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參芪湯][삼기탕]
治肛門虛寒脫出.
人蔘, 黃芪 蜜炒, 當歸, 白朮, 生地黃, 白芍藥 酒炒, 白茯苓 各一錢,
升麻, 桔梗, 陳皮, 乾薑 炒 各五分,
甘草 灸 三分.
右剉作一貼, 水煎服[回春].
항문이 약하고 차서 빠져나온 것을 치료한다.
인삼, 황기(꿀물에 축여 볶은 것), 당귀, 백출, 생지황,
백작약(술에 축여 볶은 것), 백복령 각 한 돈,
승마, 길경, 진피, 건강(볶은 것) 각 닷 푼,
감초(구운 것) 서 푼.
위의 약들을 썰어 한 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먹는다(회춘).
[參芪湯][삼기탕]
治氣虛遺尿
人參 黃芪蜜炒 白茯苓 當歸 熟地黃 白朮 陳皮 各4g
益智仁硏3g
升麻 肉桂 各2g
甘草1g
剉作一貼 薑三片棗二枚 水煎 空心服 老人 加炮附子(回春).
기(氣)가 허하여 오줌이 나오는 것을 알지 못하는 것을 치료한다.
인삼, 황기(꿀물에 축여 볶은 것), 흰솔풍령(백복령), 당귀, 찐지황(숙지황),
흰삽주(백출), 귤껍질(陳皮) 각각 4g,
익지인(간 것) 3.2g,
승마, 육계 각각 2g,
감초 1.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3쪽,
대추 2알과 함께 물에 달여서 빈속에 먹는다.
늙은이에게는 포부자( 附子)를 더 넣어 쓴다[회춘].
[參芪湯][삼기탕]
治氣虛遺尿.
人蔘, 黃芪 蜜炒, 白茯苓, 當歸, 熟地黃, 白朮, 陳皮 各一錢,
益智仁 硏 八分,
升麻, 肉桂 各五分,
甘草 三分.
右剉作一貼, 薑三片棗二枚, 水煎空心服. 老人加炮附子[回春].
기가 허약하여 오줌이 저절로 나오는 것을 치료한다.
인삼, 황기(꿀물에 축여 볶은 것), 백복령, 당귀, 숙지황, 백출,
진피 각 한 돈,
익지인(간 것) 여덟 푼, 승마·육계 각 다섯 푼,
감초 서 푼.
위의 약들을 썰어 한 첩으로 하여, 생강 세 쪽과 대추 두 개를 넣고 물에 달여 빈속에
먹는다.
노인은 포부자를 더 넣는다(회춘).
[參芪湯][삼기탕]
治虛人盜汗.
人蔘, 黃芪, 白朮, 白茯苓, 白扁豆, 山藥, 陳皮, 乾葛, 半夏麴, 甘草 各一錢.
右剉作一貼, 水煎服[丹心].
허약한 사람의 도한을 치료한다.
인삼, 황기, 백출, 백복령, 백편두, 산약, 진피, 건갈, 반하국, 감초 각
한 돈.
위의 약들을 썰어 한 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먹는다(단심).
[參芪湯][삼기탕]
治 虛人盜汗
人參, 黃芪, 白朮, 白茯苓, 白萹豆,
山藥, 陳皮, 乾葛
半夏麴, 甘草 各4g
剉作一貼 水煎服(丹心).
허(虛)해서 식은땀이 나는 것을 멎게 한다.
인삼, 흰삽주(백출), 흰솔풍령(백복령), 까치콩(백편두),
마(서여), 귤껍질(陳皮), 칡뿌리(갈근), 반하국, 감초 각각 4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먹는다[단심].
[參芪湯] [삼기탕]
治自汗.
黃芪 蜜炒, 人蔘, 白朮, 白茯苓, 當歸, 熟地黃, 白芍藥 酒炒, 酸棗仁 炒, 牡蠣粉 各一錢,
陳皮 七分, 甘草 二分.
右剉作一貼, 棗二枚浮小麥一撮烏梅一箇, 同煎服[醫鑑].
자한을 치료한다.
황기(꿀물에 축여 볶은 것), 인삼, 백출,
백복령, 당귀, 숙지황,
백작약(술에 축여 볶은 것), 산조인(볶은 것), 모려분 각
한 돈,
진피 일곱 푼, 감초 두
푼.
위의 약들을 썰어 한 첩으로 하여, 대추 두
개와 부소맥 한
움큼,
오매 한 개와 함께 달여 먹는다(의감).
[參芪湯][삼기탕]
治 自汗
黃芪蜜炒, 人參, 白朮, 白茯苓, 當歸, 熟地黃, 白芍藥酒炒
酸棗仁炒, 牡蠣粉 各4g, 陳皮3g, 甘草1g
剉作一貼 棗二枚 浮小麥 一撮 烏梅一箇 同煎服(醫鑒).
저절로 땀이 나는 것을 멎게 한다.
황기(꿀물에 축여 볶은 것), 인삼, 흰삽주(백출), 흰솔풍령(백복령), 당귀,
찐지황(숙지황), 집함박꽃뿌리(백작약, 술에 축여 볶은 것), 메대추씨(닦은 것),
굴조개껍질(모려) 각각 4g, 귤껍질(陳皮) 2.8g, 감초 0.8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대추 2알, 밀쭉정이 한자밤, 오매 1개와 함께 달여 먹는다[의감].
[參朮湯][삼출탕]
治脾胃虛弱 元氣不能榮於心肺 四肢沈重 食後昏悶沈困
黃芪8g, 蒼朮4g, 神麯3g
人參 陳皮 靑皮 甘草 各2g
柴胡 升麻 黃栢 當歸身1g
剉作一貼 水煎服(東垣)
一名 [參芪湯] (回春).
비위가 허약하여 원기가 심(心)과 폐(肺)를 영양하지 못하기 때문에
팔다리가 무겁고 밥 먹은 뒤에 정신이 흐릿하며 답답하고 몹시 노곤한 것을 치료한다.
단너삼(황기) 8g, 삽주(창출) 4g, 약누룩(신국) 2.8g,
인삼, 귤껍질(陳皮), 선귤껍질(청피), 감초 각각 2g,
승마, 시호, 황백, 당귀 각각 1.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먹는다[동원].
일명 삼기탕 이라고도 한다[회춘].
[加減三奇湯][가감삼기탕]
治咳喘上氣 痰涎不利
半夏8g
桔梗 陳皮 靑皮 人參 桑白皮 紫蘇葉 杏仁 五味子 各4g 甘草2g
剉作一貼 入薑三 水煎服(東垣).
기침이 나고 숨이 차며 기가 치밀어 오르고
담연(痰涎)이 잘 나가지 않는 것을 치료한다.
끼무릇(반하) 8g,
도라지(길경), 귤껍질(陳皮), 선귤껍질(청피), 인삼,
뽕나무뿌리껍질(상백피), 차조기잎(자소엽), 살구씨(행인), 오미자 각각 4g,
감초 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3쪽과 함께 물에 달여 먹는다[동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