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茯神湯][복신탕]
治六脈虛軟, 咳則心痛, 喉中吤吤如哽狀.
茯神, 人蔘, 遠志, 通草, 麥門冬, 黃芪, 桔梗 各七分,
五味子, 甘草 各三分.
右剉作一貼, 薑二片水煎服[濟生].
육맥[左右寸關尺]에 허맥과 연맥이 나타나고,

기침할 때 가슴이 아프며 목구멍에 무엇인가 걸린 듯하여 캑캑거리는 것을 치료한다.
복신, 인삼, 원지, 통초, 맥문동, 황기, 길경 각 일곱 푼,
오미자, 감초 각 서 푼.
위의 약들을 썰어 한 첩으로 하여 생강 두 쪽을 넣고 물에 달여 먹는다(제생).

'[處方箋] > [處方湯]' 카테고리의 다른 글

[復元活血湯][복원활혈탕]   (0) 2019.01.18
[茯神黃芪湯][복신황기탕]   (0) 2019.01.18
[茯苓湯][복령탕]  (0) 2019.01.18
[茯苓調血湯][복령조혈탕]  (0) 2019.01.18
[茯苓渗濕湯][복령삼습탕]   (0) 2019.01.18

[茯苓湯][복령탕]
治痛痺四肢疼痛拘攣浮腫
赤茯巔桑白皮 各一錢半
防風桂皮川芎芍藥麻黃 各一錢
右犫作一貼入棗二枚水煎服汗出爲效[宣明]
통비(痛痺)로 팔다리가 아프고 가드라들면서 붓는 것[拘攣浮腫]을 치료한다.
벌건솔풍령(적복령), 뽕나무뿌리껍질(상백피) 각각 6g,
방풍, 계피, 궁궁이(천궁), 집함박꽃뿌리(작약), 마황 각각 4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대추 2알과 함께
물에 달여 먹고 땀을 내면 낫는다[선명].

[茯苓湯][복령탕]
治遠近 楊梅天疱瘡毒 甚至腐爛肌肉 膿汁流出 臭不可聞 痛不可忍
薏苡仁 皂角刺 木瓜 白芷 當歸尾 黃栢 生地黃 牛膝 白芍藥 防風 各40g
조角 川椒 紅花各20g
甘草節 羗活 各28g
金銀花75g 土茯苓150g
爲剉 分作15貼 每一貼 水煎服 日2次(醫鑒).
오래되었거나 갓 생긴 양매창, 천포창의 독이 심하여 썩어 진물면서
고름이 계속 나오고 가까이 할 수 없이 역한 냄새가 나고
참을 수 없이 아픈 것을 치료한다.
율무쌀(의이인), 주염나무가시(조각자), 모과, 구릿대(백지), 당귀(잔뿌리),
황백, 생지황, 쇠무릎(우슬), 집함박꽃뿌리(백작약), 방풍 각각 40g,
주염열매(조각), 조피열매(산초), 잇꽃(홍화) 각각 20g,
감초마디, 강호리(강활) 각각 28g, 금은화 80g, 우여량 160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5첩으로 나누어 한번에 1첩씩 하루 두번 물에 달여 먹는다[의감].

[加味茯苓湯][가미복령탕]
治痰迷心包, 健忘失事, 言語如痴.
人蔘, 半夏 製, 陳皮 各一錢半,
白茯苓, 香附子, 益智仁 各一錢,
甘草 五分.
右剉作一貼, 薑三片烏梅一箇, 同煎服[得效].
담이 심포를 어지러이 막아 생각한 것을 잘 잊어버리고
하여야 할 일을 잊으며 말하는 것이 멍청한 것을 치료한다.
인삼, 반하(법제한 것), 진피 각 한 돈 반,
백복령, 향부자, 익지인 각 한 돈,
감초 다섯 푼.
위의 약들을 썰어 한 첩으로 하여,
생강 세 쪽과 오매 한 개를 더 넣고 함께 달여 먹는다(득효).

'[處方箋] > [處方湯]' 카테고리의 다른 글

[茯神黃芪湯][복신황기탕]   (0) 2019.01.18
[茯神湯][복신탕]  (0) 2019.01.18
[茯苓調血湯][복령조혈탕]  (0) 2019.01.18
[茯苓渗濕湯][복령삼습탕]   (0) 2019.01.18
[茯苓五味子湯][복령오미자탕]  (0) 2019.01.18

[茯苓調血湯][복령조혈탕]
治酒麪過度, 房勞後, 小便出血.
半赤茯苓 一錢,
半赤芍藥, 川芎, 半夏 麴 各七分,
前胡, 柴胡, 靑皮, 枳殼, 桔梗, 桑白皮, 白茅根, 燈心, 甘草 各五分.
右剉作一貼, 薑五片蜜二匙, 水煎服[得效].
술과 밀가루 음식을 지나치게 먹거나 성생활이 지나쳐 오줌에 피가 섞여나오는 것을 치료한다.
적복령(약간 붉은 것) 한 돈,
적작약(약간 붉은 것), 천궁, 반하국 각 일곱 푼,
전호, 시호, 청피, 지각, 길경, 상백피, 백모근, 등심, 감초 각 다섯 푼.
위의 약들을 썰어 한 첩으로 하여, 생강 다섯 쪽과 꿀 두 숟가락을 넣고 물에 달여 먹는다(득효).

'[處方箋] > [處方湯]' 카테고리의 다른 글

[茯神湯][복신탕]  (0) 2019.01.18
[茯苓湯][복령탕]  (0) 2019.01.18
[茯苓渗濕湯][복령삼습탕]   (0) 2019.01.18
[茯苓五味子湯][복령오미자탕]  (0) 2019.01.18
[茯苓渗濕湯][복령삼습탕]   (0) 2019.01.18

[茯苓渗濕湯][복령삼습탕]
治濕熱黃疸
茵蔯二錢, 赤茯巔澤瀉猪巔各一錢,
黃連 黃芩 梔子 防己 白朮 蒼朮 陳皮 靑皮 枳實 各五分
右犫作一貼水煎服
一名 [茯苓除濕湯] [寶鑑]
습열로 생긴 황달을 치료한다.
더위지기(인진) 8g,
벌건솔풍령(적복령), 택사, 저령 각각 4g,
황련, 속썩은풀(황금), 산치자, 방기, 흰삽주(백출),
삽주(창출), 귤껍질(陳皮), 선귤껍질(靑皮), 지실 각각 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먹는다.
일명 복령제습탕(茯苓除濕湯)이라고도 한다[보감].

'[處方箋] > [處方湯]' 카테고리의 다른 글

[茯苓湯][복령탕]  (0) 2019.01.18
[茯苓調血湯][복령조혈탕]  (0) 2019.01.18
[茯苓五味子湯][복령오미자탕]  (0) 2019.01.18
[茯苓渗濕湯][복령삼습탕]   (0) 2019.01.18
[茯苓五味子湯][복령오미자탕]  (0) 2019.01.18

[茯苓五味子湯][복령오미자탕]
治支飮, 手足冷痺, 多唾, 小腹氣上衝胸咽, 面熱如醉, 時復眩冒.
赤茯苓 二錢,
桂心, 甘草 各一錢半,
五味子 一錢二分半.
右剉作一貼, 水煎服.
支飮法當冒, 冒者必嘔, 嘔者復滿, 加半夏以去其飮, 飮去, 嘔則止[仲景].
지음으로 손발이 차고 저리며 가래침을 자주 뱉고,
아랫배에서 가슴 목구멍까지 기가 치밀어올라 얼굴에 열이 나는 것이
마치 술에 취한 것 같고, 때때로 어지러운 것을 치료한다.
적복령 두 돈,
계심, 감초 한 돈 반,
오미자 한 돈 두 푼 반.
위의 약들을 썰어 한 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먹는다.
지음이 있으면 반드시 어지럼증이 생기고,

어지럽게 되면 반드시 구역질을 하며,
구역질을 하면 다시 가슴이 그득하다.
이런 때는 반하를 더 넣어 그 음(飮)을 없앤다.
음이 없어지면 구역질도 그친다(중경).

[渗濕湯][복령삼습탕]
治濕熱黃疸
茵蔯二錢, 赤茯巔澤瀉猪巔各一錢,
黃連 黃芩 梔子 防己 白朮 蒼朮 陳皮 靑皮 枳實 各五分
右犫作一貼水煎服
一名 [茯苓除濕湯] [寶鑑]
습열로 생긴 황달을 치료한다.
더위지기(인진) 8g,
벌건솔풍령(적복령), 택사, 저령 각각 4g,
황련, 속썩은풀(황금), 산치자, 방기, 흰삽주(백출),
삽주(창출), 귤껍질(陳皮), 선귤껍질(靑皮), 지실 각각 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먹는다.
일명 복령제습탕(茯苓除濕湯)이라고도 한다[보감].

[茯苓五味子湯][복령오미자탕]
治支飮, 手足冷痺, 多唾, 小腹氣上衝胸咽, 面熱如醉, 時復眩冒.
赤茯苓 二錢,
桂心, 甘草 各一錢半,
五味子 一錢二分半.
右剉作一貼, 水煎服.

支飮法當冒, 冒者必嘔, 嘔者復滿, 加半夏以去其飮, 飮去, 嘔則止[仲景].
지음으로 손발이 차고 저리며 가래침을 자주 뱉고,

아랫배에서 가슴 목구멍까지 기가 치밀어올라 얼굴에 열이 나는 것이

마치 술에 취한 것 같고, 때때로 어지러운 것을 치료한다.
적복령 두 돈,
계심, 감초 한 돈 반,
오미자 한 돈 두 푼 반.
위의 약들을 썰어 한 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먹는다.
지음이 있으면 반드시 어지럼증이 생기고, 어지럽게 되면 반드시 구역질을 하며,

구역질을 하면 다시 가슴이 그득하다.
이런 때는 반하를 더 넣어 그 음(飮)을 없앤다.
음이 없어지면 구역질도 그친다(중경).

[渗濕湯][복령삼습탕]
治濕熱黃疸
茵蔯二錢, 赤茯巔澤瀉猪巔各一錢,
黃連 黃芩 梔子 防己 白朮 蒼朮 陳皮 靑皮 枳實 各五分
右犫作一貼水煎服
一名 [除濕湯] [寶鑑]
습열로 생긴 황달을 치료한다.
더위지기(인진) 8g,
벌건솔풍령(적복령), 택사, 저령 각각 4g,
황련, 속썩은풀(황금), 산치자, 방기, 흰삽주(백출),
삽주(창출), 귤껍질(陳皮), 선귤껍질(靑皮), 지실 각각 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먹는다.
일명 복령제습탕(茯 除濕湯)이라고도 한다[보감].

[茯苓四逆湯][복령사역탕]
治 傷寒 太陽證 厥而心下悸 汗下後煩躁者
茯苓150g,  人參40g,  甘草75g,  乾薑60g,
生附子一枚, 淸水5升 去滓溫服

[茯苓補心湯][복령보심탕]
治勞心吐血.
白芍藥 二錢,
熟地黃 一錢半,
當歸 一錢三分,
川芎, 白茯苓, 人蔘, 前胡, 半夏 各七分,
陳皮, 枳殼, 桔梗, 乾葛, 紫蘇葉, 甘草 各五分.
右剉作一貼, 薑五片棗二枚, 煎服[三因].
마음 고생을 하여 피를 토하는 것을 치료한다.
백작약 두 돈,
숙지황 한 돈 반,
당귀 한 돈 서 푼,
천궁, 백복령, 인삼, 전호, 반하 각 일곱 푼,
진피, 지각, 길경, 갈근, 자소엽, 감초 각 다섯 푼.
위의 약들을 썰어 한 첩으로 하여, 생강 다섯 쪽과 대추 두 알을 넣고 달여 먹는다(삼인).

[茯苓補心湯][복령보심탕]
治心汗. 心汗者, 心孔有汗, 別處無也. 因七情鬱結而成.
白茯苓, 人蔘, 白朮, 當歸, 生地黃, 酸棗仁 炒, 白芍藥, 麥門冬, 陳皮, 黃連 各一錢,
甘草 三分,
朱砂 五分 別爲末.
右剉作一貼, 棗二枚烏梅一箇浮小麥百粒同煎, 調朱砂末服之[回春].
심한을 치료한다. 심한은 심장 부위에서 땀이 나고, 다른 곳에서는 땀이 나지 않는 것이다.
일곱 가지 감정이 지나쳐 [기가] 뭉쳐서 생긴다.
백복령, 인삼, 백출, 당귀, 생지황, 산조인(볶은 것), 백작약, 맥문동, 진피, 황련 각 한 돈,

감초 서 푼,
주사 다섯 푼(따로 가루낸다).
위의 약들을 썰어 한 첩으로 하여, 주사를 제외한 약들을 대추 두 개, 오매 한 개,
부소맥 백 개와 함께 달여서 여기에 주사가루를 타서 먹는다(회춘).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