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萬金湯][만금탕]
治風補虛 及手足風累驗
續斷 杜冲 防風 白茯苓 牛膝 細辛 人蔘 桂皮 當歸 甘草 各3g
川芎 獨活 秦艽 熟地黃 各2g
剉作一貼 水煎服 若手指無力 不半劑 可愈(得效).
풍증(風證)을 치료하는데 허한 것을 보한다.
팔다리에 풍증이 생겨서 여러 번 써보았는데 효과가 좋았다.
속단, 두충, 방풍, 흰솔풍령(백복령), 쇠무릎(우슬), 족두리풀(세신),
인삼, 계피, 당귀, 감초 각각 3.2g,
궁궁이(천궁), 따두릅(독활), 진교, 찐지황(숙지황) 각각 1.6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먹는다.
손가락에 힘이 없는 것은 반 제(半劑)를 쓰지 않아 낫는다[득효].

'[處方箋] > [處方湯]' 카테고리의 다른 글

[芒硝湯][망초탕]  (0) 2019.01.16
[萬病二陳湯][만병이진탕]  (0) 2019.01.16
[麻黃黃芩湯][마황황금탕]   (0) 2019.01.16
[麻黃湯][마황탕]   (0) 2019.01.16
[麻黃蒼朮湯][마황창출탕]   (0) 2019.01.16

[麻黃黃芩湯][마황황금탕]
治夜發瘧
麻黃12g, 黃芩8g, 甘草6g, 桂心4g, 桃仁15枚
剉作 水煎 臨臥服.
桃仁 味苦甘辛 肝者 血之海 血受邪則肝氣燥
經 所謂 肝苦急 急食甘以緩之,
桃仁 散血緩肝 謂邪氣深遠 而入血 故夜發 乃陰經有邪
此麻黃黃芩湯 乃發散血中風寒之劑也(綱目).
밤에 발작하는 학질을 치료한다.
마황 12g, 속썩은풀(황금) 8g, 감초 6g, 계심 4g, 복숭아씨(도인) 15알.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서 잠잘 무렵에 먹는다.
복숭아씨는 맛이 쓰고 달며 맵다.
간은 혈(血)이 모이는 곳이므로 혈이 사기를 받으면 간기(肝氣)가 조(燥)해진다.
내경에 간이 조여들어 괴로울 때에는 빨리 맛이 단 것을 써서 완화시켜야
한다고 씌어 있는데 그것이 이런 것을 두고 한 말이다.
복숭아씨는 어혈을 헤치고 간기를 완화시킨다.
사기(邪氣)가 몹시 깊이 혈 속에 들어가면 밤에 발작한다.
이것을 보고 음경에 사기가 있다고 한다.
이 마황황금탕은 혈 속에 있는 풍한(風寒)을 발산시킨다[강목].

'[處方箋] > [處方湯]' 카테고리의 다른 글

[萬病二陳湯][만병이진탕]  (0) 2019.01.16
[萬金湯][만금탕]   (0) 2019.01.16
[麻黃湯][마황탕]   (0) 2019.01.16
[麻黃蒼朮湯][마황창출탕]   (0) 2019.01.16
[麻黃左經湯][마황좌경탕]  (0) 2019.01.16

[麻黃湯][마황탕]
治太陽傷寒 頭痛 身疼 百節痛 無汗 惡風寒
麻黃12g 桂枝8g 甘草2.4g 杏仁10枚
剉作一貼 入薑三片 葱白2莖 水煎服.
須臾啜稀粥一盞 以助藥力 令遍身漐漐 微汗爲佳 得汗勿再服(入門).
태양상한(太陽傷寒)으로 머리와 온몸의 뼈마디가 아프면서
땀은 나지 않고 바람을 싫어하며 오한이 나는 것을 치료한다.
마황 12g, 계지 8g, 감초 2.4g, 살구씨(행인) 10알.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3쪽, 파밑(총백) 2대와 함게 물에 달여서
위와 같은 방법으로 먹는다.

땀이 나면 다시 먹지 말아야 한다[입문].

'[處方箋] > [處方湯]' 카테고리의 다른 글

[萬金湯][만금탕]   (0) 2019.01.16
[麻黃黃芩湯][마황황금탕]   (0) 2019.01.16
[麻黃蒼朮湯][마황창출탕]   (0) 2019.01.16
[麻黃左經湯][마황좌경탕]  (0) 2019.01.16
[麻黃芍藥湯][마황작약탕]  (0) 2019.01.16

[麻黃蒼朮湯][마황창출탕]
治秋冬夜嗽 不絶至曉 方緩口苦 胸痞脇痛 痰唾涎沫 不進飮食
麻黃32g
蒼朮20g
黃芪6g
草豆蔲 柴胡 羗活 各2g
防風 當歸梢 生甘草 灸甘草各1.5g 五味子15粒
爲剉 分作2貼 水煎服(東垣).
가을이나 겨울밤에 기침이 멎지 않고 계속 나다가
새벽이 되어야 덜해지며 입이 쓰고 가슴이 더부룩하며
옆구리가 아프고 가래침을 뱉으며 음식을 먹지 못하는 것을 치료한다.
마황 32g,
삽주(창출) 20g,
단너삼(황기) 6g,
초두구 2.4g,
시호, 강호리(강활) 각각 2g,
방풍, 당귀(잔뿌리), 감초(생것) 각각 1.6g,
감초(닦은 것), 속썩은풀(황금) 각각 1.2g, 오미자 15알.
위의 약들을 썰어 2첩으로 나누어 물에 달여 먹는다[동원].

'[處方箋] > [處方湯]' 카테고리의 다른 글

[麻黃黃芩湯][마황황금탕]   (0) 2019.01.16
[麻黃湯][마황탕]   (0) 2019.01.16
[麻黃左經湯][마황좌경탕]  (0) 2019.01.16
[麻黃芍藥湯][마황작약탕]  (0) 2019.01.16
[麻黃升麻湯][마황승마탕]  (0) 2019.01.16

[麻黃左經湯][마황좌경탕]
治四氣流注足太陽經, 腰脚攣痺重痛, 增寒發熱, 無汗惡寒,

或自汗, 頭疼眩暈.
羌活 一錢,
麻黃, 乾葛, 白朮, 細辛, 赤茯苓, 防己, 桂心, 防風, 甘草 各七分.
右剉作一貼, 煎法同上[三因].
풍한서습의 네 가지 사기가 족태양경으로 흘러들어 허리와 다리가 오그라들면서

저리고 무거우며 아프고 찬 것을 싫어하며,

열이 나면서 땀이 나지 않고 오한이 나거나

혹은 자한이 있고 머리가 아프며 어지러운 것을 치료한다.
강활 한 돈,
마황, 갈근, 백출, 세신, 적복령, 방기, 계심, 방풍, 감초 각 일곱 푼.
위의 약들을 썰어 한 첩으로 하여 앞의 처방과 같은 방법으로 달여 먹는다(삼인).

'[處方箋] > [處方湯]' 카테고리의 다른 글

[麻黃湯][마황탕]   (0) 2019.01.16
[麻黃蒼朮湯][마황창출탕]   (0) 2019.01.16
[麻黃芍藥湯][마황작약탕]  (0) 2019.01.16
[麻黃升麻湯][마황승마탕]  (0) 2019.01.16
[麻黃醇酒湯][마황순주탕]   (0) 2019.01.16

[靈仙除痛飮][영선제통음]
治肢節腫痛 痛屬火 腫屬濕 兼受風寒 而發動於經絡之中
濕熱流走 於肢節之間
麻黃 赤芍藥 各4g,
當歸梢 升麻 甘草 各1g,
防風 荊芥 羗活 獨活 威靈仙 白芷 蒼朮 片芩酒炒 枳實 桔梗 葛根 川芎 各2g
剉作一貼 水煎服(醫鑒).
一名 [麻黃芍藥湯]
팔다리의 뼈마디가 부어오르고 아픈 것을 치료하는데
아픈 것은 화(火)에 속하고 부어오르는 것은 습(濕)에 속한다.
겸하여 풍한(風寒)이 경락(經絡)에까지 들어가 작용하므로
습열(濕熱)이 팔다리의 뼈마디 사이에 돌아다니는 것도 치료한다.
마황, 함박꽃뿌리(적작약) 각각 4g,
당귀(잔뿌리), 승마, 감초 각각 1.2g.
방풍, 형개, 강호리(강활), 따두릅(독활), 으아리(위령선), 구릿대(백지),
삽주(창출), 속썩은풀(황금, 술에 축여 볶은 것), 지실, 도라지(길경),
칡뿌리(갈근), 궁궁이(천궁) 각각 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먹는다[의감].
일명 마황작약탕(麻黃芍藥湯)이라고도 한다.

[麻黃升麻湯][마황승마탕]
治傷寒表未解, 熱鬱作衄. 俗呼謂紅汗.
麻黃, 升麻, 赤芍藥, 黃芩, 石膏, 赤茯苓, 甘草 各一錢.
右剉作一貼, 薑三片, 水煎熱服, 微汗[入門].
상한의 표증이 아직 풀리지 않아 열이 뭉쳐 코피가 나는 것을 치료한다.
민간에서는 뻘건 땀[紅汗]이라고 한다.
마황, 승마, 적작약, 황금, 석고, 적복령, 감초 각 한 돈.
위의 약들을 썰어 한 첩으로 하여,

생강 세 쪽을 넣고 물에 달여 뜨겁게 마시고 조금 땀을 낸다(입문).

[麻黃升麻湯][마황승마탕]
治風邪內縮, 久泄不止, 宜以此發之 方見血門.
풍사가 속에 움츠리고 있어서 오랫동안 설사가 멎지 않는 것은

이 약으로 발산시켜야 한다(처방은 혈문에 있다).

[麻黃醇酒湯][마황순주탕]
治黃疸
麻黃40g 好酒1升半
煮至半去滓 頓服之 冬用酒 春夏用水(仲景).
황달을 치료한다.
마황 40g.
위의 약을 좋은 술 1되 반에 넣고 절반이 되게 달여서 찌꺼기를 버리고 단번에 먹는다.
겨울에는 술에 달이고 봄과 여름에는 물에 달인다[중경].

[加減續命湯][가감속명탕]
治風中府今人不分表裏虛實故張易老授東垣以六經加減之法
풍(風)이 6부에 침범한 것을 치료한다.
지금 의사들이 표리(表裏)와 허실(虛實)을 잘 가리지 못하기 때문에
장역로(張易老)가 동원(東垣)에게 6경의 가감법[六經加減法]을 알려주었다.
太陽中風無汗惡寒[麻黃續命]主之本方倍麻黃防風杏仁
有汗惡風[桂枝續命]主之本方 倍 桂枝 芍藥 杏仁
태양중풍증(太陽中風證) 때 오한이 나면서 땀이 나지 않는 데는
마황속명탕을 주로 쓰는데 본방에 마황, 방풍, 살구씨(행인)를 곱으로 넣어 쓴다.
땀이 나면서 바람을 싫어하는 데는 계지속명탕을 주로 쓰는데
본방에 계지, 집함박꽃뿌리(작약), 살구씨(행인)를 곱으로 넣어 쓴다.
陽明中風無汗身熱不惡寒[白虎續命]主之
本方倍桂枝黃芩加葛根一錢四分
양명중풍증(陽明中風證) 때 몸에 열이 나고 땀이 나지 않으며
오한이 없으면 백호속명탕을 주로 쓰는데
본방에 계지, 속썩은풀(황금)을 곱으로 하고 칡뿌리(갈근) 5.6g을 넣어 쓴다.
太陰中風無汗身崣 [附子續命] 主之附子加一倍
甘草加二錢一分乾薑加七分
태음중풍증(太陰中風證)때 땀이 나지 않고 몸이 서늘하면
부자속명탕을 주로 쓰는데 부자는 곱으로 하고
감초는 8.4g, 건강은 2.8g을 넣는다.
少陰中風有汗無熱 [桂枝續命] 主之本方 倍 桂枝 附子 甘草
소음중풍증(少陰中風證) 때 땀이 나고 열이 없으면
계지속명탕을 주로 쓰는데 본방에 계지, 부자, 감초를 곱으로 넣는다.
六經混淆繫之於少陽厥陰或肢節攣痛或麻木不仁
宜 [羌活連翹續命] 主之本方一兩 加 羌活一錢 連翹一錢半[正傳]
6경이 혼란되어 소양병(少陽病)과 궐음병(厥陰病)이 얽혀서
혹 팔다리 뼈마디가 켕기면서[攣] 아프거나 감각이 둔해지면서 잘 쓰지 못하면
강활연교속명탕을 주로 쓰는데
본 처방 약재 40g에 강호리(강활) 8g, 연교 6g을 넣어 쓴다[정전].

[麻黃附子細辛湯][마황부자세신탕]
治少陰病 但欲寐 發熱 脈沈
麻黃 細辛各8g 附子炮4g 剉作一貼 水煎服(仲景).
소음병(少陰病)으로 자려고만 하고 열이 나며 맥이 침(沈)한 것을 치료한다.
마황, 족두리풀(세신) 각각 8g, 부자(싸서 구운 것) 4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먹는다[중경].
傷寒 無熱惡寒者 陰經病也
今少陰病 始得當無熱 而反發熱 但頭不痛爲異 乃邪在表也
脈雖沈 尤宜溫劑 發汗之(入門).
상한(傷寒) 때 열이 나지 않고 오한이 나는 것은 음경병(陰經病)이다.
소음병의 초기에는 열이 나지 않는데 반대로 열이 나면서
머리가 아프지 않은 것은 표(表)에 한사(寒邪)가 있는 것이다.
이때에는 비록 맥이 침(沈)하다고 하여도 성질이 따뜻한 약으로 땀을 내야 한다[입문].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