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防己黃芪湯][방기황기탕]
治風濕身重痛自汗
防己黃妉各三錢

白朮二錢

甘草一錢半
右犫作一貼入薑三片棗二枚水煎服[正傳]
풍습으로 몸이 무겁고 아프며 저절로 땀이 나는 것을 치료한다.
방기, 단너삼(황기) 각각 12g,

흰삽주(백출) 8g,

감초 6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3쪽,
대추 2알과 함께 물에 넣고 달여 먹는다[정전].

'[處方箋] > [處方湯]' 카테고리의 다른 글

[防風溫膽湯][방풍온담탕]   (0) 2019.01.17
[防風白朮牡蠣湯][방풍백출모려탕]   (0) 2019.01.17
[防己湯][방기탕]   (0) 2019.01.17
[防己茯苓湯][방기복령탕]  (0) 2019.01.17
[撥雲湯][발운탕]  (0) 2019.01.17

[防己湯][방기탕]
治子腫
桑白皮 赤茯苓 紫蘇葉 各8g
防己6g,
木香2g,
剉作一貼 入薑五片 水煎服(醫鑒).
위와 같은 증상을 치료한다.
뽕나무뿌리껍질(상백피), 벌건솔풍령(적복령), 차조기잎(자소엽) 각각 8g,
방기 6g,
목향 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5쪽과 함께 물에 넣고 달여 먹는다[강목].

'[處方箋] > [處方湯]' 카테고리의 다른 글

[防風白朮牡蠣湯][방풍백출모려탕]   (0) 2019.01.17
[防己黃芪湯][방기황기탕]  (0) 2019.01.17
[防己茯苓湯][방기복령탕]  (0) 2019.01.17
[撥雲湯][발운탕]  (0) 2019.01.17
[半夏厚朴湯][반하후박탕]  (0) 2019.01.17

[防己茯苓湯][방기복령탕]
治皮水 上體腫
赤茯苓12g
防己 黃芪 桂枝 各6g,
甘草4g,
剉作一貼 水煎服(綱目).
피수(皮水)로 윗도리가 붓는 것을 치료한다.
벌건솔풍령(적복령) 12g,
방기, 단너삼(황기), 계지 각각 6g,
감초 4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먹는다[강목].

'[處方箋] > [處方湯]' 카테고리의 다른 글

[防己黃芪湯][방기황기탕]  (0) 2019.01.17
[防己湯][방기탕]   (0) 2019.01.17
[撥雲湯][발운탕]  (0) 2019.01.17
[半夏厚朴湯][반하후박탕]  (0) 2019.01.17
[半夏湯][반하탕]  (0) 2019.01.17

[撥雲湯][발운탕]
治眼生黑白瞖, 隱澁難開, 無疼痛.
乃足太陽膀胱爲命門相火煎熬, 逆行作寒水瞖.
羌活, 防風, 黃柏 各一錢,
荊芥, 藁本, 升麻, 當歸, 知母, 生甘草 各七分,
柴胡 五分,
川芎, 黃芪, 葛根, 細辛, 生薑 各三分.
右剉作一貼, 水煎, 食後服[東垣].
검거나 흰 예막이 눈에 생기면서 은근히 깔깔하여

눈을 뜰 수 없지만 아프지는 않은 것을 치료한다.
이것은 족태양방광경을 명문상화(命門相火)가 졸여서

거꾸로 올라가 방광경의 한수(寒水)로 인하여 생긴 예막이다.
강활, 방풍, 황백 각 한 돈,
형개, 고본, 승마, 당귀, 지모, 감초(날것) 각 일곱 푼,
시호 닷 푼,
천궁,황기, 갈근, 세신, 생강 각 서 푼.
위의 약들을 썰어 한 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식후에 먹는다(동원).

'[處方箋] > [處方湯]' 카테고리의 다른 글

[防己湯][방기탕]   (0) 2019.01.17
[防己茯苓湯][방기복령탕]  (0) 2019.01.17
[半夏厚朴湯][반하후박탕]  (0) 2019.01.17
[半夏湯][반하탕]  (0) 2019.01.17
[半夏左經湯][반하좌경탕]  (0) 2019.01.17

[半夏厚朴湯][반하후박탕]
通治脹滿諸證.
半夏4g
厚朴 神麴 各3g
蘇木 紅花 三菱 當歸稍 猪苓 升麻 肉桂 蒼朮 白茯苓 澤瀉 柴胡 陳皮
生黃芩 草豆蔲 生甘草 木香 靑皮 吳茱萸 黃連 乾生薑 各2g
桃仁7箇

昆布少許
剉作一貼 水煎服(東垣).
창만 때의 여러 가지 증상을 다 치료한다.
끼무릇(반하) 4g,

후박, 약누룩(신국) 3g,
소목, 잇꽃(홍화), 삼릉, 당귀(잔뿌리), 저령, 승마, 육계, 삽주(창출), 흰솔풍령(백복령),

택사, 시호, 귤껍질(陳皮), 속썩은풀(황금, 생것), 초두구, 감초(생것) , 목향,

선귤껍질(靑皮) , 오수유, 황련, 생강(말린 것) 각각 2g  
복숭아씨(도인) 7알, 다시마(곤포) 조금.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먹는다[동원].

'[處方箋] > [處方湯]' 카테고리의 다른 글

[防己茯苓湯][방기복령탕]  (0) 2019.01.17
[撥雲湯][발운탕]  (0) 2019.01.17
[半夏湯][반하탕]  (0) 2019.01.17
[半夏左經湯][반하좌경탕]  (0) 2019.01.17
[半夏溫肺湯][반하온폐탕]  (0) 2019.01.17

[半夏湯][반하탕]
治膽實熱煩悶.
生地黃, 酸棗仁 炒 各五錢,
半夏, 生薑 各三錢,
遠志, 赤茯苓 各二錢,
黃芩 一錢,
黍米 一合.
右剉, 每一兩, 長流水煎, 澄淸服[入門].
담의 실열로 가슴이 답답하고 괴로운 것을 치료한다.
생지황, 산조인(볶은 것) 각 다섯 돈,
반하, 생강 각 서 돈,
원지, 적복령 각 두 돈,
황금 한 돈,
기장쌀 한 홉.
위의 약들을 썰어 한 냥씩 장류수에 달여 찌꺼기를 가라앉힌 다음 먹는다(입문).

[半夏湯][반하탕]
治 膽實熱 煩悶
生地黃 酸棗仁炒 各20g,
半夏 生薑 各12g
遠志 赤茯苓 各8g,
黃芩4g 黍米一合.
剉每40g, 長流水煎澄淸服. (入門)
담에 실열(實熱)이 있어서 안타깝게 답답한 것[煩悶]을 치료한다.
생지황, 메대추씨(산조인, 닦은 것) 각각 20g,
끼무릇(반하), 생강 각각 12g,
원지, 벌건솔풍령(적복령) 각각 8g,
속썩은풀(황금) 4g, 기장쌀 1홉.
위의 약들을 썰어서 한번에 40g씩 강물에 달인 다음
가라앉혀 웃물을 받아 먹는다[입문].

'[處方箋] > [處方湯]' 카테고리의 다른 글

[撥雲湯][발운탕]  (0) 2019.01.17
[半夏厚朴湯][반하후박탕]  (0) 2019.01.17
[半夏左經湯][반하좌경탕]  (0) 2019.01.17
[半夏溫肺湯][반하온폐탕]  (0) 2019.01.17
[半夏生薑湯][반하생강탕]   (0) 2019.01.17

[半夏左經湯][반하좌경탕]
治足少陽經爲四氣流注, 發熱腫痛, 腰脚引痛.
柴胡 一錢半,
乾葛, 半夏, 赤茯苓, 白朮, 細辛, 麥門冬, 桂心, 防風, 白薑, 黃芩, 小草, 甘草 各五分.
右剉作一貼, 煎法同上[三因].
족소양경에 풍한서습의 네 가지 사기가 흘러 들어와 열이 나고 부으며 아픈 것과

허리와 다리가 당기면서 아픈 것을 치료한다.
시호 한 돈 반,
갈근, 반하, 적복령, 백출, 세신, 맥문동, 계심, 방풍, 건강, 황금, 원지, 감초 각 닷 푼.
위의 약들을 썰어 한 첩으로 하여 앞의 처방과 같은 방법으로 달여 먹는다(삼인).

'[處方箋] > [處方湯]' 카테고리의 다른 글

[半夏厚朴湯][반하후박탕]  (0) 2019.01.17
[半夏湯][반하탕]  (0) 2019.01.17
[半夏溫肺湯][반하온폐탕]  (0) 2019.01.17
[半夏生薑湯][반하생강탕]   (0) 2019.01.17
[半夏瀉心湯][반하사심탕]  (0) 2019.01.17

[半夏溫肺湯][반하온폐탕]
治中脘有痰水, 心下注洋嘈雜, 多唾吐淸水, 不欲食.

此胃虛冷也, 其脈沈弦細遲.
半夏, 陳皮, 旋覆花, 人蔘, 細辛, 桂心, 桔梗, 白芍藥, 赤茯苓, 甘草 各一錢.
右剉作一貼, 薑五片, 煎服(東垣).
중완에 담수(痰水)가 있어 명치 밑에 물이 그득한 것 같고 쓰리면서 괴로운 증상이 있으며,

맑은 물을 자주 토해내면서 음식 생각이 없는 것을 치료하는데,

이것은 위(胃)가 허하고 냉하기 때문이며 그 맥은 침현세지하다.
반하, 진피, 선복화, 인삼, 세신, 계심, 길경, 백작약, 적복령, 감초 각 한 돈.
위의 약들을 썰어 한 첩으로 하여, 생강 다섯 쪽을 넣고 달여 먹는다.[동원]

'[處方箋] > [處方湯]' 카테고리의 다른 글

[半夏湯][반하탕]  (0) 2019.01.17
[半夏左經湯][반하좌경탕]  (0) 2019.01.17
[半夏生薑湯][반하생강탕]   (0) 2019.01.17
[半夏瀉心湯][반하사심탕]  (0) 2019.01.17
[半夏茯苓湯][반하복령탕]  (0) 2019.01.17

[半夏生薑湯][반하생강탕]
治噦欲死
半夏製20g
生薑切40g
爲剉 入靑竹茹雞子大 水煎服(活人).
一名 [鮮陳湯] (醫鑒).
딸꾹질이 나서 죽을 것같이 된 것을 치료한다.
끼무릇(반하, 법제한 것) 20g,
생강(썬 것) 40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청죽여 달걀만큼과 함께 물에 달여 먹는다[활인].
일명 선진탕(鮮陳湯)이라고도 한다[의감].

[半夏瀉心湯][반하사심탕]
治 傷寒痞氣, 傷寒嘔而發熱者, 藥心下滿而不痛, 此爲痞
半夏製8g,

黃芩, 人蔘, 甘草.各6g,
乾薑4g,
黃連2g,
剉作一貼入薑三片棗二枚, 水煎服(仲景)
끼무릇(반하, 법제한 것) 8g, 속

썩은풀(황금), 인삼, 감초 각각 6g,
건강 4g,
황련 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3쪽,
대추 2알과 함께 물에 넣고 달여 먹는다[중경].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