0) 2019.01.19
[四味湯][사미탕]  (0) 2019.01.19
[四味藿香湯][사미곽향탕]   (0) 2019.01.19
[四物解肌湯][사물해기탕]   (0) 2019.01.19

[四味湯][사미탕]
治 産後血暈 血暈 轉載
當歸, 玄胡索, 血竭, 沒藥 各4g
爲粗末 童便煎服(丹心).
或 細末 每7.5g 童便 調下,
名曰 [四味散](入門).
해산 후의 혈훈을 치료한다.
당귀, 현호색, 혈갈, 몰약 각각 4g.
위의 약들을 거칠게 가루내어 물에 넣고 달여 먹는다[단심].
또는 보드랍게 가루내어 한번에 8g씩 물에 타 먹는다.
일명 사미산(四味散)이라고도 한다[입문].

'[處方箋] > [處方湯]' 카테고리의 다른 글

[四順附子湯][사순부자탕]  (0) 2019.01.19
[瀉白湯][사백탕]  (0) 2019.01.19
[四味藿香湯][사미곽향탕]   (0) 2019.01.19
[四物解肌湯][사물해기탕]   (0) 2019.01.19
[四物湯][사물탕]  (0) 2019.01.19

[四味藿香湯][사미곽향탕]
治胃虛嘔吐 粥藥不停
藿香 人參 橘皮 半夏 各8g
剉作一貼 薑三 煎服(入門).
위가 허하여 토하는데 죽이나 약을 넘겨도 곧 도로 올라오는 것을 치료한다.
곽향, 인삼, 귤껍질(陳皮), 끼무릇(반하) 각각 8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3쪽과 함께 물에 달여 먹는다[입문].

'[處方箋] > [處方湯]' 카테고리의 다른 글

[瀉白湯][사백탕]  (0) 2019.01.19
[四味湯][사미탕]  (0) 2019.01.19
[四物解肌湯][사물해기탕]   (0) 2019.01.19
[四物湯][사물탕]  (0) 2019.01.19
[四物調經湯][사물조경탕]  (0) 2019.01.19

[四物解肌湯][사물해기탕]
傷寒撰進 疑似未辨者 以辛凉之劑調之 卽此湯也
葛根8g
白芍藥 升麻 黃芩 各4g
爲剉作一貼 入薑三葱二 煎服(綱目).
승마갈근탕(升麻葛根湯)에서 감초를 빼고 속썩은풀(황금)을 넣은 것이다.
대개 상한과 마마를 구별할 수 없을 때에는
맵고 성질이 서늘한 약을 써서 치료하는 데 이 약이 좋다[강목].

'[處方箋] > [處方湯]' 카테고리의 다른 글

[四味湯][사미탕]  (0) 2019.01.19
[四味藿香湯][사미곽향탕]   (0) 2019.01.19
[四物湯][사물탕]  (0) 2019.01.19
[四物調經湯][사물조경탕]  (0) 2019.01.19
[四物二連湯][사물이련탕]   (0) 2019.01.19

[四物湯][사물탕]
通治血病.
熟地黃, 白芍藥, 川芎, 當歸 各一錢二分半.
右剉作一貼, 水煎服[局方].
혈병을 두루 치료한다.
숙지황, 백작약, 천궁, 당귀 각 한 돈 두 푼 반.
위의 약들을 썰어 한 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먹는다(국방).
一方, 春倍川芎, 夏倍芍藥, 秋倍地黃, 冬倍當歸.
어떤 처방에서는 봄에는 천궁을, 여름에는 백작약을,

가을에는 숙지황을, 겨울에는 당귀를 두 배로 쓴다고 하였다.
春加防風, 夏加黃芩, 秋加天門冬, 冬加桂枝[綱目].
봄에는 방풍을, 여름에는 황금을, 가을에는 천문동을, 겨울에는 계지를 더 넣는다(강목).
當歸, 和血歸經.

芍藥, 凉血補腎.

生地黃, 生血寧心.

熟地黃, 補血滋腎.

川芎, 則行血通肝[丹心].
당귀는 혈을 고르게 하여 제 경락으로 돌아가게 하며,

작약은 혈을 서늘하게 하고 신(腎)을 보하며,

생지황은 혈을 만들고 심(心)을 편안하게 하며,

숙지황은 혈을 보하고 신을 북돋아 주며,

천궁은 혈을 잘 돌게 하고 간을 통하게 한다(단심).
劉宗厚曰, 欲求血藥, 其四物之謂乎.

夫川芎, 血中氣藥也, 通肝經, 性味辛散, 能行血滯於氣也.

地黃, 血中血藥也, 通腎經, 性味甘寒, 能生眞陰之虛者也.

當歸分三治, 血中主藥也, 通肝經, 性味辛溫.

全用, 能活血, 各歸其經也. 芍藥, 陰分藥也, 通脾經, 性味酸寒, 能凉血.

又治血虛腹痛, 若求陰藥之屬, 必於此而取則焉.
유종후는 "혈약을 찾는다는 것은 바로 사물탕을 찾는다는 말이다.

천궁은 혈약(血藥)이면서 기약(氣藥)도 되기 때문에 간의 경락을 통하게 하고,

성미(性味)가 매워서 흩어지게 하므로[辛散] 기 때문에 혈이 막힌 것을 잘 돌게 한다.

지황은 혈약 중의 혈약이니 신(腎)의 경락을 통하게 하고,

성미가 달고 차서[甘寒] 진음(眞陰)이 허한 것을 기를 수 있다.

당귀는 세 부분으로 나누어 쓰는데, 혈을 치료하는 가장 주된 약이다.

간의 경락을 잘 통하게 하고 성미가 맵고 따뜻하여[辛溫] 당귀 전체를 쓰면

혈을 활성화시키고 혈이 각기 자신의 경락으로 돌아가게 한다.

작약은 음분(陰分)의 약이다.

비(脾)의 경락을 잘 통하게 하고 성미가 시고 차서[酸寒] 혈을 서늘하게 하며

또한 혈이 허하여 생긴 복통을 치료한다.

만약 음증(陰證)에 쓰는 약을 찾는다면 반드시 작약을 써야 한다"고 하였다.

[加減四物湯][가감사물탕]
治便血, 亦治腸風.
側柏葉, 生地黃, 當歸, 川芎 各一錢,
枳殼, 荊芥, 槐花 炒, 甘草 灸 各五分.
右剉作一貼, 薑三片烏梅一箇, 煎服[得效].
변혈과 장풍을 치료한다.
측백엽, 생지황, 당귀, 천궁 각 한 돈,
지각, 형개, 괴화(볶은 것), 감초(구운 것) 각 다섯 푼.
위의 약들을 썰어 한 첩으로 하여, 생강 세 쪽과 오매 한 개를 넣고 달여 먹는다(득효).

[加味四物湯][가미사물탕]
治血虛, 眩暈卒倒, 不可艾灸, 驚哭呌動, 動則乘虛而死矣.
當歸, 川芎, 白芍藥, 生地黃, 熟地黃, 黃芪, 人蔘, 白朮, 陳皮, 白茯苓, 荊芥穗, 甘草 各七分.
右剉, 棗二枚烏梅一箇, 煎服[回春].
피가 부족하여 어지럽고 쓰러지는 것을 치료한다.
이 증상에는 뜸을 뜨거나 놀라게 하거나 울거나 소리치거나 움직여서는 안 된다.
움직이면 사기가 허한 틈을 타서 정기를 억눌러 죽는다.
당귀, 천궁, 백작약, 생지황, 숙지황, 황기, 인삼, 백출, 진피, 백복령, 형개수, 감초 각 일곱 푼.
위의 약들을 썰어 대추 두 개와 오매 한 개를 넣고 달여 먹는다(회춘).

[四物調經湯][사물조경탕]
治經閉, 有積塊動痛.
香附 醋炒 一錢,
當歸, 川芎, 白芍藥 酒炒, 柴胡, 黃芩, 枳殼 各七分,
熟地黃, 陳皮, 白朮, 三稜, 蓬朮 並醋炒, 白芷, 茴香 鹽水炒, 玄胡索 各五分,
靑皮, 縮砂, 紅花, 甘草 各三分.
右剉作一貼, 入生薑三片葱白三莖, 水煎服[回春].
월경이 나오지 않고 덩어리가 생겨 옮겨가며 아픈 것을 치료한다.
향부자(식초에 축여 볶은 것) 한 돈,
당귀, 천궁, 백작약(술에 축여 볶은 것), 시호, 황금, 지각 각 일곱 푼,
숙지황, 진피, 백출, 삼릉, 봉출(삼릉과 봉출 둘 다 식초에 축여 볶은 것),

백지, 회향(소금물에 축여 볶은 것), 현호색 각 다섯 푼,
청피, 축사인, 홍화, 감초 각 서 푼.
위의 약들을 썰어 한 첩으로 하여, 생강 세 쪽과 총백 세 뿌리를 넣고 물에 달여 먹는다(회춘).

'[處方箋] > [處方湯]' 카테고리의 다른 글

[四物解肌湯][사물해기탕]   (0) 2019.01.19
[四物湯][사물탕]  (0) 2019.01.19
[四物二連湯][사물이련탕]   (0) 2019.01.19
[四物龍膽湯][사물용담탕]  (0) 2019.01.18
[四物安神湯][사물안신탕]  (0) 2019.01.18

[四物二連湯][사물이련탕]
治夜分潮熱
[四物湯]本方 加 黃連 胡黃連 各等分
爲剉 同煎服(醫鑒).
밤에 조열(潮熱)이 나는 것을 치료한다.
사물탕 본방에 황련, 호황련을 각각 같은 양으로 더 넣는다.
위의 약들을 썰어서 물에 달여 먹는다[의감].

'[處方箋] > [處方湯]' 카테고리의 다른 글

[四物湯][사물탕]  (0) 2019.01.19
[四物調經湯][사물조경탕]  (0) 2019.01.19
[四物龍膽湯][사물용담탕]  (0) 2019.01.18
[四物安神湯][사물안신탕]  (0) 2019.01.18
[四物苦練湯][사물고련탕]  (0) 2019.01.18

[四物龍膽湯][사물용담탕]
治目赤腫痛, 暴作雲瞖.
川芎, 當歸, 赤芍藥, 生乾地黃 各一錢三分,
羌活, 防風 各八分,
草龍膽, 防己 各六分.
右剉作一貼, 水煎服[海藏].
눈이 붉게 충혈되고 부으면서 아픈데, 갑자기 구름 같은 예막이 생기는 것[雲]을 치료한다.
천궁, 당귀, 적작약, 건지황 각 한 돈 서 푼,
강활, 방풍 각 여덟 푼,
용담초, 방기 각 여섯 푼.
위의 약들을 썰어 한 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먹는다(해장).

'[處方箋] > [處方湯]' 카테고리의 다른 글

[四物調經湯][사물조경탕]  (0) 2019.01.19
[四物二連湯][사물이련탕]   (0) 2019.01.19
[四物安神湯][사물안신탕]  (0) 2019.01.18
[四物苦練湯][사물고련탕]  (0) 2019.01.18
[四磨湯][사마탕]   (0) 2019.01.18

[四物安神湯][사물안신탕]
治心中無血, 如魚無水, 怔忡跳動.
當歸, 白芍藥, 生地黃, 熟地黃, 人蔘, 白朮, 茯神, 酸棗仁 炒,

黃連 炒, 梔子 炒, 麥門冬, 竹茹 各七分,
辰砂 另末 五分.
右剉作一服. 棗二枚炒米一撮烏梅一箇, 煎水調辰砂末服[回春].
물고기가 물이 없[으면 팔딱팔딱 뛰]듯이 심(心)에 혈이 없어 가슴이 두근거리는 것을 치료한다.
당귀, 백작약, 생지황, 숙지황, 인삼, 백출, 복신, 산조인(볶은 것),

황련(볶은 것), 치자(볶은 것), 맥문동, 죽여 각 일곱 푼,
진사(따로 가루낸 것) 다섯 푼.
위의 약들을 썰어 한 번 복용할 양으로 대추 두 개, 볶은 쌀 한 줌,

오매 한 개를 넣고 물에 달여 진사가루를 타서 먹는다(회춘).

'[處方箋] > [處方湯]' 카테고리의 다른 글

[四物二連湯][사물이련탕]   (0) 2019.01.19
[四物龍膽湯][사물용담탕]  (0) 2019.01.18
[四物苦練湯][사물고련탕]  (0) 2019.01.18
[四磨湯][사마탕]   (0) 2019.01.18
[四苓五皮湯][사령오피탕]   (0) 2019.01.18

[四物苦練湯][사물고련탕]
通治腹痛, 亦治臍下冷痛.
四物湯 方見血門 加 玄胡索, 苦練子 各一錢.
右水煎服[丹心].
배가 아픈 것을 두루 치료하고, 또 배꼽 아래가 차가우면서 아픈 것을 치료한다.
사물탕(처방은 혈문에 있다)에, 현호색, 고련자 각 한 돈.
위의 약들을 물에 달여 먹는다(단심).

'[處方箋] > [處方湯]' 카테고리의 다른 글

[四物龍膽湯][사물용담탕]  (0) 2019.01.18
[四物安神湯][사물안신탕]  (0) 2019.01.18
[四磨湯][사마탕]   (0) 2019.01.18
[四苓五皮湯][사령오피탕]   (0) 2019.01.18
[四君子湯][사군자탕]  (0) 2019.01.18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