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九味羗活湯][구미강활탕]
不問四時 但有頭痛 骨節痛 發熱惡寒 無汗 脈浮緊.
宜用此 代麻黃爲穩當(節庵)
4철에 관계없이 머리가 아프고 뼈마디가 아프며 열이 나고
오한이 나면서 땀이 나지 않고 맥이 부긴(浮緊)한 데는
마황탕 대신에 이 약을 쓴다[절암].
有汗不得服麻黃無汗不得服桂枝若誤服則其變不可勝言
故立此法使不犯三陽禁忌乃解表神方羌活防風各一錢半
蒼朮川芎白芷黃芩生地黃各一錢二分細辛甘草各五分
右犫作一貼入生薑三片大棗二枚瘳白二莖水煎服[入門]
땀이 나는 데는 마황탕을 쓰지 못하고 땀이 나지 않는 데는
계지탕을 쓰지 못하는데 만약 잘못하여 먹으면 해가 많다.
그러므로 이 처방으로 3양의 꺼림증[禁忌]을 피하게 하였는데
해표(解表)시키는 데는 참으로 좋은 처방이다.
강호리(강활), 방풍 각각 6g,
삽주(창출), 궁궁이(천궁), 구릿대(백지), 속썩은풀(황금), 생지황 각각 4.8g,
족두리풀(세신), 감초 각각 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고 여기에
생강 3쪽, 대추 2알, 파밑(총백) 2대를 넣어서 물에 달여 먹는다[입문].
羌活治太陽肢節痛乃撥亂反正之主也
防風治一身盡痛聽軍將命令而行
蒼朮雄壯上行之氣能除濕氣下安太陰
甘草緩裏急和諸藥 川芎治厥陰頭痛在腦
生地黃治少陰心熱在內黃芩治太陰肺熱在胸
白芷治陽明頭痛在額細辛治少陰腎經苦頭痛[正傳]
강호리(강활)는 태양병으로 뼈마디가 아픈 것을 치료하고
방풍은 온몸이 다 아픈 것을 치료하며
삽주(창출)의 약 기운은 위로 올라가는 것이 많으므로
습기(濕氣)를 잘 없애며 비위(脾胃)를 든든하게 한다.
감초는 뱃속이 켕기는 것을 늦추어 주고 여러 가지 약을 조화시킨다.
궁궁이(천궁)는 궐음두통(厥陰頭痛)으로 머리 속이 아픈 것을 치료하며 생
지황은 속에 있는 소음심경의 열[少陰心熱]을 내린다.
그리고 속썩은풀(황금)은 가슴에 있는 태음폐경의 열[太陰肺熱]을 치료하고
구릿대(백지)는 양명두통으로 이마가 아픈 것을 치료하며 족
두리풀(세신)은 소음두통으로 몹시 아픈 것을 치료한다[정전].

[羗活冲和湯][강활충화탕]
治春夏秋感冒風寒 發熱惡寒 頭痛項强 或無汗
或有寒 以代桂枝 麻黃 靑龍各半湯 治太陽經 表熱之神藥也(丹心).
봄과 여름, 가을에 풍한감모(風寒感冒)로 열이 나고 오한이 있으며
머리가 아프고 목덜미가 뻣뻣하며 혹 땀이 나지 않거나 땀이 나는 것을 치료한다.
이 약은 계지마황청룡각반탕을 대신하며
태양경 표열(表熱)을 치료하는 좋은 약이다[단심].
此藥 非獨治四時風寒 春可治溫 夏可治熱 秋可治濕
治雜病亦有神也方見上 傷寒六經用藥.
一名 [九味羗活湯] 已下 傷寒六經用藥 轉載
이 약은 다만 4계절의 풍한증을 치료할 뿐 아니라 봄에는 온병,
여름에는 열병(熱病), 가을에는 습병(濕病)을 치료한다.
또한 잡병(雜病)을 치료하는 데도 좋은 약이다(처방은 위에 있다).
일명 구미강활탕(九味羌活湯)이라고도 한다.

'[處方箋] > [處方湯]' 카테고리의 다른 글

[驅邪湯][구사탕]   (0) 2019.01.14
[九味理中湯][구미이중탕]   (0) 2019.01.14
[狗膽丸][구담환]  (0) 2019.01.14
[救苦湯][구고탕]  (0) 2019.01.14
[灸甘草湯][구감초탕]  (0) 2019.01.14

+ Recent posts