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白通湯][백통탕]
少陰病 下利 脈絶
乾薑12g, 附子生半箇, 葱白三莖,
爲剉 水煎服(入門).
少陰證 下利厥逆 脈不至 煩躁 白通湯
煎水 和童尿一合 猪膽汁半枚 服之(入門).
소음병(少陰病)으로 설사가 나고 맥이 미(微)한 것을 치료한다.
건강 12g, 생부자 반 개, 파밑(총백) 3대.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먹는다[입문].
소음병 때 설사가 나고 손발이 싸늘하며 맥이 알리지 않고
답답하여 날치는[煩躁] 데는 백통탕에 저담 반 개를 타서 먹는다[입문].
[加減白通湯][가감백통탕]
治沈寒痼冷 臍腹冷痛 大便自利 足脛寒而逆
附子炮8g
乾薑炮 肉桂 草豆蔲煨 半夏 人蔘 白朮 甘草灸 各4g
剉作一貼 入薑五片 葱白五莖 水煎服仍灸氣海 三里穴(寶鑑).
침한고랭(沈寒痼冷)으로 배꼽노리가 차고 아프며
저절로 설사가 나고 발과 정강이가 차서 올라오는 것을 치료한다.
부자(싸서 구운 것) 8g,
건강(싸서 구운 것), 육계, 초두구(잿불에 묻어 구운 것),
끼무릇(반하), 인삼, 흰삽주(백출), 감초(닦은 것) 각각 4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5쪽,
파밑(총백) 5대와 함께 물에 넣고 달여 먹고 나서
기해(氣海)와 삼리(三里) 혈에 뜸을 뜬다[보감].
'[處方箋] > [處方湯]' 카테고리의 다른 글
[百合知母湯][백합지모탕] (0) | 2019.01.17 |
---|---|
[百合雞子湯][백합계자탕] (0) | 2019.01.17 |
[白通加猪膽汁湯][백통가저담즙탕] (0) | 2019.01.17 |
[白朮厚朴湯][백출후박탕] (0) | 2019.01.17 |
[白朮湯][백출탕] (0) | 2019.01.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