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參苓琥珀湯][삼령호박탕]
治淋澁, 莖中痛不可忍.
川練肉, 甘草梢 各一錢,
玄胡索 七分,
人蔘 五分, 赤茯苓 四分,
琥珀, 澤瀉, 柴胡, 當歸尾, 靑皮, 黃柏 各三分.
右剉作一貼, 入燈心一團, 空心水煎服[入門].
오줌이 찔끔찔끔 껄끄럽게 나오고, 음경 속이 참을 수 없을 정도로 아픈 것을 치료한다.
천련육, 감초초 각 한 돈,
현호색 일곱 푼, 인삼 다섯 푼,
적복령 너 푼,
호박, 택사, 시호, 당귀미, 청피, 황백 각 서 푼.
위의 약들을 썰어 한 첩으로 하여, 등심 한 줌을 넣고 물에 달여 빈속에 먹는다(입문).

[參苓琥珀湯][삼령호박탕]
治淋澁 莖中痛 不可忍
川練肉 甘草梢 各4g,
玄胡索3g,
人參 赤茯苓 各2g
琥珀 澤瀉 柴胡 當歸尾 靑皮 黃栢 各1g.
剉作一貼 入燈心一團 空心 水煎服(入門).
오줌이 잘 나오지 않고 음경 속이 참을 수 없이 아픈 것을 치료한다.
고련자육(川練肉), 감초(잔뿌리) 각각 4g,
현호색 2.8g,
인삼 2g, 벌건솔풍령(적복령) 1.6g,
호박, 택사, 시호, 당귀(잔뿌리), 선귤껍질(청피), 황백 각각 1.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골풀속살(등심초) 1뭉치[一團]와
함께 물에 달여 빈속에 먹는다[입문].

'[處方箋] > [處方湯]' 카테고리의 다른 글

[參附湯][삼부탕]   (0) 2019.01.19
[三白湯][삼백탕]  (0) 2019.01.19
[參連湯][삼련탕]  (0) 2019.01.19
[三豆解酲湯][삼두해정탕]   (0) 2019.01.19
[參芪湯][삼기탕]   (0) 2019.01.19

[參連湯][삼련탕]
治噤口痢, 胃口熱甚.
黃連 三錢, 人蔘, 石蓮肉 各二錢.
右剉作一貼, 水煎取濃汁, 細細呷之.
如吐再喫, 但得一呷, 下咽便開, 仍用罨臍法[回春].
금구리로 위[胃口]에 열이 심한 것을 치료한다.
황련 서 돈,
인삼, 석련육 각 두 돈.
위의 약들을 썰어 한 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진하게 즙을 내어 조금씩 마신다.
토하면 다시 먹는다.
한 모금만 마셔도 인후와 항문이 열리는데, 그러면 바로 엄제법을 쓴다(회춘).

[參連湯][삼련탕]
治噤口痢 胃口熱甚
黃蓮 12g, 人蔘 石蓮肉 各8g
剉作一貼 水煎 取濃汁 細細呷 之 如吐在喫
但得一呷 下咽便開 仍用 罨臍法(回春).
금구리로 위[胃口]에 열이 심한 것을 치료한다.
황련 12g, 인삼 석련육 각각 8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넣고
진하게 달여서 조금씩 먹는데 만일 토하면 다시 먹어야 한다.
한 모금만 내려가도 곧 열린다.
이어 엄제법을 써야 한다[회춘].

'[處方箋] > [處方湯]' 카테고리의 다른 글

[三白湯][삼백탕]  (0) 2019.01.19
[參苓琥珀湯][삼령호박탕]  (0) 2019.01.19
[三豆解酲湯][삼두해정탕]   (0) 2019.01.19
[參芪湯][삼기탕]   (0) 2019.01.19
[參芪補肺湯][삼기보폐탕]   (0) 2019.01.19

[三豆解酲湯][삼두해정탕]
治中酒發病 頭痛嘔吐 煩渴 善解酒毒
且多飮不醉 因酒患消渴 尤宜服之.
葛根8g 蒼朮6g
陳皮 赤茯苓 木瓜 半夏 各4g
神麯3g 澤瀉2g 乾生薑1g
黑豆 綠豆 赤小豆各8g
作一服 水煎 不拘時 微服 夏月及 酒渴者 加黃連2g(新方).
술중독으로 생긴 두통, 구토, 번갈증 등을 치료하는데 술독을 잘 푼다.
많이 마셔도 취하지 않으며 술로 인한 소갈증에 더욱 좋다.
칡뿌리(갈근) 8g, 삽주(창출) 6g,
귤껍질(陳皮), 벌건솔풍령(적복령), 모과, 끼무릇(반하) 각각 4g,
약누룩(신국) 2.8g, 택사 2g, 생강(말린 것) 1.2g,
검정콩(흑두), 녹두, 팥(적소두) 각각 8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인 다음
약간 따뜻하게 하여 아무 때나 먹는다.
여름철에 술을 마시고 갈증이 날 때에는 황련 2g을 더 넣는다[신방].

'[處方箋] > [處方湯]' 카테고리의 다른 글

[參苓琥珀湯][삼령호박탕]  (0) 2019.01.19
[參連湯][삼련탕]  (0) 2019.01.19
[參芪湯][삼기탕]   (0) 2019.01.19
[參芪補肺湯][삼기보폐탕]   (0) 2019.01.19
[參芪健中湯][삼기건중탕]   (0) 2019.01.19

[參芪湯][삼기탕]
治肛門虛寒脫出.
人蔘, 黃芪 蜜炒, 當歸, 白朮, 生地黃, 白芍藥 酒炒, 白茯苓 各一錢,
升麻, 桔梗, 陳皮, 乾薑 炒 各五分,
甘草 灸 三分.
右剉作一貼, 水煎服[回春].
항문이 약하고 차서 빠져나온 것을 치료한다.
인삼, 황기(꿀물에 축여 볶은 것), 당귀, 백출, 생지황,

백작약(술에 축여 볶은 것), 백복령 각 한 돈,
승마, 길경, 진피, 건강(볶은 것) 각 닷 푼,
감초(구운 것) 서 푼.
위의 약들을 썰어 한 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먹는다(회춘).

[參芪湯][삼기탕]
治氣虛遺尿
人參 黃芪蜜炒 白茯苓 當歸 熟地黃 白朮 陳皮 各4g
益智仁硏3g

升麻 肉桂 各2g

甘草1g
剉作一貼 薑三片棗二枚 水煎 空心服 老人 加炮附子(回春).
기(氣)가 허하여 오줌이 나오는 것을 알지 못하는 것을 치료한다.
인삼, 황기(꿀물에 축여 볶은 것), 흰솔풍령(백복령), 당귀, 찐지황(숙지황),
흰삽주(백출), 귤껍질(陳皮) 각각 4g,

익지인(간 것) 3.2g,
승마, 육계 각각 2g,

감초 1.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3쪽,
대추 2알과 함께 물에 달여서 빈속에 먹는다.
늙은이에게는 포부자( 附子)를 더 넣어 쓴다[회춘].


[參芪湯][삼기탕]

治氣虛遺尿.
人蔘黃芪 蜜炒白茯苓當歸熟地黃白朮陳皮 各一錢

益智仁  八分

升麻肉桂 各五分

甘草 三分.
右剉作一貼薑三片棗二枚水煎空心服老人加炮附子[回春].
기가 허약하여 오줌이 저절로 나오는 것을 치료한다.
인삼, 황기(꿀물에 축여 볶은 것), 백복령, 당귀
숙지, 백출, 진피 각 한 돈

익지인(간 것) 여덟 푼, 승마·육계 각 다섯 푼, 감초 서 푼.
위의 약들을 썰어 한 첩으로 하여, 생강 세 쪽과 대추 두 개를 넣고 물에 달여 빈속에 먹는다.

노인은 포부자를 더 넣는다(회춘).


[參芪湯][삼기탕]


治虛人盜汗.
人蔘黃芪白朮白茯苓白扁豆山藥陳皮乾葛半夏麴甘草 各一錢.
右剉作一貼水煎服[丹心].
허약한 사람의 도한을 치료한다.
인삼, 황기, 백출, 백복령, 백편두, 산약, 진피, 건갈, 반하국, 감초 .
위의 약들을 썰어 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먹는다().


[參芪湯][삼기탕]

治 虛人盜汗

人參, 黃芪, 白朮, 白茯苓, 白萹豆,

山藥, 陳皮, 乾葛 半夏麴, 甘草 各4g

剉作一貼 水煎服(丹心).

()해서 식은땀이 나는 것을 멎게 한다.

인삼, 흰삽주(백출), 흰솔풍령(백복령), 까치콩(백편두),

(서여), 귤껍질(陳皮), 칡뿌리(갈근), 반하국, 감초 각각 4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먹는다[단심].

 

[參芪湯] [삼기탕]

治自汗.

黃芪 蜜炒人蔘白朮白茯苓當歸熟地黃白芍藥 酒炒酸棗仁 牡蠣粉 各一錢

陳皮 七分甘草 二分.
右剉作一貼棗二枚浮小麥一撮烏梅一箇同煎服[醫鑑].

자한을 치료한다.

황기(꿀물에 축여 볶은 ), 인삼, 백출, 백복령, 당귀숙지황

백작약(술에 축여 볶은 ), 산조인(볶은 ), 모려분  ,

진피 일곱 , 감초 .
위의 약들을 썰어 첩으로 하여, 대추 개와 부소맥  움큼,

오매 개와 함께 달여 먹는다(의감).


[參芪湯][삼기탕]

自汗

黃芪蜜炒, 人參, 白朮, 白茯苓, 當歸, 熟地黃, 白芍藥酒炒

酸棗仁炒, 牡蠣粉 4g, 陳皮3g, 甘草1g

剉作一貼 棗二枚 浮小麥 一撮 烏梅一箇 同煎服(醫鑒).

저절로 땀이 나는 것을 멎게 한다.

황기(꿀물에 축여 볶은 ), 인삼, 흰삽주(백출), 흰솔풍령(백복령), 당귀,

찐지황(숙지황), 집함박꽃뿌리(백작약, 술에 축여 볶은 ), 메대추씨(닦은 ),

굴조개껍질(모려) 각각 4g, 귤껍질(陳皮) 2.8g, 감초 0.8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대추 2, 밀쭉정이 한자밤, 오매 1개와 함께 달여 먹는다[의감].


[參朮湯][삼출탕]

治脾胃虛弱 元氣不能榮於心肺 四肢沈重 食後昏悶沈困

黃芪8g, 蒼朮4g, 神麯3g

人參 陳皮 靑皮 甘草 各2g

柴胡 升麻 黃栢 當歸身1g

剉作一貼 水煎服(東垣)

一名 [參芪湯] (回春).

비위가 허약하여 원기가 심()과 폐()를 영양하지 못하기 때문에

팔다리가 무겁고 밥 먹은 뒤에 정신이 흐릿하며 답답하고 몹시 노곤한 것을 치료한다.

단너삼(황기) 8g, 삽주(창출) 4g, 약누룩(신국) 2.8g,

인삼, 귤껍질(陳皮), 선귤껍질(청피), 감초 각각 2g,

승마, 시호, 황백, 당귀 각각 1.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먹는다[동원].

일명 삼기탕 이라고도 한다[회춘].



[加減三奇湯][가감삼기탕]

治咳喘上氣 痰涎不利

半夏8g

桔梗 陳皮 靑皮 人參 桑白皮 紫蘇葉 杏仁 五味子 各4g 甘草2g

剉作一貼 入薑三 水煎服(東垣).

기침이 나고 숨이 차며 기가 치밀어 오르고

담연(痰涎)이 잘 나가지 않는 것을 치료한다.

끼무릇(반하) 8g,

도라지(길경), 귤껍질(陳皮), 선귤껍질(청피), 인삼,

뽕나무뿌리껍질(상백피), 차조기잎(자소엽), 살구씨(행인), 오미자 각각 4g,

감초 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3쪽과 함께 물에 달여 먹는다[동원].

'[處方箋] > [處方湯]' 카테고리의 다른 글

[參連湯][삼련탕]  (0) 2019.01.19
[三豆解酲湯][삼두해정탕]   (0) 2019.01.19
[參芪補肺湯][삼기보폐탕]   (0) 2019.01.19
[參芪健中湯][삼기건중탕]   (0) 2019.01.19
[三禁湯][삼금탕]  (0) 2019.01.19

[參芪補肺湯][삼기보폐탕]
治肺癰 咳吐膿血 發熱作渴
熟地黃6g,  牧丹皮4g
人參 黃芪 白朮 白茯苓 陳皮 山茱萸 當歸 山藥 五味子 麥門冬 各3g
甘草灸2g
剉作一貼 薑三 水煎服(入門).
폐옹으로 기침이 나며 피고름을 토하고 열이 나며 갈증이 나는 것을 치료한다.
찐지황(숙지황) 6g,
모란뿌리껍질(목단피) 4g,
인삼, 단너삼(황기), 흰삽주(백출), 흰솔풍령(백복령), 귤껍질(陳皮),
산수유, 당귀, 마(산약), 오미자, 맥문동 각각 2.8g,
감초(닦은 것) 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3쪽과 함께 물에 달여 먹는다[입문].

'[處方箋] > [處方湯]' 카테고리의 다른 글

[三豆解酲湯][삼두해정탕]   (0) 2019.01.19
[參芪湯][삼기탕]   (0) 2019.01.19
[參芪健中湯][삼기건중탕]   (0) 2019.01.19
[三禁湯][삼금탕]  (0) 2019.01.19
[參歸益元湯][삼귀익원탕]   (0) 2019.01.19

[參芪健中湯][삼기건중탕]
治虛損少氣四肢倦怠飮食少進
當歸身6g
人參 黃芪 白朮 陳皮 白茯苓 白芍藥 生乾地黃酒炒 各4g
甘草2g, 五味子1g
剉作一貼 薑三棗二 水煎服(集略).
허손으로 기운이 적고 팔다리가 나른하며 음식을 적게 먹는 것을 치료한다.
당귀 6g,
인삼, 단너삼(황기), 흰삽주(백출), 귤껍질(陳皮), 흰솔풍령(백복령),
집함박꽃뿌리(백작약), 생건지황(술에 축여 볶은 것) 각각 4g,
감초 2g, 오미자 1.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3쪽,
대추 2알과 함께 물에 넣고 달여 먹는다[집략].

'[處方箋] > [處方湯]' 카테고리의 다른 글

[參芪湯][삼기탕]   (0) 2019.01.19
[參芪補肺湯][삼기보폐탕]   (0) 2019.01.19
[三禁湯][삼금탕]  (0) 2019.01.19
[參歸益元湯][삼귀익원탕]   (0) 2019.01.19
[參歸養榮湯][삼귀양영탕]  (0) 2019.01.19

[小柴胡湯][소시호탕]
治少陽病 半表半裏 往來寒熱
能和其內熱 解其外邪 傷寒方之王道也
柴胡12g 黃芩8g
人蔘 半夏 各4g 甘草2g
剉作一貼 入薑三棗二 水煎服(入門).
소양병의 반표반리증으로 추웠다 열이 났다 하는 것을 치료하는데 잘 화해시킨다.
그리고 속의 열을 내고 겉에 있는 사기[外邪]를 풀어 주므로
상한을 치료하는 처방들 가운데서는 첫째 가는 것이다.
시호 12g, 속썩은풀(황금) 8g, 인삼, 끼무릇(반하) 각각 4g, 감초 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3쪽, 대추 2알과 함께 물에 달여 먹는다[입문].
一名 [三禁湯] 以其禁發汗 禁利小便 禁利大便
故只用此藥 乃和解之劑也(入門).
일명 삼금탕(三禁湯)이라고도 하는데 이 이름은 땀을 내거나
오줌이 잘 나가게 하거나 설사를 시키지 말아야 한다는 의미에서 지은 이름이다.
이 약은 화해시키는 약제이다[입문].
專治少陽 半表裏證 及汗下後 不解 過經不解 時氣瘟疫
熱入血室 等證 其間有五證 尤爲的當 傷寒五六日
心煩喜嘔者一也, 寒熱往來者 二也, 耳聾胸痞者 三也,
發潮熱者 四也, 差後發熱者 五也 此五證 尤爲可服(入門).
一名 [人蔘湯] (得效).
소양병 반표반리증과 땀을 내고 설사시켜도 풀리지 않고
나을 때가 지났어도 낫지 않는 것, 돌림온역[瘟疫], 혈실(血室)에
열사가 들어간 증상들을 주로 치료한다.
그 중에서도 아래의 5가지 증상에 더 적당하다.
그 첫째는 상한(傷寒)에 걸린 지 5-6일이 되어 속이 답답하고
자주 구역질하는 것이고 둘째는 추웠다 열이 났다 하는 것이며
셋째는 귀가 먹고 가슴이 더부룩한 것[ 滿]이고
넷째는 조열(潮熱)이 나는 것이며
다섯째는 나은 다음에도 열이 나는 것이다[입문].
일명 인삼탕(人蔘湯)이라고도 한다[득효].
[小柴胡湯] [和解散] 若 加 黑豆一撮 煎 名曰[火邪湯](入門).
소시호탕은 일명 화해산(和解散)이라고도 한다.
검정콩(흑두) 한자밤을 더 넣어 달인 것은 화사탕(火邪湯)이라고 한다[입문].

[參歸益元湯][삼귀익원탕]
治注夏病 其證 頭眩眼花 腿痠脚弱 五心煩熱
口苦舌乾 精神困倦 好睡 飮食減少 脈數無力.
當歸 白芍藥 熟地黃 白茯苓 麥門冬 各4g
陳皮 知母 黃栢並酒炒 各3g
人蔘2g, 甘草1g, 五味子10粒
剉作一貼 入棗一枚 米一撮 水煎服(回春).
주하병(注夏病)을 치료한다.
그 증상으로는 머리가 어지럽고[頭眩] 눈앞에 꽃 같은 것이 보이며
넓적다리가 시리고[腿 ] 또 다리가 약해지며 가슴과 손발바닥[五心]에서
번열(煩熱)이 나고 입이 쓰며 혀가 마르고 정신이 피곤해 하며[精神困倦]
잠자기를 좋아하며 음식을 적게 먹고 맥은 삭(數)하면서 힘이 없다.
당귀, 집함박꽃뿌리(백작약), 찐지황, 흰솔풍령(백복령), 맥문동 각각 4g,
귤껍질(陳皮), 지모, 황백(다 술에 축여 볶은 것) 각각 2.8g,
인삼 2g, 감초 1.2g, 오미자 10알.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대추 1알,
쌀 한 자밤과 함께 물에 넣고 달여 먹는다[회춘].

'[處方箋] > [處方湯]' 카테고리의 다른 글

[參芪健中湯][삼기건중탕]   (0) 2019.01.19
[三禁湯][삼금탕]  (0) 2019.01.19
[參歸養榮湯][삼귀양영탕]  (0) 2019.01.19
[山梔地黃湯][산치지황탕]  (0) 2019.01.19
[散聚湯][산취탕]   (0) 2019.01.19

[參歸養榮湯][삼귀양영탕]
治風痰痓 陰痓
人蔘 當歸 川芎 白芍藥 熟地黃 白朮 白茯苓 陳皮 各4g, 甘草2g
剉作一貼 入薑三片棗二枚 水煎服(回春).
풍담치(風痰 )와 음치(陰 )를 치료한다.
인삼, 당귀, 궁궁이(천궁), 집함박꽃뿌리(백작약), 찐지황(숙지황),
흰삽주(백출), 흰솔풍령(백복령), 귤껍질(陳皮) 각각 4g, 감초 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3쪽,
대추 2알과 함께 물에 달여 먹는다[회춘].

'[處方箋] > [處方湯]' 카테고리의 다른 글

[三禁湯][삼금탕]  (0) 2019.01.19
[參歸益元湯][삼귀익원탕]   (0) 2019.01.19
[山梔地黃湯][산치지황탕]  (0) 2019.01.19
[散聚湯][산취탕]   (0) 2019.01.19
[散腫潰堅湯][산종궤견탕]   (0) 2019.01.19

[山梔地黃湯][산치지황탕]
治先吐痰後見血, 宜以降痰火爲急.
山梔仁 一錢二分,
生地黃, 赤芍藥, 知母, 貝母, 瓜蔞仁 各一錢,
天花粉, 牡丹皮, 麥門冬 各五分.
右剉作一貼, 水煎服[入門].
먼저 가래를 토한 다음 피가 나오는 것을 치료한다.

이때는 담화(痰火)를 먼저 내려야 한다.
산치자인 한 돈 두 푼,
생지황, 적작약, 지모, 패모, 과루인 각 한 돈,
천화분, 목단피, 맥문동 각 다섯 푼.
위의 약들을 썰어 한 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먹는다(입문).

[山梔地黃湯][산치지황탕]
治 先吐痰 後見血 宜以降痰火 爲急
山梔仁4.8g,
生地黃, 赤芍藥, 知母, 貝母, 瓜婁仁 各4g
天花粉, 牧丹皮, 麥門冬 各2g
爲 剉 作一貼 水煎服(入門).
가래를 토한 다음에 피가 나오는 것을 치료한다.
이런 때에는 먼저 담화를 내려야 한다.
산치자 4.8g,
생지황, 함박꽃뿌리(작약), 지모, 패모, 하늘타리씨(과루인) 각각 4g,
하늘타리뿌리(과루근), 모란껍질(목단피), 맥문동 각각 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먹는다[입문]. 

'[處方箋] > [處方湯]' 카테고리의 다른 글

[參歸益元湯][삼귀익원탕]   (0) 2019.01.19
[參歸養榮湯][삼귀양영탕]  (0) 2019.01.19
[散聚湯][산취탕]   (0) 2019.01.19
[散腫潰堅湯][산종궤견탕]   (0) 2019.01.19
[酸棗仁湯][산조인탕]  (0) 2019.01.19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