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百合知母湯][백합지모탕]
治汗後百合證
百合7枚, 知母40g
爲先將百合水浸一宿 當白沫出 去其水
更以井水二盞 煎至一盞 去滓 二汁和勻
同煎 取一盞 半分 溫 再服(仲景).
땀낸 뒤의 백합증을 치료한다.
나리(백합) 7개, 지모 40g.
위의 약에서 먼저 나리를 하룻밤 물에 담갔다가
흰 거품[百沫]이 나오면 그 물을 버리고 다시 깨끗한 물 2잔에 넣고
달여 1잔이 되면 찌꺼기를 버린다.
또 깨끗한 물 2잔에 지모를 넣고 달여 1잔이 되면 찌꺼기를 버리고
위의 달인 약물과 함께 다시 달여 1잔 반이 되게 한 다음
두번에 나누어 따뜻하게 하여 먹는다[중경].

[百合雞子湯][백합계자탕]
治吐後 百合病
百合7枚 雞子黃一箇
爲先將百合水浸一宿 當白沫出 去其水 更以井水二升
煎至一盞 去渣納雞子黃 攪勻溫服(仲景).
토하게 한 뒤에 생긴 백합병을 치료한다.
나리(백합) 7개, 달걀 노른자위(계자황) 1개.
위의 약에서 먼저 나리를 하룻밤 물에 담갔다가 흰거품이 나오면
그 물을 버리고 다시 깨끗한 물 2되에 넣고 달여 1잔이 되면 찌꺼기를 버린다.
그 약물에 달걀 노른자위를 넣고 고루 저어서 따뜻하게 하여 먹는다[중경].

[白通湯][백통탕]
少陰病 下利 脈絶
乾薑12g, 附子生半箇, 葱白三莖,
爲剉 水煎服(入門).
少陰證 下利厥逆 脈不至 煩躁 白通湯
煎水 和童尿一合 猪膽汁半枚 服之(入門).
소음병(少陰病)으로 설사가 나고 맥이 미(微)한 것을 치료한다.
건강 12g, 생부자 반 개, 파밑(총백) 3대.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먹는다[입문].
소음병 때 설사가 나고 손발이 싸늘하며 맥이 알리지 않고
답답하여 날치는[煩躁] 데는 백통탕에 저담 반 개를 타서 먹는다[입문].

[加減白通湯][가감백통탕]
治沈寒痼冷 臍腹冷痛 大便自利 足脛寒而逆
附子炮8g
乾薑炮 肉桂 草豆蔲煨 半夏 人蔘 白朮 甘草灸 各4g
剉作一貼 入薑五片 葱白五莖 水煎服仍灸氣海 三里穴(寶鑑).
침한고랭(沈寒痼冷)으로 배꼽노리가 차고 아프며
저절로 설사가 나고 발과 정강이가 차서 올라오는 것을 치료한다.
부자(싸서 구운 것) 8g,
건강(싸서 구운 것), 육계, 초두구(잿불에 묻어 구운 것),
끼무릇(반하), 인삼, 흰삽주(백출), 감초(닦은 것) 각각 4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5쪽,
파밑(총백) 5대와 함께 물에 넣고 달여 먹고 나서
기해(氣海)와 삼리(三里) 혈에 뜸을 뜬다[보감]. 

[白通加猪膽汁湯][백통가저담즙탕]
白通湯 煎水 和童尿一合 猪膽汁半枚 服之(入門).


[한국전통지식포털]

소음병()으로 궐냉()하고 설사를 하며 건구()를 하고,

맥()이 부지()하고 번조() 한 것을 치료하는 처방임

'[處方箋] > [處方湯]' 카테고리의 다른 글

[百合雞子湯][백합계자탕]   (0) 2019.01.17
[白通湯][백통탕]  (0) 2019.01.17
[白朮厚朴湯][백출후박탕]   (0) 2019.01.17
[白朮湯][백출탕]   (0) 2019.01.17
[白朮附子湯][백출부자탕]   (0) 2019.01.17

[白朮厚朴湯][백출후박탕]
民病飱泄 霍亂 體重 腹痛 筋骨繇倂肌肉瞤痠 善怒
白朮 厚朴 半夏 桂心 藿香 靑皮 各4g
乾薑炮 甘草灸 各2g
剉作一貼 入薑三片 棗二枚 水煎服.(三因).
흰삽주(백출), 후박, 끼무릇(반하), 계심, 곽향, 선귤껍질(청피) 각각 4g,
건강(싸서 구운 것), 감초(닦은 것) 각각 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3쪽,
대추 2알과 함께 물에 달여 먹는다[삼인].

'[處方箋] > [處方湯]' 카테고리의 다른 글

[白通湯][백통탕]  (0) 2019.01.17
[白通加猪膽汁湯][백통가저담즙탕]   (0) 2019.01.17
[白朮湯][백출탕]   (0) 2019.01.17
[白朮附子湯][백출부자탕]   (0) 2019.01.17
[白朮茯苓湯][백출복령탕]   (0) 2019.01.17

[白朮湯][백출탕]
治破傷風 大汗不止 筋攣搐搦
白芍藥12g
白朮 葛根 各8g
升麻 黃芩 各4g, 甘草2g
剉作一貼 水煎服(丹心).
파상풍(破傷風)으로 땀이 멎지 않고 나오며
힘줄이 가드라들면서 온몸에 경련이 일어나는 것을 치료한다.
집함박꽃뿌리(백작약) 12g,
흰삽주(백출), 칡뿌리(갈근) 각각 8g,
승마, 속썩은풀(황금) 각각 4g, 감초 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먹는다[단심].

[白朮附子湯][백출부자탕]
治風濕 身煩疼 不能轉側.
白朮12g
附子炮 甘草灸 各4g.
剉作一貼 入薑七棗二 水煎服(仲景).
풍습(風濕)으로 몸이 안타깝게 아파서 옆으로 돌리지도 못하는 것을 치료한다.
흰삽주(백출) 12g, 부자(싸서 구운 것), 감초(닦은 것) 각각 4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7쪽,
대추 2알과 함께 물에 넣고 달여 먹는다[중경].

'[處方箋] > [處方湯]' 카테고리의 다른 글

[白朮厚朴湯][백출후박탕]   (0) 2019.01.17
[白朮湯][백출탕]   (0) 2019.01.17
[白朮茯苓湯][백출복령탕]   (0) 2019.01.17
[白朮防風湯][백출방풍탕]   (0) 2019.01.17
[白芷湯][백지탕]  (0) 2019.01.17

[白朮茯苓湯][백출복령탕]
治風痰 羈絆於脾胃之間 惡心欲吐 宜實脾土
白朮 白茯苓 半夏 各12g
神麴炒4g, 麥芽麪2g
剉作一貼 薑五片 水煎服(東垣).
풍담이 비위 사이에 엉겨 있어서 메스꺼우면서 토할 것같은 것을 치료한다.
이런 때에는 반드시 비토를 실하게 하여야 한다.
흰삽주(백출), 흰솔풍령(백복령), 끼무릇(반하) 각각 12g,
약누룩(신국, 닦은 것) 4g, 보리길금(맥아, 가루낸 것) 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5쪽과 함께 물에 달여 먹는다[동원].

'[處方箋] > [處方湯]' 카테고리의 다른 글

[白朮湯][백출탕]   (0) 2019.01.17
[白朮附子湯][백출부자탕]   (0) 2019.01.17
[白朮防風湯][백출방풍탕]   (0) 2019.01.17
[白芷湯][백지탕]  (0) 2019.01.17
[白芷升麻湯][백지승마탕]   (0) 2019.01.17

[白朮防風湯][백출방풍탕]
治破傷風 發汗過多 自汗不止
防風16g
白朮 黃芪 各8g
剉作一貼 水煎服(入門).
파상풍으로 땀을 지나치게 내었거나
저절로 땀이 멎지 않고 나오는 것을 치료한다.
방풍 16g, 흰삽주(백출), 단너삼(황기) 각각 8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먹는다[입문].

'[處方箋] > [處方湯]' 카테고리의 다른 글

[白朮附子湯][백출부자탕]   (0) 2019.01.17
[白朮茯苓湯][백출복령탕]   (0) 2019.01.17
[白芷湯][백지탕]  (0) 2019.01.17
[白芷升麻湯][백지승마탕]   (0) 2019.01.17
[柏葉湯][백엽탕]  (0) 2019.01.17

[白芷湯][백지탕]
防風, 荊芥, 連翹, 白芷, 薄荷, 赤芍藥, 石膏 各一錢.
右剉作一貼, 水煎服[醫鑑].
방풍, 형개, 연교, 백지, 박하, 적작약, 석고 각 한 돈.
위의 약들을 썰어 한 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먹는다(의감).

'[處方箋] > [處方湯]' 카테고리의 다른 글

[白朮茯苓湯][백출복령탕]   (0) 2019.01.17
[白朮防風湯][백출방풍탕]   (0) 2019.01.17
[白芷升麻湯][백지승마탕]   (0) 2019.01.17
[柏葉湯][백엽탕]  (0) 2019.01.17
[白薇湯][백미탕]   (0) 2019.01.17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