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木萸湯][목유탕]
治脚氣入腹, 喘悶欲死.
木瓜, 檳榔 各二錢半,
吳茱萸 一錢半.
右剉作一貼, 水煎服[入門].
각기가 배로 들어가서 숨이 차고 답답하여 죽을 것 같은 것을 치료한다.
모과, 빈랑 각 두 돈 반,
오수유 한 돈 반.
위의 약들을 썰어 한 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먹는다(입문).

'[處方箋] > [處方湯]' 카테고리의 다른 글

[木香導氣湯][목향도기탕]  (0) 2019.01.17
[木通湯][목통탕]  (0) 2019.01.17
[牡丹皮湯][목단피탕]  (0) 2019.01.16
[茅根湯][모근탕]   (0) 2019.01.16
[木瓜湯][모과탕]   (0) 2019.01.16

[牡丹皮湯][목단피탕]
治室女經閉, 咳嗽發熱.
當歸, 牡丹皮 各一錢半,
白芍藥, 生乾地黃, 陳皮, 白朮, 香附子 各一錢,
川芎, 柴胡, 黃芩 各七分,
甘草 四分.
右剉作一貼, 水煎服之[回春].
처녀가 월경이 나오지 않고 기침을 하며 열이 나는 것을 치료한다.
당귀, 목단피 각 한 돈 반,
백작약, 생건지황, 진피, 백출, 향부자 각 한 돈,
천궁, 시호, 황금 각 일곱 푼,
감초 너 푼.
위의 약들을 썰어 한 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먹는다(회춘).

'[處方箋] > [處方湯]' 카테고리의 다른 글

[木通湯][목통탕]  (0) 2019.01.17
[木萸湯][목유탕]  (0) 2019.01.17
[茅根湯][모근탕]   (0) 2019.01.16
[木瓜湯][모과탕]   (0) 2019.01.16
[明目細辛湯][명목세신탕]  (0) 2019.01.16

[茅根湯][모근탕]
治産後淋
白茅根160g, 

白茯苓80g,
瞿麥 葵子 人參 各40g
蒲黃 桃膠 滑石 甘草 各20g
紫貝5箇 石首魚頭中石16箇,
爲末 每8g 木通蕩調下 或爲粗末12g 燈心同煎服 亦可(三因).
해산 후에 오줌이 잘 나오지 않으면서 방울방울 떨어지는 것을 치료한다.
띠뿌리(모근) 160g,
흰솔풍령(백복령) 80g,
패랭이꽃(구맥), 돌아욱씨(규자), 인삼 각각 40g,
부들꽃가루(포황), 복숭아나무진(도교), 곱돌(활석), 감초 각각 20g,
자패 5개, 조기대가리 속의 흰뼈(石水魚頭中石) 16개.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한번에 8g씩 으름덩굴 달인 물에 타 먹거나
거칠게 가루내어 한번에 12g씩 골풀속살(등심초)과 함께 달여 먹어도 좋다[삼인].

'[處方箋] > [處方湯]' 카테고리의 다른 글

[木萸湯][목유탕]  (0) 2019.01.17
[牡丹皮湯][목단피탕]  (0) 2019.01.16
[木瓜湯][모과탕]   (0) 2019.01.16
[明目細辛湯][명목세신탕]  (0) 2019.01.16
[麥天湯][맥천탕]   (0) 2019.01.16

[木瓜湯][모과탕]
治霍亂轉筋
木瓜16g, 

 吳茱萸8g, 

 茴香炒4g, 

 甘草灸2g.
剉作一貼 入薑三片 紫蘇10葉 塩一撮烏梅一箇 同煎服(直旨).
[一法]
治轉筋不止欲死 男子以手挽 其陰 牽之 女子 則挽其乳 近兩傍牽之
此千金方 妙法也(丹心).
곽란으로 힘줄이 뒤틀리는 것을 치료한다.
모과 16g,

오수유 8g,

회향(닦은 것) 4g,

감초(닦은 것) 1.6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3쪽, 차조기잎(자소엽) 10잎,
소금 한자밤, 오매 1알과 함께 달여 먹는다[직지].
또 한가지 방법
힘줄이 뒤틀리는 것이 멎지 않아 죽을 것 같이 되었는데 남자이면
손으로 음낭을 잡아당겨 주고 여자이면 젖을 양쪽 옆으로 당겨주어야 한다.
이것은 천금방(千金方)에 있는 묘한 방법이다[단심].

'[處方箋] > [處方湯]' 카테고리의 다른 글

[牡丹皮湯][목단피탕]  (0) 2019.01.16
[茅根湯][모근탕]   (0) 2019.01.16
[明目細辛湯][명목세신탕]  (0) 2019.01.16
[麥天湯][맥천탕]   (0) 2019.01.16
[麥門冬湯][맥문동탕]   (0) 2019.01.16

[明目細辛湯][명목세신탕]
治同上.
羌活, 麻黃根 各一錢半,
防風 一錢,
荊芥 七分,
藁本, 白茯苓, 當歸梢 各五分,
生地黃, 蔓荊子, 川芎 各三分,
桃仁 五箇, 川椒 四箇, 細辛, 紅花 各二分.
右剉作一貼, 水煎服[東垣].
신효명목탕과 같은 증상을 치료한다.
강활, 마황근 각 한 돈 반,
방풍 한 돈,
형개 일곱 푼,
고본, 백복령, 당귀초 각 닷 푼,
생지황, 만형자, 천궁 각 서 푼,
도인 다섯 개,
천초 네 개,
세신, 홍화 각 두 푼.
위의 약들을 썰어 한 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먹는다(동원).

'[處方箋] > [處方湯]' 카테고리의 다른 글

[茅根湯][모근탕]   (0) 2019.01.16
[木瓜湯][모과탕]   (0) 2019.01.16
[麥天湯][맥천탕]   (0) 2019.01.16
[麥門冬湯][맥문동탕]   (0) 2019.01.16
[梅花湯][매화탕]   (0) 2019.01.16

[麥天湯][맥천탕]
治風邪 羈絆脾胃 有痰 惡心 欲吐
麥門冬6g, 

天麻5g
白朮 白茯苓 半夏 神麴 陳皮 各4g
剉作一貼 薑五 水煎服(入門).
비위에 풍사가 엉켜 있어서 담이 생기고 메스꺼워 토할 것 같은 것을 치료한다.
맥문동 6g,
천마 5.2g,
흰삽주(백출), 흰솔풍령(백복령), 끼무릇(반하), 약누룩(신국), 귤껍질(陳皮) 각각 4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5쪽과 함께 물에 달여 먹는다[입문].

'[處方箋] > [處方湯]' 카테고리의 다른 글

[木瓜湯][모과탕]   (0) 2019.01.16
[明目細辛湯][명목세신탕]  (0) 2019.01.16
[麥門冬湯][맥문동탕]   (0) 2019.01.16
[梅花湯][매화탕]   (0) 2019.01.16
[芒硝湯][망초탕]  (0) 2019.01.16

[麥門冬湯][맥문동탕]
民病瘧 少氣 喘咳 血溢 血泄 身熱 骨痛 爲浸淫
麥門冬 白芷 半夏 竹葉 鍾乳粉 桑白皮 紫菀茸 人蔘 各4g
甘草2g
剉作一貼 入薑三片 棗二枚 水煎服(三因).
맥문동, 구릿대(백지), 끼무릇(반하), 참대잎(죽엽), 종유분,
뽕나무뿌리껍질(상백피), 자원용, 인삼 각각 4g, 감초 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3쪽,
대추 2알과 함께 물에 달여 먹는다[삼인].

'[處方箋] > [處方湯]' 카테고리의 다른 글

[明目細辛湯][명목세신탕]  (0) 2019.01.16
[麥天湯][맥천탕]   (0) 2019.01.16
[梅花湯][매화탕]   (0) 2019.01.16
[芒硝湯][망초탕]  (0) 2019.01.16
[萬病二陳湯][만병이진탕]  (0) 2019.01.16

[梅花湯][매화탕]
治三消渴利神效
糯穀旋炒作曝 桑根白皮厚者細切 各20g
剉作一貼 水煎 渴則飮之 不拘時(得效).
3가지 소갈로 물을 마시기만 하면 오줌이 나오는 것을 치료하는 데 잘 낫는다.
찹쌀( 穀, 약간 닦아서 햇볕에 말린 것),
뽕나무뿌리껍질(상백피, 두꺼운 것을 잘게 썬 것) 각각 20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서 아무 때나 갈증이 날 때 마신다[득효].

'[處方箋] > [處方湯]' 카테고리의 다른 글

[麥天湯][맥천탕]   (0) 2019.01.16
[麥門冬湯][맥문동탕]   (0) 2019.01.16
[芒硝湯][망초탕]  (0) 2019.01.16
[萬病二陳湯][만병이진탕]  (0) 2019.01.16
[萬金湯][만금탕]   (0) 2019.01.16

[芒硝湯][망초탕]
治關格不通.
芒硝 二兩半,

滑石 三兩,

冬葵子 炒 三合.
右以滑石葵子爲末, 取五錢水煎至半, 入芒硝一錢, 再一沸, 空心服[總錄].
관격으로 통하지 않는 것을 치료한다.
망초 두 냥 반,

활석 석 냥,

동규자(볶은 것) 세 홉.
위의 약 중 활석과 동규자를 가루내어 다섯 돈을 물에 넣고 반이 되게 달인 다음,
망초 한 돈을 넣고 다시 한 번 끓어오르게 달여 빈속에 먹는다(총록).

'[處方箋] > [處方湯]' 카테고리의 다른 글

[麥門冬湯][맥문동탕]   (0) 2019.01.16
[梅花湯][매화탕]   (0) 2019.01.16
[萬病二陳湯][만병이진탕]  (0) 2019.01.16
[萬金湯][만금탕]   (0) 2019.01.16
[麻黃黃芩湯][마황황금탕]   (0) 2019.01.16

[萬病二陳湯][만병이진탕]
治痰濕泄瀉.
半夏, 陳皮, 赤茯苓, 白朮, 蒼朮, 山藥 各一錢,
縮砂, 厚朴, 木通, 車前子 炒, 甘草 灸 各五分.
右剉作一貼, 入薑三片烏梅一箇燈心一團, 水煎服[回春].
담습(痰濕)으로 인한 설사를 치료한다.
반하, 진피, 적복령, 백출, 창출, 산약 각 한 돈,
축사인, 후박, 목통, 차전자(볶은 것), 감초(구운 것) 각 다섯 푼.
위의 약들을 썰어 한 첩으로 하여, 생강 세 쪽과 오매 한 개,

등심초 한 움큼을 넣고 물에 달여 먹는다(회춘).
方氏曰 半夏 豁痰燥濕, 橘紅 消痰利氣,
茯苓 降氣滲濕, 甘草 補脾和中.
盖補脾 則不生濕 燥濕 滲濕 則不生痰 利氣降氣
則痰消解 可謂體用兼解 標本兩盡之藥 用者隨證加減(丹心).
방씨(方氏)가 “끼무릇(반하)은 담을 삭이고 습을 말리며
귤홍은 담을 삭이고 기를 고르롭게[利] 하며
솔풍령(복령)은 기를 내리고 습을 빠지게 한다.
감초는 비를 보하고 속을 조화시킨다”고 하였다.

'[處方箋] > [處方湯]' 카테고리의 다른 글

[梅花湯][매화탕]   (0) 2019.01.16
[芒硝湯][망초탕]  (0) 2019.01.16
[萬金湯][만금탕]   (0) 2019.01.16
[麻黃黃芩湯][마황황금탕]   (0) 2019.01.16
[麻黃湯][마황탕]   (0) 2019.01.16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